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원-
dc.creator김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5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7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52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철도공사 전기 기술단 작업자를 대상으로 작업복의 착용실태를 조사하여 현작업복의 불편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착용감 및 동작 적합성등 기능성이 향상된 작업복을 설계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는 직접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작성되었으며 전기 기술단의전철전력팀, 정보통신팀, 신호제어팀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213부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디자인, 소재, 패턴에 반영하여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실험복과 현재 착용하는 작업복과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실 평가와 현장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기 기술단 작업자 착의 실태 조사 작업 시 가장 중요시 여기는 기능은 활동성과 안전보호성으로 응답하였으며, 현재의 작업복에서 작업동작에 따른 불편부위로 작업복 상의에서는 상체를 앞으로 구부릴 때 허리가 노출로 인한 불편함과 팔꿈치 부위, 등너비 부위의 순으로 불편하다고 조사되었다. 작업복 하의는 무릎부위, 엉덩이 부위, 밑위부위 순으로 불편함이 조사되었다. 작업복 방한 점퍼의 경우 상체를 앞으로 구부린 동작에서 뒤 허리가 노출되어 불편하다고 조사되었으며,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 시 밑단이 올라가는 불편함이 조사되었다. 2. 실험복 설계 한국철도공사에서 근무하는 작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안전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1) 디자인 설계: 실험복 색상은 작업복 상/하의는 현재의 남색, 방한 점퍼는 갈색 빛이 도는 진한 베이지색으로 선정하였으며 주머니와 재귀 반사 테잎을 디자인 요소로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작업복 상의와 방한 점퍼의 여밈을 양방향 지퍼를 사용하여 상황에 따라 작업자 스스로 조절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2) 소재 설계: 발수가공 처리가 되어있는 원단을 사용하여 예기치 못한 날씨의 변화와 오염을 이겨낼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였다. 작업 시 가시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슴부위, 등부위, 바지 옆선, 바지 밑단 부위에 재귀 반사 소재를 사용하여 안전성을 부여하여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3) 패턴 설계: 겨드랑이 당김 현상의 개선과 활동성 향상을 위해 작업복 상의와 방한 점퍼를 소매 안쪽과 앞판과 뒷판의 옆선이 연결된 형태로 제작하였다. 작업복 상의의 등부위의 수평방향의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해 견갑골 부위 양쪽에 4㎝의 액션 플리츠를 설계하였다. 팔꿈치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활동성을 더하기 위하여 작업복 상의와 방한 점퍼의 팔꿈치 부위에 턱을 설계하였다. 엉덩이와 샅 부위의 당김에 대해서는 샅부위에 4.5㎝의 여유량을 추가하여 당김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무릎부위에 너비 1.4㎝의 턱을 2.5㎝간격으로 세 개 설계하여 무릎 부위가 당기는 불편함을 개선하였다. 3. 착의 평가 1) 외관 및 맞음새 평가: 실험실 평가에서 외관 및 맞음새 평가 결과 피험자 집단과 전문가 집단에서 전체적인 외관, 어깨너비, 앞품, 겨드랑이 부위, 소매통 항목에서 현작업복 보다 실험복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집단의 경우 대부분의 항목에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동작 적응성 평가 결과 피험자 집단과 전문가 집단에서 작업복 상의의 칼라 높이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현작업복보다 실험복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집단의 경우 대부분의 항목에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객관적 평가에서 상의 옆 밑단과 뒤 밑단의 위치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실험복이 현작업복보다 더 작게 측정되었다. 2) 현장 평가: 방한 점퍼의 칼라 높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만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실험복이 현작업복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었으며, 대부분의 항목에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wearing working clothes for the workers who work in Electric Technology Division, Korea Railroad Corporation, to identify inconveniences and problems in relation to the working clothes, and based on the examination, to find a way to improve them, creating a design of summer working clothes that will have more advances functionalities including activity adaptability and comfort. 1. Survey on work clothing of electronic engineers What electronic engineers considered most important with regard to their work clothing was that it should increase the worker's activity, safety and protectiveness. And the most uncomfortable part of the current upper work clothing they said, was the bottom hem, which rose up when they bended their upper bodies, exposing their backs, followed by elbow part, and back width. As for pants, the most uncomfortable part was knee area, followed by hip and crotch area. As for the jumper for winter, engineers said when they bended their upper bodies their backs were exposed, which made them uncomfortable. Also, when they held up arms the bottom hem rose up, exposing their bellies. 2. Designing of the experiment suit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the workers of Korea Railroad Corporation, experimental clothing which increased the worker's safety and activity was produced. 1) Design planning: Indigo, the color of current work clothing for electronic engineers and dark beige were selected for the upper and lower experimental work clothing and jumper for winter respectively. Design factors used for experimental clothing included pockets and reflective tape. In addition, two-way zippers were used in both upper clothing and jumper to allow workers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ams on both clothes. 2) Fabric planning: Water-repellent finished fabric which survives unexpectedly changing weather and pollution was used. Besides, reflective tape was used on chest, back, sides of the pants, and bottom hem of the pants to improve safety through increased viability. 3) Pattern planning: In order to reduce tightness at the armpits and to improve the worker's activity, sleeve in-seams and the sides of front and back parts of the upper clothing were connected in one piece. In addition, in order to resolve horizontal stress on the back of the upper clothing, 4㎝ action pleats were added at the both ends of bladebone. Furthermore, upper clothing and jumper were tucked up above the elbows to alleviate uncomfortable conditions at the elbows and improve the worker's activity. Besides, in order to minimize tightness on the hip and crotch areas, the circumference of 4.5㎝ was added to crotch area, but no additional circumference was added to hip area. And, three 1.4㎝ wide tucks were used at 2.5㎝ space on the knees to alleviate tightness on the knees. 3. Assessment 1) Appearance and fitting test: Both the experiment group who wore experimental clothing for test and the expert group evaluated that experimental clothing was better than current work clothing with regard to overall appearance, shoulder width, front width, armpit areas, and the widths of sleeves. The expert group's evaluation showed that experimental clothing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current work clothing in most areas. The test of movement adaptability found both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expert group evaluated that experimental clothing was better than current work clothing in all areas except for the height of the collar of upper work clothing. The expert group's evaluation proved that experimental clothing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current work clothing in most areas. In objective evaluation, test of changes in bottom hems of side and back of upper clothing showed that experimental clothing displayed less changes than current work clothing. 2) Field Test: Experimental clothing was better than current clothing in all areas except for the height of the collar of jumper for winter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most area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의 범위 = 2 II. 이론적 배경 = 3 A. 한국철도공사 특성 = 3 B. 철도 전기 기술단 작업환경 및 재해 = 5 C. 철도 전기 기술단 작업 특성 = 9 D. 철도 전기 기술단 작업복 = 13 III. 연구방법 및 절차 = 32 A. 기존 작업복 실태조사 = 33 B. 실험복 설계 = 34 C. 착의 평가 = 34 IV. 연구결과 및 고찰 = 43 A. 한국철도공사 전기 기술단 근로자 설문지 분석 = 43 B. 실험복 설계 = 54 C. 현작업복과 실험복에 대한 착의 평가 = 78 V. 결론 및 제언 = 98 A. 결론 = 98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100 참고문헌 = 102 부록 = 105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658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철도공사 작업복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전기 기술단 동복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Development of Working Clothes for Railroad Workers : With a Focus on Electric Technology Division-
dc.creator.othernameKim, Ji Won-
dc.format.pageviii,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