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黃壬玲.-
dc.creator黃壬玲.-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7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2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7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294-
dc.description.abstractEarly detection of deafness is of paramount importance for the success of rehabilitation of the deaf child. Inasmuch as complete deafness in usually not detected until the second year of life, it seems to be reasonable that the test for hearing should be made as a part of the physical examination in the newborn nursery. It is possible that such routine test in nursery could give an accurate statistical data regarding to the incidence of true congenital deafness at an early age.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detect the deafness as early as possible in order to treat properly. This paper represents the findings of a study investigated auditory responses of 100 neonates by Beltone Audiometer Model 15 CX, who are delivered normally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ponse according to the sound stimulation was 79 cases among 100 cases (79%). 2. The degree of intensity in response revealed strong response (4.1%), weak but clear response (29%), obscured response (13%), paroxysmal response (9%), and non-response (8%). 3. The relation between infant state and response rate revealed 90.0% neonates in light sleep, 78.7% in awake and 46.2% in deep sleep. 4. Response rate according to the age showed 71.4% of 1 day, 86.1.% of 2 days, 83.3% of 3 days, 80.0% of 4 days and 100.0% of 5 days. 5. Simple response was 69.6% and combined response was 30.4% and auditory response of neonates was in 20 cases of cochleopalpebral reflex(18.3%), 19 cases of open eyelid or eyeball shift(l7.3%), 13 cases of grimace(l1.9%), 9 cases of Moro reflex (8.3%), 9 cases of head turning to sound(8.3%), 9 cases of crying(8.3%), 8 cases of movement(7.4%), 8 cases of sucking (7.4%), 7 cases of ceasing activity(6.4%) and 7 cases of deep respiration(6.4). 6. Response rate was 79% when 3000㎐, 90㏈ was applied but it was 67% in 500㎐, 90㏈. 7. When recheck was done 3 weeks later in obscured and non-response group, all showed positive auditory responses. In conclusion, the auditory response in neonatal period is greatly important, not only its incidence but early detection for the proper treatment. Therefore auther recommend the mass screening of hearing acuity among newborn infants in all nurseries as part of the routine neonatal evaluation. ;난청의 조기 발견은 난청아의 청능훈련에 극히 중요하다. 그러나 완전 농(deaf)인 경우 보통 1세, 때로는 2세가 될 때까지도 발견하지 못하는 예가 많으므로 신생아실에서 상용신체검사(routine physical examination)의 일부로 청력을 검사하는 것이 타당하며 이러한 상용검사로 선천성 난청의 빈도에 관한 정확한 통계도 얻을 수 있으리라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난청을 가능한한 조기에 발견하여 조기 치료 및 청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이에 저자는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생아실에서 1981년 6월 1일부터 동년 9월 30일까지 정상분만한 신생아 100명을 대상으로 순음청력검사계기(Beltone Model 15CX)를 사용하여 신생아 청력검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생아 100예중 79예에서 음자극에 대한 반응을 보였다. 2. 반응의 정도는 강한 반응 41.0%, 약하나 분명한 반응 29.0%, 애매한 반응 13.0%, 발작적인 반응 9.0%, 무반응 8.0% 의 순위였다. 3. 검사시 신생아의 각성상태와 반응율의 관계는 얕은 수면상태 90.0%, 깨어있는 상태 78.7%, 깊은 수면상태 46.2%의 순위였다. 4. 신생아의 연령과 반응율의 관계는 1일 71.4%, 2일 86.1%, 3일 83.3%, 4일 80.0%, 5일 100.0% 였다. 5. 단일 반응을 보인 예가 69.6%, 두가지 이상의 반응을 보인 예는 30.4%였고, 반응의 종류는 와우안검반사(Cochleopalpebral reflex, 18.3%), 안검개대 및 안구편위반응(open eyelid or eyeball shift, 17.3%), 찡그리는 반응(11.9%), Moro반사(8.3%), 음원으로 머리를 돌리늠 반응(8.3%), 우는 반응(8.3%), 움직이는 반응(7.4%), 빠는 반응(sucking, 7.4%), 운동정지반응(6.4%), 깊은 호흡반응(6.4%)의 순위였다. 6. 3000Hz, 90dB의 음자극으로 79.0%의 반응율을 500Hz, 90dB의 음자극으로 67.0%의 반응율을 보였다. 7. 무반응 및 애매한 반응을 보인 21예중 재검사에 응한 15예에서 3주후 재검사한 결과 모두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비록 난청의 발견율이 낟다고해도 신생아실에서 상용 신체검사의 일부로 신생아 청력에 대한 선별을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검사대상 및 방법 = 2 A. 검사대상 = 2 B. 검사방법 = 2 Ⅲ. 검사성적 = 3 A. 반응의 정도 = 3 B. 신생아의 각성상태와 반응율 = 3 C. 신생아의 연령과 반응율 = 4 D. 반응의 종류 = 4 E. 주파수에 따른 반응율 = 4 F. 재검사 = 4 Ⅳ. 고안 = 6 Ⅴ. 결론 = 11 참고문헌 = 13 ABSTRACT = 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73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신생아-
dc.subject청력-
dc.subject각성상태-
dc.title신생아 청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linical analysis of hearing acuity in newborn infants-
dc.format.pagevi, 19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