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2 Download: 0

朴殷植의 愛國啓蒙思想硏究

Title
朴殷植의 愛國啓蒙思想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hought of the enlightenment and patriotism of Park Eun Sik
Authors
李文淑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Keywords
박은식애국계몽사상대동사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main study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thoughts of Baek Am Park (1859-1925), who played a part as a journalist, a fighter for national independence, an educationist and a historian, from 1898 to 1925, from his theoretical point of view, with main emphasis on his ideas of patriotic enlightenment. This paper is composed of six chapters. Chapter Ⅰ, a preface, defines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paper Chapter Ⅱ deals with the conditions of political ideas from the opening of this country to 1905 as an introductory part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Park's ideas. In Chapter Ⅲ, his intellectual developing processes were divided into two periods, that is, the studying period of the doctrines of Chu-tzu and the transition period as a patriotic enlightenment thinker, before or after 1898 when his own "cosmopolitanism was introduced and the wave of free expression flowed into this country", on the assumption to find out Park's ideas. Chapter Ⅳ deals with his historical sense with the background of his ideas of patriotic enlightenment , and his historical sense starts from a historical mission that national rights must be restored out of national crisis. He reassured that the strong win and the weak get defeated through a struggle for existence, accepting the theory of evolution which is prevailing throughout the world at the end of Yi dynasty, for his days are those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also recognized that the Koreans have no choice but to make strenuous efforts because "Kanjajikwon"(the rule of the strongest) was a normal practice all over the world at that period. With this kind of historical perspective, he suggested "a hero" as a possible and concrete emblem to break the frustrated reality at that period which he faced. His fundamental purpose of heroism was that he wanted to suggest a new type of human as a hope of reality breaking or a faith of restoration of national rights. Also, his historical sense which starts from ideas of the soul established the conception of "national souls" and he emphasized that preservation of "a history of the nation"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of national souls is a premise for restoration of national rights. In Chapter Ⅴ, I investigated his ideas of patriotic enlightenment with priority given to the theory of political practice on the condition of his historical sense and apprehended outlines of the ideas of patriotic enlightenment in connection with Park and researched evils and points at issue of Confucianism which is a premise of his ideas of patriotic enlightenment. He suggested evils of Confucianism and advocate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as a representation of it. That is, his advocacy of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will stand face to face with a reality, with an original meaning of the doctrines of Confucius and Mencius which is not a contradictory meaning of Confucianism keeping, and he nobilized confucian tradition for a solution of his days which is restoration of national rights. Under this logic, he emphasized a part as master of the nation, saying