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5 Download: 0

『方言類釋』의 중국어 어휘 연구

Title
『方言類釋』의 중국어 어휘 연구
Other Titles
『方言類釋』的 漢語 語彙 硏究
Authors
최병선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재돈
Abstract
本稿是以硏究近代漢語語彙爲目的, 爲此選擇了屬於近代漢語時期的朝鮮語彙集『方言類釋』, 對此進行了漢語語彙現象的考察。 『方言類釋』是1778年(正祖2年)在朝鲜由精通易学的实学的大家,即北学派的鼻祖徐命膺下令譯官洪命福汇集汉蒙清倭四种语言并把它们按意义分门别类以後飜譯成當時韓國語的一部多种语言词典。因此它對於硏究近代漢語的語音與語彙是相當重要的。這是不容置疑的事實。但是據今爲止, 關於它的硏究是屈指可數的, 可以說只有過文獻學, 日本語, 蒙古語等方面的硏究而已。 本稿是針對『方言類釋』裏的漢語語彙進行硏究和考察的,因此對語彙理論的記述與歷史演變不加以一一記述,而僅僅專對它的語言現象的考察爲基本宗旨, 對『方言類釋』裏所收錄的漢語官話語彙和方言語彙進行了考察和硏究。 爲了能够具體地考察出『方言類釋』裏的漢語語彙現象,本稿把它們分爲官話語彙和方言語彙進行了考察和硏究。具體方法如下: 首先把官話語彙按照其義分爲名詞, 代詞, 動詞, 形容詞, 副詞, 量詞, 介詞, 連詞, 助詞, 然後抓住與現代漢語差異懸殊的幾個語彙進行了重點考察, 發現在名词裏, 例如 ‘夜半’, ‘下晚’ 等类已不在現代漢語中使用, ‘名頭’, ‘勾當’的用法比現代漢語廣得多,表處所的‘角頭’,表職業名稱的‘牙子’等已在現代漢語里消逝。在語彙的結構方面, 對名詞的語头缀和語後缀, 名詞和動詞的重疊進行了全面的考察。 其次把收錄於‘中州乡语’部門的中国各地方言分为北京方言,东北方言,廣东粵方言,湖廣湘方言,江南吳方言, 然後在『汉语方言大詞典』,『現代漢語詞典』,『中韓辭典』裏重新确认了其方言的用区與现代方言和普通話的關係。發現有以下三種特點的方言語彙。第一種是一直沿用至今竝且還在普通話裏使用的語彙, 例如 ‘爸’, ‘媽’, ‘媌條’, ‘辜負’, ‘邀喝’, ‘倔僵’ 等語彙。第二種是只在方言區裏使用的語彙, 例如 ‘格支’, ‘呌化子’, ‘㫾午’, ‘秀溜’, ‘多咱’, ‘虺尵’, ‘直籠統’, ‘儂’, ‘賤累’ 等語彙。最後一種是已豪無踪迹, 卽已消亡的語彙,例如 ‘黑尿’, ‘油花’, ‘孛窣’, ‘支査’ 等語彙。 通過這次硏究, 本人不但認識到了編纂『方言類釋』時期的漢語官話語彙和方言語彙有哪些,而且還弄明白了一些近代漢語語彙與現代漢語語彙的差異之處。不過要想更具體、更深入地硏究近代漢語,還需與其他譯學書,卽『譯語類解』,『同文類解』,『蒙語類解』,『倭語類解』等進行詳細的考察才可。因本稿同時對官話和方言進行了硏究, 所以錯誤在所難免, 還有待以後修正, 補充。借此希望對近代漢語特點的硏究陸續不斷, 繼往直前。;본고는 중국어 어휘 연구의 일환으로 근대중국어 시기에 속하는 대표적인 어휘집인『方言類釋』을 기본 텍스트로 삼고 이의 연구를 통해서 이 시기 중국어 어휘 현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方言類釋』은 1778년 洪命福 등에 의해 편찬된 어휘집으로서 근대 중국어 어음과 어휘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서지학적인 연구와 일본어, 몽어에 대한 연구만 있었을 뿐이다. 따라서 본고는『方言類釋』의 중국어 어휘를 고찰한다는 기본 목표를 가지고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고는『方言類釋』에 수록되어 있는 官話 어휘와 지방방언 어휘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므로, 어휘이론에 대한 기술이나 史的 변화에 대한 이론적 서술보다는『方言類釋』에 보이는 어휘들을 객관적으로 묘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본고에서는『方言類釋』의 어휘를 官話 어휘와 방언 어휘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먼저 官話 어휘들을 정리 분석하고, 품사별로 분류하여 그 종류와 의미를 파악한 후 현대 중국어 어휘와의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품사는 名詞, 代名詞, 動詞, 形容詞, 副詞, 量詞, 前置詞, 接續詞, 助詞로 분류하여 각 품사에 해당하는 어휘에 대해 먼저 종류별로 구분하고 그 가운데 현대 중국어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것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예를 들면 시간을 나타내는 名詞 ‘夜半’, ‘下晩’ 등은 현대 중국어에서 쓰지 않는 근대 중국어 어휘이고, 추상名詞인 ‘名頭’, ‘勾當’은 현대 중국어보다 근대 중국어에서 의미가 더 넓게 사용되고, 처소를 나타내는 ‘角頭’, 직업을 나타내는 ‘牙子’는 소멸된 어휘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조면에서는 名詞의 접두사와 접미사, 動詞의 중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방언 어휘 부분에서는 ‘中州鄕語’에 수록되어 있는 中國 각 지역 방언을 크게 北京方言, 東北方言, 廣東 粵方言, 湖廣 湘方言, 江南 吳方言으로 나누어『漢語方言大詞典』과『現代漢語詞典』,『漢韓辭典』에서 의미와 사용지역을 확인하여 방언 어휘뿐만 아니라 표준중국어에서도 사용되는 어휘, 방언 어휘로만 사용되는 어휘, 이미 소멸되었거나 또는 사전에서 누락된 어휘로 구분해 내었다. 예를 들면 ‘爸’, ‘媽’, ‘媌條’, ‘辜負’, ‘邀喝’, ‘倔僵’ 등은 방언 어휘뿐만 아니라 표준중국어에서도 사용되는 어휘이고, ‘格支’, ‘呌化子’, ‘㫾午’, ‘秀溜’, ‘多咱’, ‘虺尵’, ‘直籠統’, ‘儂’, ‘賤累’ 등은 방언 어휘로만 사용되는 어휘이며, ‘黑尿’, ‘油花’, ‘孛窣’, ‘支査’ 등은 이미 소멸되었거나 또는 사전에서 누락된 어휘임을 밝혀내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方言類釋』이 편찬된 당시의 중국어 官話어휘와 방언어휘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현대 중국어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이보다 더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는 다른 譯學書인『譯語類解』,『同文類解』,『蒙語類解』,『倭語類解』와의 상세한 고찰을 통해서야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官話와 方言을 함께 다루어 많은 오류가 있을 것이다. 이는 이후 수정 보완해야 할 것이며 고대중국어와 현대중국어에서는 보이지 않는 근대중국어의 특징을 찾아내어 이들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