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일호-
dc.contributor.author백정원-
dc.creator백정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9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2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현대 미술이 서구로 대표되는 집단의 문화적 · 사회적 · 정치적 우위를 비판하는 창의적 실천 가능성을 탈식민주의 이론을 통해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탈식민주의 문화이론의 주요 논의들을 살펴본 후, 이를 참고하여 유색인종 미술가들의 작품들을 분석한다.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는 식민담론이 서구는 우월한 지위로 위치시키고 유럽의 타자들을 열등한 존재로 규정해 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비서구 주체들로 하여금 식민주의적 헤게모니를 해체하고 극복하는 탈식민화의 방법들을 제시한다. 문화 민족주의는 탈식민화를 위한 본질주의적 접근이다. 민족주의는 민족의 독립과 통일을 위해 민족 집단 내의 동질성과 민족유산을 찬양하면서, 기존의 부정적인 이미지로 각인된 소수 민족의 정체성을 긍정적인 것으로 변화시키는 데 주력한다. 반본질주의 입장으로는, 식민주체와 피식민주체의 정체성이 복합적이고 유동적이라는 혼종성(hybridity)이론이 있다. 호미 바바가 가장 대표적인 이론가이며, 그에게 혼종성은 식민주체나 피식민주체의 양가적 특질을 설명하거나 다양한 층위의 문화들이 만남으로 인해 새롭게 발생하는 문화적 정체성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된다. 전략적 본질주의는 본질주의와 반본질주의 사이의 대안적 개념을 제시한다. 전략적 본질주의란 가변적 정체성(provisional identity)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 개인이나 집단이 민족 · 인종 · 계층 등의 본질적 개념을 상황에 따라 이용할 수 있지만, 역사적 · 문화적 상황에 따라 새로운 정체성을 끊임없이 모색해야 하는 전략이다. 스튜어트 홀은 새로운 민족성들이란 개념을 제안하였는데, 이는 민족성을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역사와 문화 담론 속에서 구성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은 시각 예술 분야에서도 기존의 서구 중심의 문화 일변도에 대한 문제의식을 불러일으켰으며, 비서구 출신의 작가들이 창작의 주체로 부상하며 주류 미술계에 본격적으로 편입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난 대표적 소수민족 미술가들의 작업 방식은 그들이 지지하는 탈식민주의 이론에 따라 세가지로 나타난다. 첫 번째는 유색인종작가들이 긍정적인 인종성을 표현하거나 사회의 불의와 압제에 대해 저항하는 반-사회적 이미지를 담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작가들은 그들이 속한 집단의 대변자로 간주되었으며, 미술 작품들을 통해 삶의 주체적 발전을 실제의 현실 속에서 확보하려 하였다. 두 번째는 바바가 제안한 흉내내기 전략과 사이 공간의 강조이다. 작가들은 서구 문화에 대한 불완전한 흉내내기를 이용한 문화적 혼종물들을 제작하여, 기존의 가치체계에 대한 조롱과 지배 담론의 전복을 꾀한다. 그리고 다양한 층위의 문화들이 만날 수 있는 사이 공간들을 통해 지정된 범주의 개념을 거부하며 강요된 위계질서와 대립 구도들이 허물어지도록 한다. 세 번째는 스튜어트 홀이 타자의 성적 · 사회적 차이로 인해 복잡다단해진 ‘새로운 민족성들’이라 부른 것을 비판적으로 재현하면서, 스테레오타입을 파기하고 소수자의 정체성을 재정의하는 전략이다. 더 이상 획일적라고 볼 수 없는 공동체 안의 내적 차이들과 맥락 의존적인 입장들을 강조하기 위해 한층 자기 반영적인 재현의 양식이 사용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동시대 유색인종미술 작품과 탈식민주의 이론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는데, 이를 통해, 탈식민주의 이론이 생생한 문화 실천 담론으로서 기능할 가능성을 탐색하고, 오랫동안 저평가되거나 가려져 왔던 유색인종미술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유도한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e potential that contemporary arts may criticize on the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advantage of west with postcolonial theory. To this end, this thesis studies major arguments of postcolonial cultural theories, and in this reference, analyzes the works of colored race artists. Postcolonialism, having started from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at colonialism granted western world advantage and identified the Others as inferior, proposes method of de-colonialization for non-western subjects to dissolve and overcome colonial hegemony. Cultural nationalism is approaches for de-colonization based on essentialism. Nationalism concentrate forces to change the identity of ethnic minorities engraved with existing negative images while praising the homogeneity and their own ethnic legacies within the ethnic group for the independence and unification of the nation. From standpoint of anti-essentialism, there is hybridity theory that states that the identify of colonizing subjects and that of colonized subjects are complex and flexible. The representative theorist of hybridity is