that we must acknowledge the people are fundamental components of the nation and consciousness that the nation is composed of the people to equip merits cultivation necessary for restoration of national rights. On the assumption of this theory of civil rights , he emphasizes that the Koreans should cultivate our abilities and unite to restore national rights under the condition of that time. His theory of civil rights and solidarity developes into the thought of Daedong with the object of Gusejuyi(救世主義). Park's thought of Daedong develops on the assumption of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which is his practical logic. His thought of Daedong can be said descriptive and realistic, and originally is a peculiar form of ideas of patriotic enlightenment with Confucianism for a backgound.;본 연구의 과제는 1898년부터 1925년까지 언론인, 독립운동가, 교육가, 역사연구가 등으로 활약했던 白岩 박은식의 사상을 애국계몽사상에 초점을 두고 이를 정치적 실천론의 측면에서 究明하는데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전체가 6章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章 서론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방법에 관하여, 제2章에서는 박은식 사상의 특질을 고찰하기 위한 도입부로서 개국 이후 1905년까지의 정치·사상적 상황을 한반도를 둘러싼 列國의 경쟁과 이에 따른 조선의 국제적 지위의 변화과정,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외세에의 대응의 양식을 집권과, 위정척사파, 개화파로 나누어 사상의 특질을 살펴보고, 1905년의 王權침탈 이후의 대응의 양식을 살펴보았다. 제3章에서는 박은식 사상의 고찰을 위한 전제로서 그의 知的 체계를, 그 자신이 「세계학설이 수입되고 언론 자유의 시기」를 만났다고 한 1898년을 전후로 해서 주자학 수학기와 애국계몽사상가로 전환한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4章에서는 박은식 애국계몽사상의 배경이 되고 있는 그의 역사인식을 다루고 있는데 그의 역사인식은 국가적 위기에서 국권을 회복해야 한다는 역사적 과제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그는 한말의 사상계에 통용되고 있었던 進化論을 수용하여 그의 시대가 「우승열패」 「약육강식」의 시대이므로 「생존경쟁」을 통해 강자가 승하고 약자가 패함을 인식하였고, 이러한 公理가 지배하는 세계에서는 「강자지권」이 인정되므로 「자강」의 길밖에 없게 됨을 또한 인식하였다. 그의 이러한 자강사상을 교육상에서 크게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국사교육과 관련하여 자기 역사의 존중을 주장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인식下에 국민과 청년학도들에게 국권회복을 위한 영웅적 투쟁정신을 灌注하려는 의도에서 국사에 나타나는 다수의 모범적 인물들을 제시하고 모든 청년들이 모두 영웅·위인과 같이 되어 국권회복운동에 헌신함으로써 국가의 독립을 찾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즉 그는 그가 당면하고 있던 당시의 좌절적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희망의 가능적, 구체적 표상으로 「英雄」을 제시한 것이며, 그의 영웅관의 기본 목표는 현실타개의 희망으로서 국권회복의 신념으로서 새로운 인간유형을 제시코자 한 것이다. 또한 그의 역사인식은 「혼백사상」에서 출발해 「국혼」 「국백」의 개념을 설정하고, 「국혼」 구성요소중의 하나인 「國史」의 보존이 국권회복을 위한 전제임을 강조하고 있다. 제5章 정치적 실천론을 중심으로 한 애국계몽사상은 그의 역사인식을 전제로 고찰하였는데 한말 애국 계몽사상의 전체적 윤곽을 박은식과 연관시켜 파악하여보고, 박은식 애국계몽사상의 전제가 되는 유교의 폐해와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그는 유교의 폐해를 지적하고 이의 求新으로서 양명학을 제창하고 있다. 즉 그의 양명학의 제창은 유교의 부정의 의미에서가 아닌, 孔·孟의 學의 본래의 의미를 간직한 채 현실에 대결하려한 것이며 유교내의 전통을 국권회복이라는 시대상황에 비추어 볼 때 그 행동윤리의 방향을 설정하고, 자강·구국·독립운동을 가능케한 주체적 논리인 것이다. 또한 이러한 논리下에 국권회복을 위한 실력양성에 표면적으로 갖추어야 할 것으로 국가는 국민에 의해 형성된다고 하는 의식과 국민이 국가를 이루는 기본 구성요소임을 인지하여야 한다고 국민의 주인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민권론을 전제로 당시의 상황에서 실력을 길러 국권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단합하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즉 그는 국권회복운동의 기초조건으로 「실력」과 「단결」을 중요시 하였다. 그가 주장한 「실력」은 「국민의 실력」인 「민력의 결집」으로 박은식은 단합론을 그의 활동목표의 기본으로 설정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그의 민권·단합론은 구세주의의 목적下에 대동사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박은식의 대동사상은 그의 실천윤리인 양명학을 전제로 하여 전개되고 있는 것으로 대동사상의 특징으로는 「공덕」, 「공리」, 「만물 일체의 仁」, 「구세주의의 대승법」, 「존아국주의」, 「애국의 지행합일」, 「평등사상」, 「세계평화주의」를 들 수 있다. 즉 박은식의 대동사상은 서술적이며 현실적인 그의 이상향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본질적으로는 유교적 배경을 가진 애국계몽사상의 독특한 한 형태인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