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숙-
dc.contributor.author임오주-
dc.creator임오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9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15-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thesis, I construct an aesthetic theory that allows the possibilities of plural interpretations of an artwork and also accepts the notion of interpretative truth. These two ideas, the allowance of various interpretations of a single artwork and the acknowledge of a true interpretation, have been considered respectively as critical monism and critical pluralism, which are prima facie seen as incompatible. The distinction between critical monism and critical pluralism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philosophical disputes between relativism and objectivism. According to the relativist’s idea, every interpretation of a single artwork has equal value, and therefore there is no absolute true interpretation. Objectivists, however, claim that there is "only one truth" in interpretations of an artwork. The other interpretations are false, which are incompatible with the true one. But it is common in our ordinary interpretative practices to have plural interpretations about one and the same artwork. Interpretative relativism is easily adopted to explain these common practices of plural interpretations because of its refusal of the absolute truth. There can be various kinds of relativisms, and perhaps relativism is not the only theory that enables us to explain the occurrence of plural interpretations. In this thesis, however, I will consider as interpretative relativism any positions that refuse interpretative objectivism. But, in terms of modifying interpretative relativism, I will try to dissolve the incompatibility between the two notions of plural interpretations and interpretative truths. Since 20th century, relativistic interpretations have been brought into the mainstream art. The view of an artwork as a representation has waned and the objectivistic interpretation has been of no use since artworks with vague meanings or without any specific meanings have come about. But the relativistic interpretation also has problems in its applications to the actual practices of aesthetic interpretations. Since giving up the notion of truth in the evaluation of aesthetic interpretations, the relativistic interpretation can precariously conclude that "any interpretation is good", which nullifies our disputes about aesthetic interpretations. Moreover, relativism can be driven to allow incompatible interpretations of one and the same artwork. Because aesthetic interpretations are "about"objects of artworks, it is quite convincing that an interpretation is determined by its corresponding artwork, that is, an interpretation is dependent on its artwork. But the belief about this dependency can be skeptical if interpretations of one and the same artwork are incompatible. Radical relativism, which I criticize as a defective version of relativism, clams that an interpretation is not dependent on an artwork but re-creates a new one, and therefore, it does not bring about any problem to allow incompatible interpretations of an artwork. But this theory threats out intuition of the spatio-temporal identity of an artwork. In order to avoid this problem, we need not to just allow incompatible interpretations of an artwork. Then, there are two theoretical desiderata we have: (1) An anti-objectivist requirement: Explain our ordinary practices of interpretations that allow the possibilities of plural interpretations of an artwork; (2) A constrained relativism requirement: