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3 Download: 0

디지털 시대 영화의 하이퍼매개성 연구

Title
디지털 시대 영화의 하이퍼매개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ypermediacy in Cinema of the Digital Age
Authors
김영주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철균
Abstract
본고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특징인 하이퍼매개성이 디지털 미디어를 재매개한 영화에서 어떻게 드러나는가에 주목하여, 하이퍼매개성에서 디지털 시대 영화의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찾는 것에 목적을 둔다. 디지털 시대 영화는 디지털 미디어를 재매개한 영화들을 말한다. 디지털 테크놀로지뿐만 아니라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이미지의 원리와 속성,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새로운 사유들을 재매개하는 것을 포함한다. 미디어는 매개를 투명하게 하려는 비매개의 욕망과 매개를 드러내려는 하이퍼매개의 욕망을 함께 가지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를 퇴행적으로 재매개한 영화도 환영성을 공고히 하는 비매개성과 매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재현 방식을 실험하는 하이퍼매개성을 모두 보여주고 있다. 디지털 시대 영화 미학의 새로운 가능성은 디지털 미디어를 어떻게 재매개하는가에 달려있다. 들뢰즈(Gilles Deleuze)가 『영화II: 시간-이미지(Cinema II: L’image-temps)』에서 논의한 새로운 영화에 대한 사유는 디지털 시대의 영화를 논의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토대를 제공한다. 『시간-이미지』에서의 개념들은 디지털 미디어의 속성과 원리로 인해 드러나는 영화의 새로운 이미지와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매우 적절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시대에 와서 더욱 구체적인 분석의 대상을 찾은 듯 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의 테크놀로지 및 속성과 원리가 어떻게 새로운 영화의 재현과 사유에 대한 질문을 촉발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여, 질 들뢰즈의 시간-이미지 미학이 디지털 시대 영화의 새로운 미학을 고찰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주고 있다는 점을 논증한다. 그리고 시간-이미지의 순수시청각적 상황, 크리스탈 이미지, 무리수적인 연결, 허위의 서사라는 네 가지 특성에 따라, 디지털 시대 영화의 재매개 양상을 비규정적 배경, 이미지의 비가시적인 경계, 공간적 몽타주, 비유기적 내러티브, 비재현적 사유로 분석한다. 이어서 디지털 시대 영화의 재매개 양상에서 드러나는 하이퍼매개의 특성을 다섯 가지 - 미디어로 매개되는 시공간, 시뮬라크르 이미지의 변형, 이질적 시공간의 가시적인 경계, 내러티브의 허위성 드러내기, 관객의 공간 드러내기 -로 정리하고, 구체적인 작품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주된 분석 텍스트로는 미셸 공드리(Michel Gondry)의 두 영화, <이터널 선샤인>(E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과 <수면의 과학>(The Science Of Sleep)을 들되, 최근의 한국영화들도 예로 언급한다. 디지털 시대의 하이퍼매개성은 아방가르드적인 실험 영화에서 제한적으로 드러나던 영화의 하이퍼매개적 전통에서 나아가, 환영적 세계로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는 대중 극영화에서도 새로운 서사의 추동 원리가 되고 있다. 기존의 메타-픽션이나 자기반영적 기법과 유사한 기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표현 양식과 목적, 그리고 수용의 측면에 있어서 다르게 작용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 영화의 하이퍼매개성은 영화의 환영적 세계를 부정하지 않고, 관객으로 하여금 몰입과 이탈을 왕복하게 하면서 새로운 유형의 재현을 보여주고 있다. 하이퍼매개성은 새로운 매체미학을 주도하고 있으며, 디지털 시대 영화에 있어서 새로운 미학적 성취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k for new cinema aesthetics through hypermediacy which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digital media.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s of expression and acceptance of the hypermediacy in cinema of the digital age. The term of cinema of the digital age is the cinema which remediate digital media not only its technology but also the principal and characteristic of its storytelling, image and even its way of thinking. A new aesthetic possibility of cinema of the digital age is on how to remediate digital media. According to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 the two principal styles or strategies of remediation are transparent immediacy and hypermediacy. Cinema of the digital age also shows transparent immediacy which tries to keep illusional representation and hypermediacy which experiment new representational expression of media. In order to analyze the remediation aspects in cinema of the digital age, this research applies and reconstructs the concepts of ‘time-image’ aesthetic of Gilles Deleuze. The thoughts about new cinema which Deleuze presented in Cinema II: L’image-temps give a significant foundation of discussion about cinema of the digital age. Furthermore, the concepts in Cinema II: L’image-temps seem to find the proper subject to analyze in digital age.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ses of remediation in cinema of the digital age and extracts five characteristics of hypermediacy. Those are the media -mediated time and space, the transformation of simulacra image, the visible boundary of heterogeneous time and space, discovering of narrative falsity, and discovering the space of the audience. The subjects for analysis are recent Korean films as well as Michel Gondry’s two films - E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 and The Science Of Sleep.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the hypermediacy in cinema of the digital age is expressed and accepted differently from meta-fiction or self-reflectivity in cinema. Hypermediacy gives new narrative forms to popular films which have immersion experience to the audience. Hypermediacy enables to lead new media aesthe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