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榮辰.-
dc.creator金榮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4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9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7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925-
dc.description.abstract사산 및 초기 신생아 사망에 대하여 임상적인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있으며, 최근 산전 관리 및 병원 분만의 증가와 신생아 소생술의 발달로 주산기 사망이 많이 감소되어 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인 규명에 보다 정확을 기할 수 있는 부검에 의한 연구는 부족하므로, 이에 저자는 주산기 사망 94예에 대하여 산모 및 신생아의 임상기록 및 부검소견을 기초로 사산 및 신생아 사망의 원인을 규명하여 주산기 사망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저 본 연구에 착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산의 경우 재태기간을 보면 33-40주 사이가 총 47예중 29예로 가장 많았다. 신생아 사망의 경우에는 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사망된 예가 총 47예 중 38예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부검예의 체중별 분포를 보면 총 94예 중 2,500gm미만인 경우가 58.5%를 차지하였고, 신생아 사망은 2,500gm미만이 60%로 많았다. 3. 주산기 사망에 동반된 모체측 합병증은 양수과다증이 21.1%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임신중독증이 15.8%, 제대압박이 15.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주산기 사망의 원인으로는 저산소증이 31.9%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 선천성 기형이 20.2%, 초자막질환이 17.0%, 선천매독이 5.3%, 폐염이 5.3%, 거대세포 봉입질환이 2.2% 등이었고, 원인미상이 18.1%를 차지하였다. 5. 선천성 기형으로 사망한 예는 19예였으며 그 중 복합기형이 많았고, 단순기형 중에는 무뇌증, 기관식도누공 및 양측 신장형성결여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6. 선천성 종양은 총 3예로서, 선천성 신경아세포종, 태반 혈관종 및 후복막 기형종을 볼 수 있었다. 7. 선천매독으로 사망된 5예중 원인균 발견은 2예에 불과하였으나, 흔히 볼 수 있는 소견으로 모체측 및 태아측의 매독혈청검사에서 양성, 폐, 간, 취장 및 신장의 간질조직에 단핵세포의 침윤 및 섬유화와 골수외 조혈기능 증가를 5예 전예에서 볼 수 있다.;Causes of stillbirth and early neonatal death have been reported by several authors. Recently, the incidence of perinatal death is considerably reduced by the improved antenatal care, increased hospital deliveries and developed resuscitation.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regarding to more accurate causes of perinatal death provided by autopsies. The author studied total 47 cases of stillbirth and 47 cases of neonatal death corelating clinical review to pathologic examination of autopsies.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prevent perinatal death by the analysis of pathology and confirm the causes of perinatal deat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stillbirth was highest at the gestational age between 33 - 40 weeks (29 of 47 cases), and the majority (38 of 47 cases) of neonatal death occurred within 24 hours of life. 2. The cases of body weight under 2,500 gm occupied 58.5% among stillbirth and 60% among neonatal death. 3. Complications during pregnancies of perinatal death were hydramnios(21.1%), toxemia(15.8%) and cord compression (15.8%). 4. In analysis of causes of perinatal death,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is anoxia(31.9%). Other causes of death are congenital malformation (20.2%), hualine membrane disease (17.0%), congenital syhpilis(5.3%), aspiration pneumonia(5.3%) and cytomegalic inclusion disease(2.2%). 5. There were only 19 cases caused to death by congenital malformation among 29 cases. 6. As congenital tumor, congenital neuroblastoma, placental hemangioma and retroperitoneal teratoma were present. 7. In histologic examination of 5 cases of congenital syphilis, the spirochetal organisms were identified in 2 cases by Levaditi staining. However, all 5 cases showed relatively suggestive histologic fidings of syphilis which were lymphoplasmocytic infiltrates with fibrosis of interstitial tissue in the lung, liver, pancreas, kidney, et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2 Ⅲ. 연구성적 = 3 A. 임상소견 = 3 1. 사망시기별 분포 = 3 2. 체중별 분포 = 4 3. 산모연령별 분포 = 4 4. 임신중 발생한 합병증 = 5 B. 병리소견 = 7 1. 주산기 사망의 원인 = 7 2. 사망시기별 사인비교 = 8 3. 부검소견별 관찰 = 9 Ⅳ. 고안 = 14 Ⅴ. 결론 = 21 참고문헌 = 23 ABSTRACT = 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84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임상학-
dc.subject병리학-
dc.subject주산기사인-
dc.title周産期 死因에 關한 臨床 및 病理學的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linico-pathologic study of causes of perinatal death-
dc.format.pagevi, 2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