Homi K. Bhabha, who uses hybridity to explain the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colonizing subjects or colonized subjects and defines cultural identity newly occurring through encounter of various layers of cultures. Strategic essentialism suggests alternative concept between essentialism and anti-essentialism. Strategic essentialism, which means provisional identity, represents a strategy that one individual or group can use essential concepts such as ethnicity, race, and class but should keep searching for new identity according to historical and cultural situation. Stuart Hall proposed the concept, New Ethnicities, and this concept states that ethnicity is not something essential but something that comprises part of historical and cultural arguments. Postcolonial cultural theories gave rise to consciousness of problems on existing cultural bias toward western world in visual arts field as well,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hat artists from non-western world emerged as subjects of art work creation and entered major arts stage. Leading minor ethnic group artists, emerged recently, uses three methods according to the postcolonial theory that they uphold. The first method is that colored race artists express the ethnicity of the community that they belong to positively. Most art works present contents that praise the homogeneity and ethnic legacies of the minority ethnic group, and also contain anti-social image to resist the injustice and oppression of society. The second method is mimicry strategy proposed by Bhabha and emphasis on the in-between space. Artists produce cultural hybridity that uses incomplete mimicry of western culture, and pursue the overturn of existing value systems and the derogation of ruling discourses. And they refuse concepts of category specified through in-between space where various layers of cultures can meet one another, and encourage so that forced hierarchy and conflict layout may collapse. Third method is the strategy to perish stereotype and re-define the identity of minority while critically representing what Stuart Hall called 'New Ethnicities' that grew complicated due to gender and social differences of others. This strategy uses self reflective representation style to emphasize the internal differences and contextual standpoint within the community that is no longer standardized. In conclusion, this thesis studies the correlations of contemporary colored ethnic groups arts works and postcolonial theories, so, this thesis explores the potential that postcolonial theories may function as vivid cultural practice arguments and leads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olored ethnic groups arts that has been under-evaluated or blocked for long ti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탈신민주의의 의미와 문화이론 = 6 A. 탈식민주의 = 6 1. 탈식민주의의 의미 = 6 2. 탈식민주의의 범주와 성격 = 9 B. 탈식민주의 문화이론 = 11 1. 문화 민족주의(nationalism) 16 = ] 2. 혼종성(hybridity) - 호미 바바 = 19 3. 가변적 정체성(provisional identity) - 스튜어트 홀 = 25 Ⅲ. 탈식민주의와 현대미술 = 31 A. 유색인종 미술의 형성과 전개 = 31 1. 다원주의의 양상으로 나타난 유색인종 미술 = 31 2. 탈식민주의 미술의 등장 = 36 B. 현대 유색인종미술에서 나타나는 탈식민주의 연구 = 40 1. 인종성의 표현 = 40 2. 흉내내기 전략과 혼종성의 강조 = 50 3. 민족성의 비판적 재현 = 58 Ⅳ. 결론 = 66 참고문헌 = 69 도판목록 = 74 도판 = 77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8656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현대 미술에서 나타나는 탈식민주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Postcolonialism in Contemporary Arts-
dc.creator.othernamePaik, Jungwon-
dc.format.pageⅵ,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