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승태-
dc.contributor.author이아영-
dc.creator이아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1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9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19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to analyze the comprehension of human being, which appeared in Jean Paul Sartre's early thought, through the concept of 'Authority'. The period to be analyzed was established till 1939 when there was a change in Sartre's thoughts, an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most of his literature works were mainly novels, objects to be analyzed for this study were limited to his novels alone so that the comprehension on human being which formed in Sartre's early thoughts might be dealt with in this study. First of all, under the title of ‘Outlook on the others in Jean Paul Sartre's Early Thoughts' there can be two different parts divided such as ‘the other person as an existence to threaten oneself' and ‘the recognition of the other person seen through criticizing the humanism' in analyzing the concept of the others commonly appeared in Sartre's works. ‘The other person as an existence to threaten oneself' was expressed as ‘an existence who can bother or harm oneself anytime', ‘an existence who doesn't respect one's opinions or feelings and takes away one's life' and ‘an existence who tries to have a sense of superiority over oneself and disregard or depreciate an inferior person'. Sartre's problematic recognition on ‘Humanism' began with being forcibly requested far from a simple matter of choice, criticizing that ‘Humanism' would turn into ‘an unconditional defense for human behaviors and human being itself'. Under the title, ‘Human being and Authority in Jean Paul Sartre's Early Thoughts' on the basis of such an argument, Sartre's outlook of the others was attempted to develop so that 3 kinds of people could be classified and described, such as ‘a routinized person', ‘an anguished person to find the meaning of life' and ‘a person whose purpose of life and feeling of existence are distinctive'. ‘A routinized person' doesn't consider other matters involved with himself, others and the society, but take priority over his own welfare and comforts of his life, not behaving for a better future. ‘An anguished person to find the meaning of life' himself thinks he is different from routinized people, so he denies a typical life. Through endless anguishes, he reaches the stage of realizing ‘the meaninglessness and uselessness of an existence', but he is inclined to grant a certain meaning to his existence again even after realizing the coincidence of an existence and the reason to live a life is gone. ‘A person whose purpose of life and feeling of existence are distinctive' leads a life which the others cannot replace with their life, having influence on the various others and doers. He is agonized about his own life ceaselessly and tries constantly to overcome and complete the anguish. In Sartre's outlook of the others which can be summarized as ‘the other person as an existence to threaten oneself', in order to survive the relations with the others, it is required to be equal or superior to them, for which it is needed to gain ‘Authority' or ‘Power'. ‘A routinized person' taking priority over ‘his own comforts of life' is not even inclined to acquire ‘Authority' because he is rather passive in ‘making efforts to acquire ‘Authority' and taking on ‘Duties' given when acquiring ‘Authority', even though he prefers ‘Rights' those who have ‘Authority' exercise. On the contrary, ‘a person whose purpose of life is distinctive' who has acquired ‘Authority' is inclined to exercise more influence on the others, the society and the country and get involved in more affairs in return for sacrificing ‘his comfortable life'. Sartre tried to take the antipathy