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지윤-
dc.creator박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0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8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074-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정보화 사회로서 문제해결능력 및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갖춘 사람을 필요로 한다.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적 접근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문제중심학습은 복잡하고 실생활의 맥락 속에서 비구조화된 문제로부터 수업을 시작하여 의미 있는 해결방법을 찾아내게 함으로써 교과 지식뿐만 아니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동시에 가르칠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이다. 이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에서의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현재 초등학교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시행하면서 이루어진 평가 사례를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에서 문제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학습 실행에 대한 교사의 자기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생의 학습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이 연구는 사례 연구로서 문제중심학습을 실시해 오고 있는 E초등학교 3학년 C반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며 실시하고 있는 평가 내용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문제는 교수-학습이 실행되기 이전인 문제중심학습 계획 단계에서 문제의 역할, 문제의 비구조성, 문제의 실제성을 고려하여 문제를 평가하였다. 둘째, 교수-학습에 있어서 수업에 대한 교사의 자기평가는 문제중심학습 실행 이전, 실행 중, 실행 이후에 학생의 학습 결과물과 교사 자기평가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기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학생의 학습에 대한 평가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소인 교과 지식 내용 습득에 대한 평가에 비중을 두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평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문제중심학습에서 바람직한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에서 문제에 대한 평가, 교수-학습에 있어서 교사의 자기 평가, 학생의 학습에 대한 평가는 분절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역동적이며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생의 학습에 대한 평가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의 목표인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협동 능력이 평가되어야 한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교육과정 계획에서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목표로 인식되고 있다. 즉, 교육과정에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목표로 설정되고, 그에 따라 평가가 계획되고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으로서의 문제중심학습을 볼 때, 교육과정 목표에 있어서 수정이 필요하다. 창의적 문제해결력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과 협동 학습 능력의 신장 또한 교육과정의 목표로 설정되어야 한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나 협동 능력의 경우, 성찰 저널을 통해 학생이 그에 대한 자기 평가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 및 평가 계획 및 실행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생이 ‘어떻게 학습했는가’에 초점을 둔 개개인의 변화와 발달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과정중심의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교사의 자기평가에 있어서 교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 교사의 자기평가 이후 교사 변화에 대한 시간과 지원이 필요하다. 교사의 자기평가가 일회적인 반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수업평가 이후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성장시킬 수 있는 전문적인 학습의 기회가 주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원과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문제중심학습이 나아가야할 평가 방향의 위해 다른 영역이나 교과에서 실행되는 평가에 관한 연구, 교수-학습 수업과정 속에 일어나는 평가 유형에 관한 연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협동 능력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등을 제안한다.;Problem-Based Learning(PBL) has become an important educational approach to suit for the knowledge-based society. PBL leads to teach a course of study as well as a creativ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by suggesting ill-structure problems, which come from the complicated real life.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se of evaluation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In the case study of C class of the third grade in E elementary school, what are served in PBL are the problem, the self-evaluation of teachers, and the estimating of the study of students. First, the problem was evaluated befor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teachers proceed it according to the previous classes. They considered the role, ill-structure and reality of the problem by modifying the past failure. Secondly, the teacher evaluated their teaching dur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 the terms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y had reconsidered whether the participation and question of themselves were appropriate or not through the result of the class by students. The third, the abilit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was evaluated in the students' assessment. The ability creative problem solving was aimed in the curriculum and planed to be evaluated, but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cooperated skill is not planned to be. However, both of them has been done in the process of study to be self-assessed by students. This study results were revealed as on the followings: First, As evaluating the problem; and the self-assessmen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by teachers are interactive and complementary cooperative far from being divided in PBL.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depends on the quality of the problem. Suggesting the good problem is the most important in PBL. The teacher, who understands this, would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then could appraise the problem with the result of students' work, and teaching process. The modified problem through these evaluations is applied to the following class, which is evaluated by the result of this class. This evaluation would direct the way of the next class again, and these processes affect the full results of students. The teacher could asses the whole classes through these results, which is needed to review the problem. Therefore, the evaluation of students' result is rotating in a cycle. Secondly,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self-directing; and the cooperated skill in the goal of PBL are assessed for the evaluation of students' result.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is scheduled to be evaluated by the result of course works, which means that the teachers value the abilit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lthough the ability of self-directing, and the cooperated skill are not designed to be assessed, these are self-reflected by students with reflective journal. The third, there are traditional methods to evaluate the student work. It is executed mainly by the teacher whose assessment about the final result of problem solving and the paper-and-pencil test. While the abilit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s evaluated by students' own solutions, the knowledge of contents is estimated by the paper exam. This would reflect the traditional assessment is preferred. Hence force, the teacher is required to change the point of view point for PBL. They should devote deep study it, and approach it in diverse ways. The forth, the systemic teacher education is supported for the develop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fter self-evaluating of teacher, it is necessary to support professional education for good teachers. Theore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is finding of study are offered as follows; studying the case on evaluating problem based learning in other areas or subjects, studying how the evaluation is processed on the clas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developing assessment rubrics or checklist of self directed learning and cooperative skills for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II. 이론적 배경 = 4 A.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Learning:PBL) = 4 1. 문제중심학습의 개념 = 4 2. 문제중심학습의 목적 = 5 3. 문제중심학습의 특징 = 9 4. 문제중심학습의 진행 단계 = 11 B. 문제중심학습의 평가 = 14 1. 문제중심학습의 평가 특징 = 14 2. 문제중심학습의 평가 영역 = 17 III. 연구방법 = 45 A. 연구방법의 배경 = 45 B. 연구설계의 구체화 과정 = 46 1. 연구 문제의 설정 = 46 2. 연구 참여자의 선정 = 47 3. 연구 대상 교실의 전형적 문제중심학습 수업의 맥락 = 52 C. 자료의 수집 및 분석 = 57 1. 자료의 수집 = 58 2. 자료의 정리와 제시 = 59 3. 자료의 분석 = 61 IV. 연구결과 및 해석 = 62 A. 문제에 대한 평가 = 62 B. 교수-학습 실행에 대한 교사의 자기평가 = 67 1. 교수-학습 실행 중의 교사의 자기평가 = 67 2. 교수 학습 실행 이후 교사의 자기평가 = 72 C. 학생의 학습에 대한 평가 = 73 1. 교육과정 문서상의 목표 = 74 2. 구체적인 평가 계획 = 76 3. 학생의 학습에 대한 평가 결과 = 84 4. 학생 평가 결과의 보고 = 99 V. 결론 = 101 A. 요약 및 결론 = 101 B. 시사점 및 제언 = 103 참고문헌 = 106 부록 = 114 ABSTRACT =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161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수업평가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3학년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Evaluating Problem-Based Learn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dc.creator.othernamePark, Jee yoon-
dc.format.pagex,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