Guarantee the dependence of interpretations on its corresponding (identical) artwork. In order to fulfill these requirements, I am going to construct a theory to dissolve the prima facie incompatibility among plural interpretations, which I name "modified relativism". The problem of incompatible interpretations is that among interpretations of an artwork, some interpretations are true while some others are false, even if they are about one and the same work. There are two ways to solve this problem. One is to give up the notion of truth in the evaluation of interpretations, and the other is to introduce a criterion for an acceptable interpretation, other than true interpretations. One of th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solutions is a viewpoint on whether the standard of truth in the evaluation of interpretations inhibits us from setting forth other criteria for appropriate interpretations. We shall support the first solution if an interpretation that turns out to be false is to lose its status of a proper interpretation. But the second solution will be reinforced if a false interpretation can retain its interpretative status in terms of other criteria for the acceptability. I am going to analyze the theory of Joseph Margolis as a philosopher to take the first solution, and the theory of Robert Stecker to take the second. Margolis considers an aesthetic interpretation as a kind of truth claim. But he accepts many-valued logic instead of bivalent logic to explain an interpretative truth. According to Margolis, the values of interpretations such as "appropriateness" are translated as middle truth-values between true and false in many-valued logic. We can have different interpretations about an artwork because they are not false statements. Every interpretative statement has the middle truth-value, and therefore, there is no incompatibility among these statements. But many-valued logic is not completely well established with its problems like its unsatisfactory explanation of the functionality of logical operators. But what does make him to take many-valued logic for his theory of interpretations even with its problem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issue of interpretations? Perhaps he excludes in his concern any interpretations that do not claim to be true statements. Some cases of aesthetic interpretations, however, are intended to express feelings or appreciations of artworks. Margolis does not include various cases of ordinary interpretation behaviors in his theory. His theory has a problem of the limited domain of explanandum for aesthetic interpretations as well as the problems of many-valued logic. If there can be an interpretation theory that explains various kinds of the actual interpretation cases even with maintaining bivalent logic, it will be preferable. Stecker maintains the bivalent notion of truth. But he believes that not every interpretation is intended to be a truth claim. He introduces another standard for acceptable interpretations as well as the standard of truth. According to Stecker, interpretation behaviors can be divided via their interpretative aims, and also the acceptability of interpretations differ by their aims. One of the aims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n artwork. Under the aim of figuring out the meanings of artworks, the acceptable interpretations are true ones. But if we intend to maximize the aesthetic values of artworks, the acceptable interpretations are the ones that deliver their aesthetic values effectively. Through introducing the notion of acceptability in interpretations, false interpretations retain