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3 Download: 0

규폐 결핵증의 방사선학적 고찰

Title
규폐 결핵증의 방사선학적 고찰
Other Titles
Radiologic evaluation of silicotuberculosis
Authors
安敬淑.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규폐결핵증방사선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analyzed 130 cases of silicotuberculosis impressed by clinical pictures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and Industrial Rehabilitation Center from October 1981 to April 1982, with special emphasis on radiologic findings. 130 cases of silicotuberculosis consisted of 42 cases (32.3%) of 40-49 year of age group, 110 cases (84.6%) of quarrymen, 77 cases (59.2%) of 10-19 years of working group. According to UICC(International Union Against Cancer)/ Cincinnati classification, radiologic findings showed 40.8% of Category 2, 25.4% of Category 3, 20.8% of Category 1 with high frequency of q-size (46.2%) and r-size (33.8%), and 17.4 % of Large opacities (Category A,B, & C). Suggestive. tuberculous lesion was noted in upper lung field with frequency of 84.5%. So,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opacities and year of age, kind of job, and years of working. The conditions and site of predilection are also founded. Radiologically noted major complications are emphysema, pleural adhesion, mediastinal adhesion, diaphragmatic adhesion, bronchiectasis, obstructive emphysema, pleural effusion, cor pulmonale, pneumothorax in order. Most frequent radiological finding to emphasize tuberculous lesion was new infiltration in upper lung field (45.4%), but it had only 22.0% of AFB positive rate. Otherwise, finding of cavity formation was less frequent (25.4%), but had high AFB positive rate (60.6%). So, in cases of suspicious silicotuberculosis, detection of the cavitary lesion was most important in confirmatory diagnosis. ;저자는 임상적으로 규폐결핵증으로 진단받고 1981년 10월부터 1982년 3월까지 이화여자대학병원에 입원한 환자 67명과 1981년 10월부터 1982년 4월까지 산업재활원에 입원한 환자 63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흉부 X-선상을 관찰하였다. 대상환자의 연령은 40-49세군이 60예(49.2%)였으며, 직종은 굴진부가 110명(84.6%), 근속년수는 10-19년이 77예(59.2%)로 나타났다. 흉부 X-선상 소견은 UICC(International Union against Cancer)/Cincinnati 분류기준(Bohlig 1970)에 의하면 소음영상(Small opacities)중 q-size가 60예(46.2%), r-size가 44예(33.8%)로 가장 많았고 대음영상(Large opacities)에서는 Category-A가 8예(6.2%), Category-B가 5예(3.8%), Category-C가 4예(3.1%)의 순이었다. 병형분류로 보면 Category 1이 27예(20.8%), Category 2가 53예(40.8%), Category 3은 33예(25.4%) 그리고 Category 4(Category A, B & C)가 17예(13.0%)의 분포를 보였다. 결핵으로 추정되는 병소의 위치는 상 1/3폐야가 전체의 84.5%로써 이중 우측이 45.0%, 좌측이 39.5%였다. 이로써 흉부 X-선상의 경·중도와 연령, 직종, 근속년수와의 사이에 유의성을 인정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핵병소의 호발조건 및 호발부위를 알 수 있었다. 흉부 X-선상에 나타난 합병증은 폐기종이 96예(73.8%)로 가장 빈도가 높았고, 늑막유착, 종격동유착, 횡격막유착 등이 대부분을 이루었으며, 기타 기관지 확장증, 폐색성기종, 늑막 삼출액, 폐성심, 기흉 등이 보였다. 결핵을 강조할 수 있는 흉부 X-선상의 소견은 상폐야의 새로운 운상 침윤상이 59예(45.4%)로 가장 빈번하였고, 다음은 공동형성, 대엽성 운상음영, 결절의 융합상, 늑막 삼출액, 기관지 폐색의 순이었다. 특히 결핵성 공동형성이 인정되는 33예(25.4%)중 결핵균 양성이 증명된 경우는 60.6%로서 가장 높은 양성율을 나타내 규폐결핵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흉부 X-선 사진 판독시에는 공동의 발견이 진단에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