View : 5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경아-
dc.creator임경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4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0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480-
dc.description.abstractHaemophilus influenzae은 그람음성 간구균으로 피막형은 6가지 혈청형이 잇으며, 이중 b형이 뇌막염, 후두개염 등의 소아 중증감염의 주요원인이 되며, 정상소아의 호흡기에서 분리되는 비피막형은 중이염, 부비동염 등 상기도 감염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세균은 상기도에 상재균으로 존재하다 인접한 부위로 전파되어 감염을 일으키게 되므로 구인강에 보균하는 H. influenzae에 대한 연구는 이 세균의 감여 질환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최근에는 β-lactamase 생성 균주와 여러 항균제에 대한 내성균주의 증가가 보고되고 있어 이에 관한 연구 조사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건강한 소아에서 H. influenzae의 분리율과 분리된 균주의 7종의 항균제에 대한 각각의 감수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1998년 3월부터 1998년 6월사이게 서울 지역에 위치한 4개 유아원에 다니는 5세 이하의 건강 소아 209명을 대상으로 구인강 도말 검체를 얻어 배양하였다. 1. H. influenzae의 분리율 총 209 검체 중 28 검체에서 H. influenzae가 검출되어 13.4%의 분리율을 보였고, 연령별로는 5세군에서 가장 높은 분리율(25.0%)을 보였고, 다음이 3세군(13,8%)이었다. 2. 분리된 H. influenzae의 생물형 분리된 H. influenzae 균의 생물형의 빈도는 type Ⅱ(33%)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type Ⅰ(25%)이었다. 3. 분리된 H. influenzae의 각 항균제에 대한 내성 양상 디스크 확산법에 의한 시험관 내 감수성 검사는 ampicillin, ampicillin/sulbactam, aztreonam, cefotaxime,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및 trimethoprim-sulfomethoxazole(SXT)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Ampicillin이 46.7%, tetracycline이 28.6%, SXT가 14.3%, ampicillin/sulbactam이 6.7%의 내성율을 나타내었다. Aztreoanm, cefotaxime, chloramphenicol은 모두 감수성으로 해석되었다. 4. 분리된 H. influenzae의 생물형에 따른 항균제 내성 양상 분리된 H. influenzae 가운데 type Ⅰ에서 ampicillin과 tetracycline에 대해 각각 25%, 25%의 내성율을 보였고, type Ⅱ에서는 ampicillin. tetracycline, SXT, ampicillin/sulbactam에 대해 각각 100%, 50%, 33%, 17%의 내성율을 보였다. 5. 분리된 H. influenzae의 β-lactamase 생성과 이에 따른 항균제 내성 양상 처음 분리된 H. influenzae 28균주 중 23균주에서 β-lactamase 생성 시험을 하여 β-lactamase 양성 균주의 비율은 65.2%였으며 생물형에 따른 β-lactamase 양성율은 type Ⅱ에서 87.5%로 가장 높았다. β-lactamase 생성에 따른 항균제 내성은 β-lactamase 양성주 모두가 ampicillin에 내성을 보였고 tetrcyclin, SXT, ampicillin/sulbactam에 대해서도 각각 44.4%, 25.0%, 11.1%의 높은 내성률을 보였다. β-lactamase 양성주에서 chloramphenicol, cefotaxime, aztreonam에 대하여는 모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β-lactamase 음성주는 모든 항균제 검사에서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건강 소아에서 H. influenzae의 구인강 보유율은 13.4%였으며, 가장 흔한 생물형은 type Ⅱ로 33%였다. 건강 소아에서 얻은 검체임에도 불구하고 ampicillin, tetracycline, SXT, ampicillin/sulbactam에 대해 비교적 높은 항균제 내성율을 보여주었으며, 다제 내성을 지닌 균주의 빈도도 40%로 높았다. β-lactamase 양성주의 비율은 65.2%로 이들은 모두 ampicillin에 내성을 나타내었고, tetracycline, SXT, ampicillin/sulbactam에 대해서도 일부 내성을 보였다. β-lactamase 음성주주 항생제 내성을 보인 균주는 없었다. H. influenzae의 항생제 내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소아에서 꼭 필요한 경우에 적절한 항생제의 사용이 요구되며 현재 국내 수입되어 사용되어지고 잇는 백식 접종아의 H. influenzae 구인강 보유율의 변화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Haemophilus influenzae, one of normal flora of upper respiratory tract, can cause various invasive and noninvasive infrectious diseases. It has been known that colonized H. influenzae in upper respiratory tract cause sinusitis, otitis media, cellulitis, epiglottitis, pneumonia, meningitis and sepsis. Isolation and biotyping of the bacteria from the upper respiratory tract are of little diagnostic value per se. However, these procedures may give information of the pathogenesis, the resistance patterns of antimicrobial agents and the efficacy of the H. influenzae type b vaccin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H. influenzae has encountered with increasing frequency from around the world. In our country, ampicillin resistant strains of H. influenzae are rapidly increasin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eal the colonization rate of H. influenzae in upper respiratory tract, their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production of β-lactamase in healthy children. The specimens for H. influenzae were obtained through oropharygeal swab from 209 healthy children, younger than 5 year of age, in 4 day care centers which located in seoul from March 1998 to June 1998. 1. The carriage rate of H. influenzae in the day care center children was 13.4%(28/209). 2. Of 24 isolates, 8 isolates(33%) were biotype Ⅱ and 6 isolates(25%) were biotype Ⅰ. 3. Disc diffusion test was performed with 15 isolates, which were subcutured successfully. The antimicrobial agents used for this test were ampicillin, ampicillin/sulbactam, aztreonam, chloramphenicol, cefotaxime, SXT, tetracycline, The overall rates of resistance of H. influenzae ; ampicillin 46.7%, tetracycline 28.6%, SXT 14.3%, ampicillin/sulbactam 6.7%. Among the isolates, multiple drug resistant H. influenzae were 6 isolates(40%). 4. The overall prevalence of β-lactamase producing isolates of H. influenzae was 65.2%. producing isolates of H. influenzae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The resistance rates of β-lactamase producing isolates of H. influenzae to tetracycline, trimethoprim-sulfamedoxazole, ampicillin/sulbactam 44.4%, 25.0%, 11.1%. 5. All β-lactamase negative isolates were sensitive to all antimicrobial agents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H. influenzae from the oropharyngeal specimens of healthy children was much higher than expected. It might be due to their easy an frequent exposure to antimicrobial agents and crowded environment. The surveillance trials for rsistance among H. influenzae isolates should continue in an effort to identify trends in Korea and antimicrobial regimens used for treatment of this infection may have to be evaluated in light of changing antibiotic suscepti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연구대상 및 방법 3 A. 연구 대상 3 B. 연구 방법 4 1. H. influenzae의 분리 4 2. H. influenzae의 생물형 감별 4 3. H. influenzae의 항균제 내성 검사 5 4. H. influenzae의 β-lactamase 생성 시험 6 III. 연구 결과 7 A. H. influenzae의 분리율 7 B. 분리된 H. influenzae의 생물형 8 C. 분리된 H. influenzae의 항균제에 대한 내성 양상 9 D. 분리된 H. influenzae의 생물형에 따른 항균제 내성 양상 11 E. 분리된 H. influenzae의 β-lactamase 생성과 이에 따른 항균제 내성 양상 12 IV. 고찰 14 V. 결론 20 참고문헌 23 Abstract 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84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건강 소아의 구인강 집락에서 분리된 Haemophilus influenzae의 항균제 내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2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