their status of appropriate interpretations. An instance of interpretation that turns out to be false under the aim of meaning comprehension can be acceptable under other interpretative aims. But interpretative truth is still an important notion in that it is the most explicit aim for carrying out interpretations to explain the meanings of artworks. I claim that Stecker’s theory is theoretically superior to Margolis’s as to the explanation of aesthetic interpretations. Stecker’s theory explains the extensive cases of actual interpretation practices, and also overcomes the problems of relativism though the dependency of artworks’ meanings on the artworks themselves. Furthermore, Stecker’s analysis shows the in-detail relation between the notions of interpretative aims and acceptable interpretations, which are involved in our ordinary practices of aesthetic interpretations.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realize that what is relativized in our interpretations is not the truth values of our interpretative statements but the aims of our interpretations. The notion of truth in Stecker’s theory is still of use in constraining relativism from the fallacious radical relativism. In addition, his criterion of acceptability of interpretations saves a variety of our ordinary aesthetic appreciations as appropriate interpretations.;본 논문은 예술 작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포용하면서 해석의 참 개념을 수용하는 이론을 구축할 것이다. 동일한 작품에 대하여 하나의 포괄적인 참 해석이 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은 해석 일원론으로, 다양한 해석이 동시에 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은 다원론으로 간주되어 양립 불가능하다고 취급된다. 다양한 해석을 다원론으로 취급하여 일원론과 분리하는 작업은 다양한 해석을 상대주의적으로 설명되도록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상대주의 해석 개념은 모든 해석들이 동등한 가치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상대주의자들은 해석에 있어서 고전적인 절대 진리 개념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반면에 객관주의는 하나의 참인 해석이 있고, 그 외의 해석은 거짓으로 양립불가능하다고 간주한다. 하지만 일상에서 우리는 하나의 예술작품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경우들을 보아왔다. 상대주의는 이론 내에 ‘하나의 참’인 해석을 갖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일상의 다양한 해석을 쉽게 설명하는 방식이다. 상대주의는 내부에 여러 논쟁점을 갖고 있고, 또한 상대주의와 객관주의의 구분만이 해석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설명 틀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해석을 거부하는 객관주의에 반하는 입장들을 상대주의로 간주하고 상대주의의 문제를 보완의 형태로 극복할 것이다. 20세기 이후 예술 경향에서 상대주의적 해석은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대상을 재현하는 것으로서의 예술이 쇠퇴하였고, 다의성을 띤 작품들이나 의미 자체를 해체하고자 하는 작품들이 제작 되면서 하나의 절대적인 참 해석을 지지하는 객관주의적 해석 방식은 더 이상의 실효성을 잃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대주의적 해석 방식 또한 실제 예술 비평의 사례에 적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측면을 지닌다. 상대주의 해석은 참 개념을 포기하는 것을 쉽게 허용하기 때문에 ‘무엇이든 좋다’와 같은 논쟁의 필요를 불식시키는 결론을 내놓게 된다. 더 나아가, 동일한 작품에 대한 양립 불가능한 해석 또한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해석이 그 대상인 예술 작품에 ‘대한’ 것, 그리하여 우리의 해석은 예술 작품에 의하여 결정된 것, 즉 해석이 예술 작품에 의존한다고 믿는다. 동일 대상에 대한 해석이 양립불가능할 경우, 우리는 해석이 예술 작품에 의존하고 있는지 의심하게 만든다. 상대주의의 한 입장인 극단적 상대주의는 대상으로 인해 해석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해석으로 인해 대상이 재창조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입장에서는 양립 불가능한 해석 상황을 허용한다. 그러나 양립 불가능한 해석에 대한 허용은 작품이 시공간에서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동일성 직관을 위협한다. 우리에게 주어진 이론적 과제는 두 가지이다: (1) 반객관주의 과제: 동일 대상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지는 해석 현상을 설명하라; (2) 상대주의 제약 과제: 해석들이 동일한 예술 작품에 의존하도록 보장하라. 이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기 위해 동일 작품에 대한 여러 해석들 중에서 양립 불가능한 해석을 제거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러한 접근 방식을 ‘완화된 상대주의’로 이름붙이겠다. 양립불가능한 해석 상황은 하나의 예술 작품에 대해 참인 해석과 거짓인 해석이 모두 허용되는 상황이다. 