against ‘a routinized person - a person who doesn't possess authority' through ‘an anguished person to find the meaning of an existence - a person who tries to acquire authority', advocating ‘a person whose purpose of life is distinctive - a person who possesses authority'. Through this study, inquiries could be made into the issue of ‘Authority' in the comprehension of human being appeared in Sartre's early thoughts. Sartre's ‘Authority' is comprehended as ‘Rights' given to those who are willing to give up their wellbeing and perform their responsibility and duty, having influence on the others, the society and country in addition to oneself and getting involved in their problems. The main principle of his thought was established as a pattern of life worth pursuing for ‘a person who possesses authority'.;본 연구는 사트르트(Jean Paul Sartre)의 초기 사상에서 나타나는 인간 이해를 ‘권위’ 개념을 통해 분석해 보려는 시도이다. 분석 시기를 사르트르의 사상에 변화가 있기 전인 1939년까지로 정하고, 분석 대상을 당시 사르트르 작품의 대부분이 소설이었음을 감안하여 소설로 제한한다. 이로서 사르트르의 사상에서 가장 처음 형성된 인간 이해를 다루고자 했다. 먼저 ‘사르트르 초기 사상의 타자관’ 이라는 주제로 사르트르 작품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타자 인식을 분석하는데 ‘자신에게 위협이 되는 존재로서 타자’와 ‘휴머니즘 비판을 통해 본 타자 인식’의 두 부분으로 구분한다. ‘자신에게 위협이 되는 존재로서 타자’는 ‘언제든지 자신을 괴롭힐 수 있고 해를 가할 수 있는 존재’, ‘자신의 의사나 감정을 존중해 주지 않으며, 이유 없이 자신의 생명을 박탈하는 존재’, ‘항상 상대보다 우월성을 갖고자 하며, 자신보다 우월하지 못한 상대를 무시하거나 깔보는 존재’로 나타난다. ‘휴머니즘’에 대한 사르트르의 문제 인식은 ‘휴머니즘’이 단순한 선택의 문제에서 벗어나 강제적으로 요구된다는 것에서 시작하는데, ‘휴머니즘’은 곧 ‘인간의 행위와 인간 자체에 대한 무조건적인 옹호’가 된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르트르 초기 사상의 인간과 권위’라는 주제로 사르트르의 타자관을 발전시켜 세 가지의 인간으로 구분하여 서술한다. ‘일상화된 인간’, ‘존재의 의미를 찾기 위해 고뇌하는 인간’, ‘삶의 목적과 존재감이 뚜렷한 인간’이 그것이다. ‘일상화된 인간’은 자신이나 타인, 사회의 문제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의 안위만을 위하기 때문에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행동하려 하지 않는다. ‘존재의 의미를 찾기 위해 고뇌하는 인간’은 스스로가 ‘일상화된 인간’들과 다르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삶을 거부한다. 끊임없는 고뇌를 통해 ‘존재의 무의미함’과 ‘공연함’을 깨닫게 되는 데에 이르는데, 존재의 우연함을 깨닫고 살아야 할 이유가 없어진 후에도 자신의 존재에 다시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삶의 목적이 뚜렷한 인간’은 타인이 대체할 수 없는 삶을 영위하며, 여러 타인과 행위자들에게 영향력을 미친다. 그들의 자신의 삶에 대해 끊임없이 고뇌하며 이를 극복하고 완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자신에게 위협이 되는 존재로서 타자’로 요약되는 사르트르의 타자관에서 타인과의 관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그들과 대등하거나 우월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권위’나 ‘권력’이 필요하다. ‘자신의 삶의 안락함’을 최우선으로 하는 ‘일상화된 인간’은 ‘권위’를 획득하려 하지 않는데, 이는 ‘권위’를 가진 자가 행사하는 ‘권리’는 선호하지만 ‘권위를 얻기 위한 노력’과 권위에 따르는 ‘의무’를 지는데 있어서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권위를 획득한 ‘삶의 목적이 뚜렷한 인간’들은 기꺼이 ‘자신의 안락한 삶’을 포기하는 대신, 타인과 사회와 국가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고 더 많은 일에 관여한다. 사르트르는 ‘존재의 의미를 찾기 위해 고뇌하는 인간 - 권위를 얻으려는 인간’을 통해 ‘일상화된 인간 - 권위 없는 인간’에게 혐오를 던지고, ‘삶의 목적이 뚜렷한 인간 - 권위 있는 인간’을 옹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르트르의 초기 사상에서 나타나는 인간 이해에서 ‘권위’의 문제를 고찰해 볼 수 있었다. 사르트르의 ‘권위’는 자신 외에 타인, 사회, 국가의 문제에 관여하여 영향력을 미치고, 이를 위해 자신의 안위를 기꺼이 포기하며,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이들에게 주어지는 ‘권리’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권위 있는 인간’이 추구할 만한 삶의 형태로 설정되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 1 제2절 연구방법과 구성 = 6 제2장 사르트르 초기 사상의 타자관 = 9 제1절 자신에게 위협이 되는 존재로서 타자 = 9 제2절 휴머니즘 비판을 통해 본 타자 인식 = 20 제3장 사르트르 초기 사상의 인간과 권위 = 29 제1절 일상화된 인간 = 29 제2절 존재의 의미를 찾기 위해 고뇌하는 인간 = 35 제3절 삶의 목적이 뚜렷한 인간 = 43 제4절 세 가지 인간상과 권위 문제 = 48 제4장 결론 : 사르트르에게 권위의 문제 = 53 참고문헌 = 57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49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르트르(Jean Paul Sartre) 초기 사상의 인간과 권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벽 Le Mur』과『구토 La Nause´e』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Human Being’ and ‘Authority’ : Focusing on 『Le Mur』 and 『La Nause´e』-
dc.creator.othernameLee, Ah-Young-
dc.format.pageⅳ,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치외교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