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장애유형별 스포츠 활동 참여목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장애유형별 스포츠 활동 참여목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Objectives and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typ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ports activities
Authors
송수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양자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유형별 스포츠 활동 참여와 그에 따른 만족도를 연구하여 그들에게 적절한 스포츠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형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19세 이상 49세 이하 성인 남녀 시각, 청각, 지체장애인 각 각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시각 105명, 청각 98명, 지체 114명으로 총 317명의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로는 이인경(1997)이 번역 ? 수정하여 검사 도구로 이용한 ‘한국판 특수체육 목표 척도(Korean Goal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Scale: KGAPES)’와 민혜정(2007)의 연구에서 사용된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를 중심으로 하여 수정 ? 보완한 설문지를 제작,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12.0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이원변량분석(Two way ANOVA)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장애유형에 따른 스포츠 활동 참여 목표 및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목표 및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참여목표에 있어서는 지체장애의 경우 시각장애나 청각장애에 비해 상대적으로 참여 목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에 있어서는 하위영역별로 지체장애의 경우 시각장애나 청각장애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체적 요인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요인에 있어서는 지체장애의 경우 시각장애나 청각장애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적 요인 만족도가 높으며, 정서적 요인에 있어서는 시각장애나 지체장애의 경우 청각장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서적 요인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요인에 있어서는 지체장애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청각장애, 시각장애 순으로 환경적 요인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형에 따른 성별, 수입, 운동횟수에 따라 스포츠 활동 참여 목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1), 연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장애유형에 따른 성별, 수입, 운동횟수에 따라 스포츠 활동 참여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1), 연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장애유형별 스포츠 활동 참여 목표에 관한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지체장애인은 시각, 청각 장애인에 비해 참여 목표와 만족도가 높게 나온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각장애와 청각장애의 스포츠 활동 참여 목표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the lives of the disabled by investigating different kinds of sports activities that were recommended to each type of handicap and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317 interviewees responses including the 105 blind, 98 deaf, and 114 physical disabilities aged over 19 under 49. Korean Goal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translated and revised by Lee, In-Gyeong(1997) was referred, and the supplemented version of questionnaire about the level of satisfaction by Min, Hye-Jung(2007) was made and used.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methods of One way ANOVA and two way ANOVA with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objectiv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disabilities. In terms of the objectives of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hose who were physical disabilities had relatively higher objectives compared with the blind or deaf. They were also more satisfied in terms of the physical factors. Also in terms of the educational factor, physical disabilities people ha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the blind or deaf while the blind and the physically disabled ha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in terms of emotional factor. The physical disabilities were the most satisfied in terms of their environmental factors while the deaf was the less and the blind was the least. Secon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objectives of sport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ex, income, and the frequency of different types of disability were analyzed, while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Thir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sport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ex, income, and the frequency of different types of disability were analyzed, while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In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sports activities of those having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results refer that physical disabilities people hav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nd purposes compared with the blind and the deaf. Therefore, various programs to enhance the purpose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af and the blind need to be provi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