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9 Download: 0

大院君 執政期(1864~1873) 政治的 支配勢力에 關한 硏究

Title
大院君 執政期(1864~1873) 政治的 支配勢力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litical Ruling Classes in the period of Taewongun's Administrations(1864-1873)
Authors
安外順.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Keywords
대원군지배세력중앙당상관인사현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the nature of political dominant groups in the age of Taewongun's governing. Previous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such a conclusion as 'appointment of Namin, elimination of Andongkim' in general. But it seems that such a conclusion was drawn without direct and rigid investigation of the ruling groups at the time. Accordingly, to overcome the limits of existing researches and to know the substance of the political ruling groups at the tim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the Taewongun regime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ruling groups and the personnel formation of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the method of analyzing the political ideal, the recognition about the reorganization of ruling groups and the major policies of Taewongu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sonnel formation of center Dangsang directly and the condition of the changes in the position of Dangsang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aewongun. As the result of this, the character of formation and the process of the recuitment of the political ruling groups in the age of Taewongun's governing is not so different from those under the reign of Chuljong. First, the political ideal of Taewongun was the reconstruction of a strong dynastic state. In nature, it is the same as in the power influence (Sado) when the monachs and maternal relative noblemen had made efforts to maintain the old orders even as a form of transformed dynastic system in the face of the time of dissolution of traditional dynastic order. Second, such political ideal finally defined the formation and the character of the political groups at that time. Among 444 men who held the posts of central Dangsang, relatives of the King, Sunpain and the men from Andongkim who had been the previous major ruling group were occupying the posts overpoweringly. In the posts of Uizungbu and Youkjo the degre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King's relatives and the men from Andongkim was greater. In the whole ten years, they each had 12.4% and 10.08% and the rest of the posts were divided and occupied by 40 familynames. The specific men from those two groups almost monopolized the posts of Hojo and Byungjo which could be said the core major posts. Of course, as one usually knows, there were the positive recruitments of the men from Namin and Bukin at that time. But it is obvious that their appointment never preceded the appointment of the King's relatives and the reappointment of the men from Andongkim. This is revealed more clearly when one examines and compare the degree of the positive reappointment and the distribution of major posts. Also this tells the fact that in the main background of the recruitment of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 one's family line was still functioning in the age of Taewongun's governing. Finally, however, it seems that these political ruling groups who held the posts of central Dansang couldn't exercise great influence on the process of real-politics in general. This can be understood well through the extremely frequent change of the government posts. This extremely frequent change of almost all the posts except for Uizungbu and Hojo, Byungjo means that political power of that time was exercised not by the peculiar function of government posts but by the private intention of Taewongun after all. It can be said that the substantial character of the ruling classes in this case was the ruling groups as an apparatus official that assisted the autocratic power.;이 글은 대원군집정기 정치적 지배세력의 구성과 성격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기존의 이해는 대체로 '남인세력 등용 안동김문 척결'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기존인식은 당시 지배세력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 혹은 엄밀한 검토의 결과라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정치적 지배세력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지배세력 재편과 관련된 대원군정권의 성격과 고위관직자의 인사구성을 검토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대원군의 정치적 이상 및 그의 세력재편에 대한 인식과 주요 정책을 분석하였다. 동시에 중앙당상관의 인적 구성을 직접 규명하였으며 나아가 이들과 대원군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당상관직 교체실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원군집정기 정치적 지배세력은 그 구성의 성격과 충원과정에 있어서 본질적인 측면에서 볼 때 철종대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첫째, 대원군의 정치적 이상은 강력한 왕조국가 재건이었다. 이것은 전통적인 왕조질서해체위기에 직면한 국왕과 척족양반세력이 변형왕조 체제형태로라도 구질서를 유지하려했던 세도정치기와 그 본질상 같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정치적 최고 이상은 결국 이 시기 지배세력의 구성과 성격을 규정하였다. 중앙당상관직을 역임한 444명 가운데 국왕의 종친 및 선파인과 구 핵심통치세력이었던 안동김문 출신인사가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의정부와 6조판서들만 대상으로 보면 그 집중도는 더욱 높아져서 각각 12.4%와 10.08%를 차지하고, 그 나머지를 40성관들이 분할, 차지하고 있다. 특히 핵심요직에 속하는 호조, 병조판서 경우는 양 집단출신의 특정인사들이 십년 전시기동안 거의 독점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물론 흔히 인식되는 것처럼 이 시기동안 남인 및 북인계 인사들에 대한 적극적인 기용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들의 정계진출이 국왕의 종친세력들의 정계 등장과 안동김문에 대한 적극적 재기용 사실에 결코 우선될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이점은 그 적극적인 재기용의 정도와 요직분배를 감안, 비교할 때 더욱 분명히 드러났다. 이는 또한 대원군집정기에도 여전히 고위관료로의 주요 충원배경으로 성관 혹은 가문이 기능하고 있었음을 말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는 중앙당상관직을 역임한 이들 정치적 지배세력이 실제적인 정치과정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지는 못했던 것 같다. 이는 극히 잦은 관직 교체실태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3의정과 호조, 병조를 제외한 모든 관직의 극히 빈번한 교체빈도는 결국 정치권력의 행사가 관직의 고유기능을 통해서가 아니라 대원군개인의 의사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지배세력의 실질적인 성격은 독재권력을 보좌하는 장치관료로서의 지배세력이었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