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社會·經濟的 近代化가 政治文化에 미치는 영향

Title
社會·經濟的 近代化가 政治文化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ocio-economic Modernization and Political Culture : The case of Four Korean Villages
Authors
柳貞淑.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Keywords
근대화정치문화사개한국농촌부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e last 10 years Korea has experienced rapid change. In the process urban areas have progressed more rapidly than rural areas, as has been documented in the "Dual social theory". But since traditionally Korea : was an agricultural society, even though it has now become an industrial society, people in the countryside are still given a great deal of importance. It is not the case that agricultural society has stood still while urban society has been increasingly modernized. Rather, the pace of socio-economic changes in agricultural society has grown more and more rapid recently. But it is also not the case that the pace of change has been the same in all parts cf agricultural society. We should therefore find diverse phenomena in the mentality of people in rural areas, especially as regards political consciousness, or "political orientation" viewod in the context of political culture. Therefore, I shall attempt to the difference according to level of socio-economic modernization of political culture in Korean villages as well as how socio-economic modernization influence political culture. The method chosen was to select four Korean villages whose level of socio-economic modernization are different. A rendom sampling of persons over twenty years of age in each village were selected to complete questionaires about various aspects of socio-economic -modernization and political culture. Lastly, the questionaire was tabulated by computer and so there will also be an : attempt here to analyze the resulting statistics. It was important for this paper to treat four villages whose level of socio-economic modernization are different to consider the difference in political culture. There is not only an analysis of general stratification but also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illages as seperate collective unit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socio-economic modernization and the dependent vari~bles of political culture decid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A) Independent variables of socio-economic modernization; 1) Income level 2) Education level 3) degree of exposure to mass media(Radio, T,V., newspapers, and magazines.) 4) degree of contact with urban society(frequency of sending letters, experience of living in a city, frequency of visiting a city.) B) Dependent variables of political culture 1) Knowledge about politics 2) Ability to express opinions about political matters and self-confidence. 3) Concern with politics and group activities The conclusion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of four Korean village and how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socioeconomic modernization influence the dependent variables of political culture are as follows; It is concluded that higher levels of socio-economic modernization also bring about a higher degree of political orientation. Namely, it is concluded that the degree of political orientation is highly dependent on the level of socioeconomic modernization in the four villages. The four independent variables all strong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political orientation, with education standing ou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한국은 지난 10여넌동안 급격한 社會·經濟的 변화를 겪었다. 이 과정속에서 도시가 農村보다 앞었기 때문에 二次社會論이 대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韓國은 전통적으로 농업국가였기 때문에 한국內에서의 農村人은 아주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또한 도시의 近代化속에 농촌의 近代化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最近에 와서의 농촌의 社會·經濟的 變化는 그 속도를 빨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그 변화속도는 모든 농촌에 골고루 적용이 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농촌인의 의식구조 특히 정치의식 즉 政治文化에서 이야기하는 정치정향에 있어서 여러 가지 다양한 현상을 보여줄 것이로 예상된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는 社會·經濟的 근대화의 수준에 따른 한국 농촌의 정치文化의 差異를 규명하며, 사회·경제적 근대화가 정치文化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려 한다. 그 方法으로는, 사회·경제적 근대화 수준에 있어 差異가 있는 四個의 한국 자연농촌부락을 선정하여, 各 부락에서 20세以上의 주민 가운데서 무작위 추출의 方法으로 표본을 작성하고, 사회·경제적 변수와 政治文化的 변수에 관한 질문을 담은 질의서에 의해 면접조사를 하였다. 이것을 전산처리하여 통계적 分析을 시도한다. 이 論文에서는 社會·經濟的 屬性에 따른 계층간 分析보다는 자연적 주거 단위間의 집단적 비교分析을 시도한다. 즉 사회·경제적 근대화의 수준이 다른 4개의 자연농촌 부락間에 政治文化에 있어서 어떠한 집단적인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본 연구에서 택한 사회·경제적 근대화의 독립변수와 정치文化에 대한 종속변수는 다음과 같다. 1) 사회·경제적 근대화에 관한 독립변수 ① 소득수준, ② 교육수준, ③ 매스·미디아와의 접촉수준(라디오, T·V, 신문, 잡지), ④ 도시와의 접촉수준(편지왕래, 객지경험, 도시왕래 빈도수) 2) 政治文化에 관한 종속변수 ① 정치에 관한 지식 ② 정치현상에 대한 의견화 및 자신감 ③ 정치에 관한 관심 및 활동 결론적으로 위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따른 4個 마을 비교分析과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의 分析에 따른 結論은 다음과 같다. 社會·經濟的 近代化의 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그에 따른 참여적 정치정향도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즉, 四個마을의 사회·경제적 근대화의 수준에 따라 참여적 정치정향의 수준도 결정되어지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네가지 독립변수가 모두 참여적 정치정향을 形成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그 가운데 교육이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