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지희.-
dc.creator조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6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0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6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08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normal control group and schizophrenic patients who committed homicidal behavior in response to frustration using P.F.T. (Picture-Frustration-Test) and MMPI. The study subjects were 77 homicidal schizophrenics who were admitted to the Forensic group who had no crime history and psychiatric probl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s to the direction in P.F.T., homicidal schizophrenics responded rather in intropunitive or impunitive direction than in extrapunitive direction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group. 2) As to the reaction type in P.F.T., homicidal schizophrenics showed more need-persistence (N-P) type and less obstacle-dominance(O-D) type than normal control group. 3) Regarding the superego factors in P.F.T., homicidal schizophrenics showed significantly less score in E, I, E+l, E-E and M+I response than normal control group. 4) Homicidal schizophrenics exhibited significantly less G.C.R score than normal control group, which is correlated with sociality and appropriateness for age in response to frustration. 5) In th validity scale of L, F, K and in the clinical scale of D, Pd, Pa, Pt, Sc on MMPI, homicidal schizophrenics remarked significantly high T score than normal control group, Especially in L scale and Pa scale, the difference of two groups was most prominent.;이 논문은 인간의 적개심과 공격성에 관한 연구로서 공격성의 극단적인 표현인 살인경험이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를 대상으로 공격 반응을 연구한 논문이다. 살인에 있어서 정신분열증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기타 정신과 질환보다 높다는 점과 이들 환자에서 발생하는 살인이 범죄적인 성격보다는 병적증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치료와 예방적인 측면에서 정신분열증에서 발생하는 폭력이나 살인은 주목할 가치가 있는 현상이다. 저자는 정신분열증 환자 가운데 살인이나 살인 미수의 과거력이 있는 자들을 대상으로 Rosenzweig의 좌절이론에 기초를 둔 그림 좌절 검사와 임상적 진단을 위한 객관적인 검사인 다면적 인성 검사를 이용하여 살인 정신분열증 환자의 공격성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그림좌절 검사상 나타난 공격의 방향에서 살인 정신분열증 환자집단이 욕구좌절상황에서 공격의 화살을 외부 탓으로 돌리는 E(외벌적 방향) 반응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P<0.01), 공격의 화살을 자신에게로 돌리는 I(내벌적 방향) 반응과, 공격을 회피하는 M(무벌적 방향) 반응은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P<0.05, P<0.01). 2) 그림좌절 검사상 나타난 반응 유형에서, 좌절을 일으킨 장해를 분명히 승인하고 지적하는 반응인 O-D(장해 우위형) 반응을 살인 정신분열증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으며 (P<0.05), 좌절에 직면하여 좌절의 해결을 강조하고 타인이 해결해 주기를 바라는 N-P(요구고집형) 반응은 정상 대조군보다 살인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5). 3) 그림좌절 검사상 나타난 초자아 요인에 대해서는, 비난이나 질책에 대해 무반성하고 공격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인 E반응(P<0.05),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지만 외부 탓으로 돌리며 자신의 책임은 없다고 변명하는 I반응(P<0.05), 타인에게 모든 비난을 돌리는 E-E반응(P<0.01), 사회성 및 정신발달의 지표로 볼 수 있는 M+I 반응(P<0.01)에서, 살인 정신 분열증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더 낮았고, 자책하고 자기 비난이 강할 때 나타나는 I-I반응은 살인 정신분열증 환자군이 정상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1). 4) 사회성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피검자의 욕구불만에 대한 반응이나 사회적응성이 연령에 적합한지를 나타내는 G.C.R.은 살인 정신분열증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5). 5) 14개의 MMPI척도 가운데 L, F, K 3개의 타당도 척도와 D, Pd, Pt, Sc의 5개 임상 척도에서 살인 정신분열증 환자군의 T score가 정상 대조군보다 의미있게 더 높았으며, 특히 L 척도와 Pa 척도에서 두 집단의 차이가 가장 현저했다(P<0.0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Ⅲ. 연구결과 = 6 1. 그림 좌절 검사(P.F.T. : Picture-Frustration Test) = 6 1) 공격의 방향(Direction of Agression) = 6 2) 반응의 형(Reaction type) = 6 3) 초자아 요인(Super-ego factor) = 6 4) Group Concordance Rate(G.C.R.) = 9 2. 다면적 인성 검사(MMPI : Minnesots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 11 Ⅳ. 고찰 = 13 Ⅴ. 결론 = 19 REFERENCES = 21 ABSTRACT = 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93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그림좌절검사-
dc.subject인성검사-
dc.subject정신분열증-
dc.subject공격반응-
dc.title그림좌절 검사와 다면적 인성검사에서 나타난 살인 정신분열증 환자와 정상 대조군의 공격 반응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ifference of Aggressive Respones Between Homicidal Schizophrenics And Normal Control Group On Picture-Frustration-Test And MMPI-
dc.format.pagevi, 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