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6 Download: 0

大韓民國 臨時政府 初期 指導勢力의 形成과 分裂에 關한 硏究

Title
大韓民國 臨時政府 初期 指導勢力의 形成과 分裂에 關한 硏究
Authors
노연희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Keywords
형성지도세력분열대한민국임시정부초기대한민국 임시정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by the united independent movement forces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e just caus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s to set up a highest leading organization of independent movement to promote a continuous and unified independent movement on 3.1 movement.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the characters of the early leading forces of Provisional government. After analyz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early leading forces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effects of the split of the early leading forces on the role of the government are also analyzed. The early leading forc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ere formed through the genealogical spreading process of the 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originated from Gae-hwa sa sang (開化思想) and Wijong-Choksa sa sang (衛政斥邪思想) which was prevailing after opening a port. Especially, the establishm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as democratic republican form was the results of the following facts, that is, the pursuit to independent modern state initiated by the Gae-hwa pa(開化派), the movement to establish constitutional monarchy initiated by the association of independence(독립협회), and persuit to set up a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initiated by Sin-Min Hoe(新民會)'s patriotic and enlightenment movement. As can be seen b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prominent that many of the leading forces of the early Provisional government from the association of independence(독립협회) and Sin-Min Hoe(신민회). Especially the core members of the government who held the position above minister of state had played a key role in the enlightenment and strenuous efforts movement(開化自强運動). They had exciled themselves before or after disorganization of the association and Sin-Min Hoe. and played leading role in the independent movement from the abroad. Reputation they got through the independent movement from the abroad helped them to take the high position in the early Provisional government. The groups of people from the Ui-Byong movement(義兵運動) who followed Wijong-Choksa sa sang, however, played a minor role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addition to this the leading forces of the early Provisional government were constituted mainly by the various social class who received high education and many of them are from Ki-ho(기호) and Seo-buk(서북) province. As Mentioned above, the leading forces of early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ere constituted by the various groups of people who had involved activity in the independent movement. However, trouble had arisen soon among them because of the different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s of the independent Movement and ideological gap due to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conditions prevailing the area where they were acting, and provincial factionalism, In addition to this, the financial difficulty of the government and emotional conflicts among the leading forces centered on Rhee Syng-man intensified the trouble. The split of the leading forces of the early Provisional government, come up to the surface by the parting between Rhee Syng-man, An Chang-ho, Lee Dong-hoei. The split of the leading forces resulted in the lack of strong leadership and the weak Provisional government. This split also prevent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from playing the role as the highest leading organization which control all the forces of independent movement. Further, the split of the member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a factor which makes the Provisional government not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political arena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이후 국내의 독립운동 세력이 결집하여 통일되고 지속적인 독립운동 추진을 위한 독립운동의 최고 지도기관으로 수립되었다. 이 논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기 지도세력의 思想的, 人的 形成淵源과 形成過程을 살펴 보고, 그들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임시정부 초기 지도세력의 형성과정에서 비롯된 분열요인과 분열양상을 고찰하고, 임시정부 초기 지도세력의 분열이 임시정부의 역할과 위상에 미친 한계를 지적하려고 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기 지도세력은 개항이후 개화사상과 위정척사사상에서 연원된 민족독립운동의 계보적 전개과정을 통하여 형성되었다. 특히 임시정부가 민주공화제를 표방하여 수립된 것은 사상적인 면에서 개화파의 자주적인 근대 민족국가의 추구와 독립협회의 주권재민의 입헌군주국가 수립운동 그리고 신민회의 애국계몽운동이 추구한 共和政體의 국권회복으로 이어진 개화자강운동의 결실이었다. 인적인 구성에 있어서도 임시정부 초기 지도세력의 성격에 대한 이 논문의 구체적인 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개화운동의 맥락에서 전개된 독립협회와 신민회 출신 인사의 참여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들은 독립협회 해산 또는 신민회의 해체를 전후한 시기에 해외 각지로 망명하여 국외독립운동의 지도세력으로 활동하였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얻은 名望으로 임시정부 초기 지도세력에 선임될 수 있었다. 이에 비해서 위정척사계열의 의병운동 출신인사의 임시정부 참여는 일반적인 평가와 달리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었다. 또한 임시정부 초기 지도세력은 다양한 사회계층 출신인사들로 구성되었으며, 국내외에서 신교육을 받은 고학력의 지식인으로서, 기호지방과 서북지방 출신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와같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기 지도세력은 국내외의 대표적인 독립운동자들이 총망라되어 구성되었는데, 이들은 곧 개인적인 성향과 각기 다른 활동지역의 정치적, 사상적 조건에서 비롯된 독립운동 방법상의 차이와 사상상의 차이 그리고 지방적 파벌 형성으로 갈등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분열요인외에도 임시정부의 재정궁핍과 이승만을 중심으로한 지도세력내의 개인적 감정대립은 갈등을 격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승만, 안창호, 이동휘의 결별로 표면화된 임시정부 초기 지도세력의 분열은 임시정부내의 강력한 지도력의 결핍과 그로인한 임시정부의 약화를 초래했으며, 임시정부가 전체 독립운동 세력을 통할하는 독립운동 최고 지도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이 시기 임시정부 참여 인사들의 분열은 해방후 정국에서 임시정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한 요인이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