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덕희-
dc.creator이덕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8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8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870-
dc.description.abstractPurpose: Cenral venous catheter(CVCs) account for an estimated 90% of all catheter 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 We investigated that what is the risk factors to catheter-related infection. Methods: All patients with a central venous catheter from January 2006 to August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ICU) and emergency department(ED) of Ewha medical center.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patients' characteristics, maximal sterile barrier (MSB; with surgical gown, cap, mask, glove and large drape) precautions, insertion sites, catheter durations, type of inserted central venous catheter(CVC). Catheter-related infections were diagnosed by quantitative catheter cultures and/or quantitative blood cultures. Result: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9.15 ± 17.81 years, male 80(60.2%), female 53(39.8%). 133 catheters (ICU 45/ ER 88) were inserted and there are 15 catheter related infection(CRI). The 42(31.6%) catheters were inserted by using 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s. There were one catheter infection (2.4%) in MSB group(OR 5.205, p=0.023). 85(63.9%) patients were inserted with chlorhexidine-silver sulfadiazine coated catheter(CHSS), 5(5.9%) of them were catheter-related infections(OR 5.269, p=0.022). Conclusion: The use of MSB and CHSS would lower the risk of acquiring CRI.;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은 대량의 수액 공급, 장기간 또는 고농도의 수액 투여, 혈역학적 관찰, 약물 투여, 전비경구적 영양, 혈액 투석 등을 목적으로 중환자와 만성적인 질환을 가지고 있는 많은 환자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필수적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혈관 내 장치와 관련된 감염은 3%에서 4%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 중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에 의한 감염이 약 90%를 차지한다. 이로 인한 감염은 연간 10%의 치사율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심정맥 카테터 관련 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몇몇 보고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중심정맥 카테터와 관련된 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보고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 관련 감염률 및 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이대목동병원 응급실과 외과계 중환자실에서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이 시행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항목들로는 시행한 날짜, 성별 및 나이, 기저질환, 시술 장소, 시행자, 시술 환경 즉, 수술가운, 마스크, 모자, 장갑, 넓은 소독을 시행하였는지 여부와, 시술 위치, 삽입 횟수, 시술 목적, 중심정맥 카테터 종류, 항생제 사용 여부 등이었다. 시행 후에는 중심정맥 카테터 제거 날짜, 제거 이유, 중심정맥 카테터 말단부 배양 여부 및 결과, 혈액 배양 여부 및 결과와 다른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였다. 중심정맥 카테터가 시술된 곳의 국소적 발적, 중심정맥 카테터 배양에서 양성인 경우, 중심정맥 카테터 관련 감염의 특징인 발열시 혈액배양 양성이거나 제거시 증상이 호전된 경우 등을 중심정맥 카테터와 관련된 감염으로 정의하였다.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이 시행된 환자는 중환자실 45명, 응급실 88명으로 총 133명이었고, 남자는 80명(60.2%), 여자는 53명(39.8%)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59.2 ± 17.8세이었다. 수술가운, 모자, 마스크, 장갑 등의 철저한 방어벽을 시행한 비율은 42명(31.6%)이었다. 133명중 15명(11.3%)가 카테터 관련 감염이 있었다. 단변량 분석 경과 모자, 마스크, 수술 가운을 시행하고 중심정맥 카테터를 삽입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염률이 낮았으며(p=0.011, 0.001, 0.005), 철저한 방어벽이 시행된 경우 감염률이 낮았다(p=0.036). 또한 클로르헥시딘 실버 설파다이아진 전처리 카테터(chlorhexidine-silver sulfadiazine coated catheter, 이하 CHSS)를 사용한 경우 항생제가 전처리 되지 않은 카테터(non-coated catheter, 이하 NCC)를 사용한 경우보다 감염률이 낮았다(p=0.019).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마스크(Odds ratio (이하 OR) 4.707, p=0.030), 철저한 방어벽(OR 5.205, p=0.023), CHSS(OR 5.269, p=0.02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염률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삽입 시 철저한 방어벽을 시행한 경우 감염률이 낮았으며, CHSS를 사용한 경우 감염률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환자실, 병동 및 응급실에서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 시 철저한 방어벽을 시행하여야 하며, 향후 CHSS를 사용하는 것이 감염을 줄이는데 비용대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II. 연구대상 및 방법 = 3 1. 연구 대상 = 3 2. 연구 방법 = 3 A. 조사항목 = 3 B. 카테터관련 감염의 정의 = 4 C. 카테터 선택 및 세균 배양 검사 = 5 D. 통계 = 5 III. 결과 = 7 1.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 7 2. 중심정맥 카테터 관련 감염률 및 배양 검사 결과 = 7 3. 중심정맥 카테터 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8 A. 단변량 분석 결과 = 8 B.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 10 IV. 고찰 = 13 V. 결론 = 18 VI. 참고문헌 = 19 VII. 부록 = 22 Abstract = 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61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에 있어 감염의 발생 정도와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전향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isk factors for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s : a prospective study-
dc.creator.othernameLee, Duk Hee-
dc.format.pageviii, 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