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1 Download: 0

社會變動 過程에서의 政治意識과 權力構造 相關性에 關한 硏究

Title
社會變動 過程에서의 政治意識과 權力構造 相關性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The) impact of political consciousness on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in the process of social change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traditional community and the modernized community in Korea
Authors
陳美卿.
Issue Date
1979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Keywords
사회변동과정정치의식권력구조전통적부락근대적부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論文의 目的은 한국의 地域社會가 社會變動 過程에서 어떠한 종류의 권력구조의 變化機相을 보여주고 있으며, 權力構造의 變化를 초래시키는 主要因은 무엇인지를 糾明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와 더불어 西歐社會에서 형성된 地域社會 權力構造 理論의 한국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그 限界點을 검토하고, 나아가 한국의 지역사회를 對象으로 얻어진 실태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지역사회의 권력구조에 대한 理論化를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作業을 위해 우선 第Ⅰ章에서는 한국에 있어서 지역사회 權力構造 연구의 當爲性을 論하였고, 이를 구체적으로 檢證하기 위한 연구방법을 살펴보았다. 本 論文에서 使用된 1차적인 연구방법으로서는 지역사회 권력주조 이론에 관한 體系的인 分析을 위한 文獻조사를 들 수 있다. 아울러 한국에서의 지역사회의 권력주조를 실제적으로 分析하기 위해서 1973年에서 1978年 사이에 社會變動이 매우 심하게 일어난 地域社會와 社會變動이 매우 적게 일어난 地域社會를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직접 參考觀察에 의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얻어진 자료를 統計的으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부락의 權力構造를 밝히고, 권력구조의 變化要因을 밝혀 보려고 하는데 重點을 두었다. 第Ⅱ章에서는 한국의 地域社會의 권력구조를 硏究하기 위한 理論的인 接近을 시도하였다. 즉 서구사회에서 지역사회의 권력구조 연구가 擡頭된 背景을 살펴 보고, 권력구조 硏究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學者들의 理論을 分析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 學者들의 理論을 一元主義的 엘리트理論으로는 F. Hunter와 C. W. Mills의 理論을, 多元主義的 엘리트理論으로는 R. A. Dahl의 理論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서구학자들의 理論이 과연 한국사회에도 適用될 수 있는가를 한국에서 이미 발표된 硏究論文의 결과와 比較하여 分析해 보았다. 第Ⅲ章에서는 한국의 지역사회의 권력구조의 實態를 밝히고, 社會變動過程에서 권력구조를 變化시키는 要因이 무엇인가를 살펴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假說을 設定하였다. 假說Ⅰ : 地域社會 住民의 政治意識이 높으면 높을수록 그 地域社會의 권력구조는 一元主義的 엘리트支配형태로부터 多元主義的 엘리트支配형태로 變化하게 된다. 假說Ⅱ : 한국의 地域社會에 있어서 敎育은 住民의 政治意識을 높여주는 많은 變因-교육수준, 소득수준, 의식의 근대화 수준, 매스미디와의 접촉도, 근대화된 外部社會와의 접촉도-들 中에서 선도적인 要因으로 기능하고 있다. 第Ⅳ章에서는 電算處理에 의한 假說의 검증을 시도하였다. 假說Ⅰ을 검증하는데는 교차분석 (Cross-Tabulation), Chi-Square, ANOVA分析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이 된 2 部落에서는 權力構造와 政治意識은 아무런 相關關係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 立證되었다. 假說Ⅱ의 檢證에서는 Cross-Tabulation, Chi-Square, Pearson Correlation의 分析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政治意識을 높이는 5가지 變數 中에서 가장 相關關係가 높은 것은 敎育으로서 敎育이 다른 變數들의 선도적 역할을 한다는 假說Ⅱ는 그 妥當性이 立證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調査對象地域을 중심으로 볼 때, 社會變動過程에서의 한국의 地域社會의 權力構造에 관해서 다음과 같은 暫定的인 結論을 내릴 수 있다. 1. 韓國의 地域社會의 권력구조는 社會變動過程에 있어서 一元主義的 엘리트지배형태로부터 多元主義的 엘리트지배형태로 變化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2. 한국의 地域社會에 있어서는 社會變動이 심하게 일어난 지역일수록 權力構造가 行政的인 권력구조로부터 經濟界 人士 중심의 非行政的 권력구조로 變化해 간다. 3. 政治意識과 權力構造의 變化는 아무런 相關關係를 보여 주지 않는다. 4. 政治意識을 높이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變數는 敎育이다.;This study is developed with the aim of contributing toward theorizing about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in Korea. This study gives focus especially on the changing pattern of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in the process of social change and the main elements bringing about the changing pattern of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In addition to these,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ies of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developed in America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such theories in Korean community, thus leading to the theorizing conceptual scheme of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in Korea. Here, two hypotheses are proposed to examine the changing pattern of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and the main elements bringing about the changing pattern of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Hypothesis Ⅰ : The higher political consciousness the community people have, the more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tends to change from the monolithic elite dominant power structure to the pluralistic elite dominant power structure. Hypothesis Ⅱ : Education i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mong 5 variables, -education, income, modernized mentality, degree of exposure to mass media, degree of contact with modernized society-, which heighten political consciousness. Hypotheses were tested by SPSS with the use of Cross - Tabulation, Chi-Square, Pearson Correlation, ANOVA. Hypothesis Ⅰ was rejected andrHypothesis Ⅱ was accepted after hypotheses testing by SPSS. According to the hypotheses tes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in Korea are as follows; 1.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does not change from the monolithic elite dominant power structure to the pluralistic elite dominant power structure in the process of social change in Korea. 2.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of the modernized community has more tendency to change from the administrative power structure to the nonadministrative power structure which is dominated by economic elites. 3. There exists no relation between political consciousness and the community power structure. 4. Education i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which heightens political conscious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