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지영-
dc.contributor.author이주희-
dc.creator이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5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9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542-
dc.description.abstractThe posterior ligament complex injury in thoracolumbar spine, which is common and results in spinal instability, is important to diagnose for the appropriate treatment. Plain radiography or CT scan cannot directly show injury of posterior ligament complex.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MR imaging features and diagnostic accuracy of supraspinous ligament injury in thoracolumbar spine. From December 2003 to June 2006, thirty-five patients who underwent thoracolumbar spine MRI after spinal trauma and surgically evaluated the presence of SSL injur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wo radiologists retrospectively evaluated sagittal MR images. The presence of SSL injury on T1-weighted, T2-weighted, and fat-suppressed T2-weighted images were recorded. The level, location according to relationship with spinous process, and distraction gap of injured SSL; the level and compression ratio of fractured vertebral body; and associated interspinous ligament or yellow ligament injury were evaluated on fat-suppressed T2-weighted images.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were calculated with surgical findings as the standard of reference. The distraction gap of injured SSL and compression ratio of fractured vertebral bo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earman correlation test. The disruption of SSL was surgically confirmed in thirty-three patients (94.3%). Thirty-one among thirty-three patients showed disrupted black stripe of SSL and the other two patients did not show any suspicious lesion of SSL injury. In two patients with surgically intact SSL, one had high signal intensity and discontinuity of SSL on MRI and the other one had normal signal intensity of SSL. The level of SSL injury was mostly at thoracolumbar junction. The most frequent location of SSL injury was near upper spinous process (61.3%). The distraction gap of injured SSL was 4.3mm (0.9-14.8 mm). The level of fractured vertebral body was most commonly (74.2%) in lower vertebra of injured SSL level. The mean compression ratio of fractured vertebral body was 21.8%. Only SSL injury was seen in 3 cases; SSI and ISL tear were seen in 8 cases; SSL, ISL and yellow ligament tear were seen in 22 case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for SSL injury were 63.6%, 100% and 65.7% on T1-weighted images, 90.9%, 50.0% and 88.6% on T2-weighted images, and 93.9%, 50.0% and 91.4% on fat-suppressed T2-weighted image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on ratio of vertebral body and distraction gap of injured SSL. In conclusion, MRI is accurate modality in evaluating of MR imaging features and diagnostic accuracy of SSL injury in thoracolumbar spine. And fat-suppressed T2-weighted image is highly sensitive and accurate method for evaluating SSL.;흉요추부 후방 인대군 손상은 다른 인대성 조직에 비해 손상이 흔하며, 불안정성을 야기하여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므로 이를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후방 인대군 손상은 단순 방사선 사진 및 computed tomography (CT)에서 진단할 수 없으므로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을 진단에 이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후방 인대군 중 극상 인대 손상에서 관찰되는 MRI 소견과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3년 12월부터 2006년 6월까지 흉요추부 극상 인대 손상을 의심하여수술을 통해 극상 인대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던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수술 전 촬영한 흉요추부 MRI 시상면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T1 강조 영상, T2 강조 영상 및 지방 억제 T2 강조 영상에서 극상 인대 손상 유무를 평가하였다. 극상 인대의 손상된 분절, 극상 인대 손상 부위, 손상된 인대의 전위 정도, 골절된 척추체의 위치, 압박률, 동반된 극간 인대, 황색 인대의 손상 유무를 지방 억제 T2 강조 영상에서 평가하였다. 수술 소견을 기준으로, 극상 인대의 손상에 대한 MRI 진단의 민감도, 특이도 그리고 정확도를 T1, T2 강조 영상과 지방 억제 T2 강조 영상 각각에서 알아보았다. 손상된 극상 인대의 전위 정도와 척추체의 압박률과의 통계학적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35명의 환자 중 33명 (94.3%)은 수술 소견에서 극상 인대 손상이 있었고, 이 중 31명은 MRI에서 저신호 강도로 관찰되는 극상 인대의 연속성이 소실되어 극상 인대 손상으로 진단되었으나, 2명에서는 MRI에서 인대 손상이 의심되는 소견이 보이지 않았다. 수술 소견에서 극상 인대 손상이 없었던 2명의 환자 중 1명은 MRI에서 극상 인대의 연속성이 소실되고 신호강도가 증가되어 인대 손상이 의심되었고, 나머지 1명은 MRI도 정상이었다. 극상 인대의 손상된 분절은 주로 흉요추부 이행부위였고, 가장 흔한 극상 인대의 손상 부위는 위쪽 극돌기의 하연 (61.3%)이었다. 손상된 극상 인대의 전위 정도는 평균 4.3 mm (0.9-14.8 mm)였다. 척추체의 골절은 극상 인대의 손상 분절의 하부 척추체에서 (74.2%)에서 가장 많이 동반되었다. 골절된 척추체의 평균 압박률은 21.8% (1.1-47.5%)였다. MRI에서 극상 인대 단독 손상은 3예 (9.1%)였고, 극상 인대와 극간 인대의 손상은 8예 (24.2%)였으며, 극상 인대, 극간 인대와 황색 인대가 모두 손상된 경우는 22예 (66.7%)였다. MR 영상 기법에 따라 T1 강조 영상의 민감도는 63.6%, 특이도는 100%, 정확도는 65.7%였고, T2 강조 영상의 민감도는 90.9%, 특이도는 50.0%, 정확도는 88.6%였고, 지방 억제 T2 강조 영상의 민감도는 93.9%, 특이도는 50.0%, 정확도는 91.4%였다. 골절된 척추체의 압박률과 손상된 극상 인대의 전위 정도와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p = 0.639). 결론적으로 MRI는 흉요추부 극상 인대의 손상 및 동반되는 소견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유용한 영상 기법이며, 시상면 지방 억제 T2 강조 영상이 가장 우수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II. 대상 및 방법 = 3 A. 연구 대상 = 3 B. MR 영상 획득 방법 = 3 C. MR 영상 분석 방법 = 4 D. 통계학적 분석 = 5 III. 결과 = 6 IV. 고찰 = 8 V. 결론 = 14 표 = 15 사진부도 및 설명 = 17 참고문헌 = 22 Abstract = 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02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흉요추부 극상 인대의 손상에 대한 자기 공명 영상 (MRI) 소견과 진단적 유용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upraspinous Ligament Injury in Thoracolumbar Spine : MR Imaging Features and Diagnostic Accuracy-
dc.creator.othernameLee, Ju Hee-
dc.format.pageⅷ, 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