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梁先希.-
dc.creator梁先希.-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1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9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6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915-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日帝時代 그 中에서도 1930年代 前半期라는 狀況에서 共産主義者들이 民族問題에 대해 어떻게 認識하고 있었는가를 살펴 보는데 目的이 있다. 이 글에서 1930年代 前半期를 택한 것은 이 시기 공산주의자들의 民族問題 認識內容이 日帝時代 全般을 통해서 볼때 그 以前·以後와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1930年代 前半期는 共産主義運動 內部的으로는 朝鮮共産黨 解體 後 運動이 地下化하는 시기, 外部的으로는 코민테른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시기, 그리고 日本 植民地政策이 變化하여 共産主義運動에 대한 탄압이 증가하는 시기로서, 共産主義運動은 地下化·非合法化하여 전개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 시기 공산주의자들은 民族問題는 무시하고 階級問題만 강조했다고 인식되고 있다. 이 글은 과연 '이 시기 공산주의자들이 민족문제는 무시하고 계급문제만 강조하였는가'의 문제에 일차적 관심을 가지고,주로 당시 공산주의자들이 쓴 1次資料를 통해 그 具體的 民族問題 認識內容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당시 共産主義者들은 日本의 植民地라는 現段階에서의 戰略的 目標로는 民族解放運動을 뜻하는 부르조아 民主主義革命을, 窮極的으로 추구해야 할 革命의 目標로는 社會主義革命(階級革命)을 규정하였다. 따라서 民族問題는 社會主義革命으로 나아가기 위해 植民地라는 現段階에서 추구해야 할 過度的 運動段階로 파악되었다. 이를 二段階革命論이라 하며, 이 二段階革命論이 이 시기 共産主義者들의 核心論理라 할 수 있다. 1930年代 前半期 共産主義者들의 民族問題 認識을 대표하는 것은 現段階의 戰略的 目標인 民族解放運動을 실현하기 위한 戰術의 形態로 反帝國主義協同戰線論을 規定한 점에서 찾을 수 있다. 反帝國主義 協同戰線論은 1920年代 後半期와 1930年代 中半期 以後 共産主義者들의 民族問題 認識을 代表하는 民族協同戰線論과는 그 具體的 內容을 달리 하면서 1930年代 前半期 民族問題 認識을 특징지워 주었다. 反帝國主義協同戰線論을 전개하면서 이 시기 共産主義者들은 民族解放運動의 主體勢力으로 프롤레타리아트를 부각시켰으며, 同盟勢力으로는 民族主義勢力과의 協同을 거부하고 農民과 都市小市民만을 규정하였다. 民族解放運動의 組織에서는 民族主義勢力과의 協同形態였던 新幹會를 解消하는 대신 共産黨과 勞·農組合의 역할을 강조하였고, 黨再建運動과 勞·農運動을 중심으로 實際的 運動을 展開하였다. 결론적으로 1930年代 前半期 共産主義者들은 革命의 窮極的 目標로 社會主義革命을, 現段階의 戰略的 目標로 부르조아 民主主義革命을 규정한 後, 이 戰略的 目標를 달성하기 위한 戰術의 形態로 反帝國主 義協同戰線論을 展開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이 시기 공산주의자들의 구체적 民族問題 認識內容은 反帝國主義協同戰線論으로 나타났던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communists recognized the issue of nation in the first half year of 1930's when communist movement developed illegally and underground. In this study, it is examined through communists t works written in the same period. The features of the communists in the first half year of 1930's differ from those of the 1920's communists in the issue of nation. The issue of nation that the communists recognized is based on the theory of two stage revolution. At the first stage (namely, present stage of Japanese colony), they prescribed the bourgeois democratic revolution which meant national liberation and land revolution as their strategic object to be pursued. And then, through the bourgeois democratic revolution, as the second stage they tried to realize socialistic revolution which was their ultimate purpose. So it can be said that they regard the issue of nation not as their ultimate object but as the transitional process for socialistic revolution. What represented communists' understanding of the issue of nation in the first half year of 1930's can be found in defining 'The Anti-Imperialism United Front Theory' as their tactics to realize national liberation, that is, the bourgeois democratic revolution. 'The Anti-Imperialism United Front Theory' is different from 'The National United Front Theory' that stood for communists' understanding of national issue in the second half year of 1920's and after the middle of 1930's. Developing 'The Anti-Imperialism United Front Theory', the communists defined proletariat as the subjective force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They refused to cooperate with nationalists and chose peasants and petit-bourgeois in a city as their alliance. They dissolved 'Shingan-hye' in which cooperated with nationalists and emphasized the role of communist party and labor-peasant union. They developed practical movement on the party reconstruction and labor-peasant movement. We can conclude that the communists in this period defined the socialistic revolution as the ultimate object, the bourgeois democratic revolution as the strategic object at the present stage, and 'The Anti-Imperialism United Front Theory' strategic tactics to achieve the strategic object. That is to say, the communists' recognition of the issue of nation in this period was concretely represented in this 'The Anti-Imperialism United Front Theo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表目次 = ⅳ 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範圍와 方法 = 5 Ⅱ. 民族ㆍ民族運動의 理論的 性格 = 9 A. 民族ㆍ民族運動에 대한 槪念 = 10 B. 부르조아 民主主義革命과 二段階革命論 = 16 Ⅲ. 民族間題 認識變化의 背景 = 28 A. 日本 植民地政策 變化 = 29 B. 國內共産主義運動 內部性格 變化 = 33 C. 國際共産主義運動 路線變化 = 37 Ⅳ. 民族問題 認識內容과 實踐樣式 = 45 A. 新幹會 解消와 反帝國主義協同戰線論 = 45 B. 民族解放運動의 主體勢力과 同盟勢力 = 51 C. 民族解放運動의 組織 : 共産黨과 勞ㆍ農組合 = 62 D. 民族解放運動의 具體的 展開形態 = 66 1. 民族解放運動의 再建運動 = 66 2. 勞動ㆍ農民運動 = 70 Ⅴ. 結論 = 82 參考文獻 = 85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918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일제시대-
dc.subject공산주의자-
dc.subject민족문제-
dc.subject1930년대-
dc.subject공산주의-
dc.title日帝時代 共産主義者들의 民族問題 認識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30年代 前半期를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mmunists' Recognition of the Issue of Nation in Japanese Imperialistic Period : Focusing on the first half year of 1930's-
dc.format.pagevi,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치외교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