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녹내장 진행에 따른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 변화

Title
녹내장 진행에 따른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 변화
Other Titles
Longitudinal analysis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with GDx-VCC in glaucoma suspect
Authors
서울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녹내장은 망막신경절세포와 축삭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시신경 유두와 망막신경섬유층의 변화가 시야 결손에 선행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가변각막보정 주사레이저편광측정계(GDx-VCC, Laser Diagnositc Technologies, Inc, San Diego, CA, USA)는 녹내장의 조기 진단과 망막신경섬유층의 정량적 두께 변화의 추적 관찰에 유용하다고 보고되었으나, 지금까지 녹내장의 진행과 연관하여 GDx-VCC의 장기적인 변화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녹내장 의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녹내장성 시야 진행에 따른 GDx-VCC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여 그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4년 7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녹내장 의증으로 진단 후 한달이내 GDx-VCC를 시행받고, 최소 12개월 이상 간격으로 GDx-VCC의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150명 15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과 관찰기간 중 녹내장성 시야 변화가 관찰되었던 42안은 녹내장 진행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녹내장성 시야 변화를 보이지 않았던 나머지 108안은 비진행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에서 GDx-VCC 의 변화를 알아보고, 시야와의 연관성에 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진행군에서 경과 관찰기간 동안 inferior average, inferior maximum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임상적인 의의를 찾기는 어려웠으며, 진행군에서 녹내장성 시야 결손을 나타낸 전과 후 파라미터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진행군에서 시야 결손 손실율은 0.18dB/year였으며, 시야의 MD, PSD와 GDx-VCC간의 유의한 관계는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GDx-VCC의 각 파라미터들은 녹내장 의증에서 초기 녹내장으로 진행시 녹내장성 시야 진행에 따른 망막신경섬유층의 장기적인 추적 관찰의 진단적 기기로는 제한이 있으며, 시야 검사를 통해 초기 녹내장의 확진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importance of retinal nerve fiber layer(RNFL) defects as an early features of glaucoma has been emphasized. GDx-VCC(Laser Diagnostic Technologies, Inc, San Diego, CA, USA) has been recently reported to have a diagnostic accuracy for glaucoma and seems highly reproducible in a longterm-test. We analyzed the changes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with GDx-VCC to assess the use of this instrument for longitudinal follow up of RNFL. From July 2004 to July 2007, patients with glaucoma suspect have been measured GDx-VCC at baseline and repeated minimum 12 months interval. Humphrey automated visual field was performed for 6 months interval. Other clinical datas including topographic scanning system(TopSSTM, version 2.2, LDT, inc., USA), age, refractive errors, IOP and medical conditions were also reviewed. In a total 150 eyes of 150 patients, 42 patients that showed glaucomatous visual field progression in 36 months were classified into a "progression group" and 108 patients with no visual field loss into a "nonprogre19 ssion group". In a nonprogression group, TSNIT average, inferior avera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for follow up periods but there was no clinical correlation. However, in a progression group, there were no parameters with significant changes even though glaucomatous visual field loss was found. In aspect of relationships between glaucoma risk factors and GDx-VCC, NFI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D ratio, ag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fractive errors. Visual field progressed at a rate of 0.1dB/year in a progression group but we could not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D, PSD and GDx-VCC parameters. GDx-VCC may not be sufficient for longitudinal assessment of the RNFL, especially early glaucomatous visual fied changes. The caution is needed to judge the progression of glaucoma only with GDx-VCC and the confirmation with visual field which elucidate early glaucomatous changes is necessary. Further study is needed before GDx-VCC can be recommended as the instrument for longitudinal assess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