이 문제에 대한 두 가지 해결방식이 있다. 하나는 해석에 있어서 참 개념을 포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해석적 참 개념 외의 해석의 수용 기준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 구분의 중요한 차이점은 해석적 참 개념이 다른 해석 수용 기준을 도입하는 것을 막는가이다. 만약 우리가 특정 해석이 거짓으로 판명되었을 경우, 그 해석이 더 이상 어떤 방식으로 수용가능하지 않다고 결론짓는다면, 우리는 전자의 구분을 지지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특정 거짓 해석이 어떤 다른 해석 수용기준에 의해 여전히 동일 작품에 대한 해석의 지위를 유지하게 된다면, 우리는 후자를 지지하게 될 것이다. 전자의 입장을 대표하는 철학자로 조셉 마골리스를, 그리고 후자의 입장을 대표하는 철학자로 로버트 스테커가 있다. 마골리스는 예술 해석은 기본적으로 진리에 관한 주장이라고 본다. 그러나 그는 전통적인 이가 논리 체계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다치 논리 체계를 받아들여 해석적 참을 설명한다. 마골리스에게 있어서 해석에 있어서의 ‘그럴듯함’과 같은 가치는 다치 논리에 있어서 절대적 참과 절대적 거짓 사이에 있는 진리값들로 번역된다. 여러 ‘그럴듯한’ 해석적 진술들은 거짓이 아니기 때문에 동시에 주장되어질 수 있다. 그에게 해석은 정도론에서 절대 참과 절대 거짓 사이의 중간값만을 갖는다. 여기에서 양립불가능항 해석의 문제는 들어오지 않는다. 하지만 다치 논리는 함수적인 연산자 문제 등의 문제들을 갖고 있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체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작품 해석을 다치논리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파악하는 것은 진리 주장이 아닌 예술작품 해석은 배제하는 입장으로 보인다. 그러나 우리는 예술작품을 해석할 때 진리주장뿐만 아니라 진리치를 갖기 힘든 자신의 느낌이나 감상을 표현하기도 한다. 마골리스의 이론은 이러한 예술 해석의 다양한 상황을 반영하지 못한다. 마골리스의 이론은 다치 논리의 문제뿐만 아니라 예술 해석의 행위도 제약해야하는 문제도 껴안는다. 만약 우리가 이가론 내에서도 다양한 해석의 상황을 포용하는 이론이 가능하다면, 그것을 이론적으로 더 선호할 것이다. 이에 반해 스테커는 이가론적 해석의 참 개념을 유지한다. 그러나 그는 모든 해석 행위가 참을 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참과 거짓으로 나뉘는 해석적 참 개념 외에 수용가능한 해석 개념 또한 도입하고 있다. 스테커에 따르면, 해석 행위는 여러 목적에 따라 나뉠 수 있고, 각각의 목적에 따라 수용가능한 해석이 결정된다. 여러 목적 중 하나가 작품 의미 이해이다. 작품 의미의 이해가 목적일 때, 수용가능한 해석은 작품에 대한 참인 해석이다. 그러나 만약 작품에 대한 미적 가치를 최대화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감상자에게 작품의 아름다움을 효과적으로 전달한 것이 수용가능한 해석이 된다. 수용가능한 해석 개념의 도입으로, 거짓이라고 판명된 해석이 해석적 지위를 박탈당하지 않게 된다. 의미 이해 목적 아래에서 거짓이었던 해석 진술은 다른 목적에서는 수용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커가 결국 다양한 해석들을 수용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석적 참 개념을 중요하게 다루는 이유는, 예술작품을 해석하고자 하는 하나의 명백한 상황은 예술작품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할 때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마골리스의 이론보다 스테커의 입장이 우월하다고 주장한다.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해석 상황을 온전하게 설명할 수 있으면서도 작품 의미가 대상인 예술 작품에 의존하므로 상대주의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스테커의 이론은 다양한 해석들을 여러 목적에 따라 구조화함으로써 다원적인 해석 상황을 세밀하게 분석해낸다. 이 분석에 따라, 우리가 상대적으로 생각한 다양한 해석이 진리치에 있어서 상대적인 것이 아니라, 목적에 의해 상대적임을 밝힌다. ‘참’ 개념은 예술 해석 상대주의가 극단적 상대주의로 흐르지 않으면서도 다양성을 보장하는 적절한 제약적 기능으로 유효하다. 일상에서 예술 작품을 향유하는 다양한 행위들을 예술 해석의 지위로서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진리에 관한 객관주의와 상대주의 = 10 1. 철학사적 객관주의와 상대주의 = 10 1.1 객관주의의 전략 = 10 1.2 상대주의의 양면성 = 12 1.3 완화된 상대주의를 향하여 = 15 2. 예술 해석의 상대주의 = 21 2.1 재현의 예술 = 21 2.2 고정적 의미의 붕괴 = 23 Ⅲ. 해석 객관주의와 상대주의의 한계 = 26 1. 비어즐리의 객관주의적 해석론 = 26 1.1 양립 불가능한 해석의 배제 = 26 1.2 상대주의에 대한 비어즐리의 반박 = 31 1.3 해석 객관주의의 한계 = 35 2. 해석의 극단적 상대주의 = 41 2.1 극단적 상대주의의 기본입장과 가능성 = 41 2.2 작품 동일성 위협 = 47 Ⅳ. 완화된 해석 상대주의 = 52 1. 마골리스의 해석 상대주의 = 53 1.1 상대주의에 대한 입장 = 53 1.2 상대주의적 존재론 = 56 1.3 다치논리의 적용 = 62 2. 스테커의 해석 상대주의 = 66 2.1 해석 일원론과 양립 가능한 다원론 = 66 2.2 목적에 따른 상대주의 = 69 2.3 양립불가능하고 수용가능한 해석(IAI) = 71 2.4 작품 의미 = 77 Ⅴ. 해석의 ‘참’ 옹호 = 84 1. 마골리스의 ‘유사참값’ 비판 = 84 2. 해석 참 값의 필요성 = 89 Ⅵ. 결론 = 93 참고문헌 = 96 부록 : 인용 예술 작품 = 102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496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예술작품 해석에 관한 상대주의 옹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해석의 ‘참’ 개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efense of Relativism in Interpretations of Artworks : Focused on Truth of Interpretation-
dc.creator.othernameYim, Oh joo-
dc.format.pageⅷ,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