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必然的 綜合判斷 槪念의 硏究

Title
必然的 綜合判斷 槪念의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cept of Necessary and Synthetic Judgement
Authors
金永珠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필연종합판단판단개념KantRussellKripk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에서는<필연적 종합판단은 간셤한가?>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그러기 위해 필연적 종합판단이 간셤하다는 칸트와 크립키의 이론을 살펴 보고 필연적 종합판단이 불간셤하다는 럿셀의 이론을 살펴보기로 했다. 칸트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개념이 순수 선험적임을 논증하고, 선험적 연역에서 코페르니쿠스적 전희를 시도함으로서 선험적 종합판단이 간셤한 구조를 보여준다. 칸트의 이 구조 내에서는 대상의 조건과 경험의 조건이 일치하므로 개념이 대상에 관계할 수 있고, 주어진 직관의 잡다는 종합적 인 내용이 되고 인간은 감성과 오성의 선험적 형식으로 이 잡다를 종합 하므로, 선험적이면서도 종합적인 판단이 간셤하게 된다. 그래서 수학과 자연과학의 명제들은 선험적 종합판단이 되고 따라서 확실한 지식의 기반을 성립하게 한다. 이에 논자는<선험적 종합판단의 개념이 필연적 종합판단의 개념과 같은 의미는 아니나, 외연적으로는 동일하다>는 것을 Ⅱ장의 논제로 삼음으로서 칸트의 필연적 종합론이 어떻게 간셤할가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칸트의 이론은 절대적<선험적 종합판단>을 주장함으로 현대에 와서 새로운 논리학, 상대성이론 등의 출현으로 인해 무너지게 되었다. 논자는 그 이유를 칸트가<언어적 선험성>에선 보편성과 필연성의 개념으로 이루어진 선험성의 근거를 찾으려 했고, 이 두 종류의 선험성은 서로 다른 것이므로 이것을 혼동하여 사용한 때문으로 보았다. 반면 럿셀은 형식판단 (수학과 논리학)은 필연적이나 분석적이고, 사실판단은 종합적이나 개연적이라고 보기 때문에 필연적 종합판단은 불간셤하다 그는 분석적인 명제와 필연적인 명제는 정의에 의하여 참인 명제를 뜻한다고 보며, 선험적 정당성은 논리적인 것으로 경험에서 독립된 정당성을 말한다. 그런데 럿셀은 선험성을 필연성과 동의어적으로 쓰고 있으므로 선험적이고 필연적인 명제는 모두 분석적인 명제이다. 즉 선험과 분석과 필연이 동일하게 된다. 또한 럿셀은 수학에 대해 논리주의(Logicism)를 택하므로 모든 수학판단은 논리판단이 된다. 그런데 논리판단은 분석적이며 필연적이므로 형식판단은 분석적이고 필연적이게 된다. 반면 사실판단은 그 성격이 확장적이고 상대적이며 가설적이기 때문에 종합적이나 개연적이게 된다. 또한 크립키는<어떤 경험판단은 필연적이다>라는 논제를 고정지시어 개념을 근거로 주장한다. 따라서 필연적 종합판단이 간셤케 된다. 그는 자신의 논제를 밝히기 위해 여러종류(정관사어귀, 고유명사, 理論, 心身 등)의 동일성 명제들을 가지고 설명하는데, 이러한 시도로서 전통적인 선험, 필연, 분석에 대한 개념의 해석을 새롭게 한다. 크립키는 선험은 인식개념이고, 필연은 형이상학적 개념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칸트나 럿셀의 이론과 다르다. 즉 크립키는<종합적인 것 중에 필연적인 것이 있다>는 점에서는 칸트의 주장과 같으나,<분석적이거나 선험적인 것 만이 필연적이다>라는 칸트의 주장과 다르다. 또한 럿셀과는<동일성 명제는 경험적이다>라는 점에서는 같으나 <분석적인 것 만이 필연적이다.>라는 럿셀의 주장과는 다르다. 크립키는 고유명사가 기술구의 연합이 아니라 고정지시어라고 보면서, de re 양상개념을 받아들여 Contingent Identity Paradox를 극복하고, 필연적 종합명제를 간셤케 한다. 또한 자연종류용어(natural kind term )도 고유명사와 같이 고정지시어라고 본다. 그의 이러한 논의는 본질을 인정하므로 간셤하다. 논자는 이 논문에서 크립키의 필연적 종합론에 동의하면서 몇가지 문제점(일상언어 사용의 논리를 해친셋점, 화학적 구조 등으로 구별할 수 있는 대상이 한정되어 있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크립키에 있어, 필연성은 절대적 필연성이라기 보다 상대적 필연성이라고 해석함이 옳을것 같다고 했다. 왜냐하면 우리가 지금 볼 수 없는 간셤한 세계도 있고,그의 필연성은 어떤 System내에서만 지니는 필연성이기 때문이다. 끝으로, 이 논문에서는 필연적 종합론이 간셤하다면 현대의 대립된현상학과 분석철학의 종합이 간셤할 수도 있다고 그 간셤성만을 시사하였는데 이것은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문제로, 이 논문에서는 그 간셤성을 시사하는 것만으로 그쳤다.;This thesis dealt with the question whether necessary and synthetic judgement is possible. In order to analyse the concept of necessary and synthetic judgment, 1 examined the theories of kant, Russell and Kripke. Kant and kripke answered to the question affirmatively, though in different manner, and Russell negatively. Kant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the Concept by showing that time, space and concepts are pure a priori, and by invoking a coperican conversion through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Thus, in kant's structure, condition of object and condition of knowledge were made to coincide, so that concept can be uniquely related with object, and given manifold of intuition becomes synthetic content. Men synthetize this manifold by transcendental form of sensitivity and understanding. Therefore synthetic a priori can be possible. And, the propositions in mathematics and Natural Science are synthetic a priori judgment. so it becomes basis for certain knowledge. In dealing with kant, I tried to show that the concept of synthetic a priori judgments and the concept of necessary and synthetic judgments are not same in their meaning, but they are identical in their extension. But, kant's theory which insist the absolute synthetic a priori judgment has been collapsed by the advent of modern logics and the theory of relativity. I assumed the reason of collapse is due to his confusion of two kinds of a priori: A priori is an epistemic property such that justification of accepting a proposition does not depend on experience but this a prioricity may be distinguished into two. One is a linguistic a priorlcity and the other is scepticism-proof aprioricity. And Kant thought to obtain the latter by formulating the former. Of course, if he were to have the latter, the latter being universal and necessary, he would have overcome the scepticism. On the other hand, Russell thinks the necessary and synthetic judgment is not possible, for he considers formal judgment(such as mathematics and Logic) is necessary and analytic, but factual judgment is synthetic and contingent. He understood that analytic prepositions and necessary propositions mean true propositions by definition, and that rightfulness of a priori is a logical one and independent of experience. And a priori and necessary prepositions become analytic proposition, for Russell thinks a priori and necessary is identical. That is, a prioricity, analyticity and necessity are same. As Russell extends logicism to mathematics, every mathematical statement can be related to logical judgment. And as a logical judgment is analytic and necessary, formal judgment becomes also analytic and necessary. On the other hand, factual judgment is synthetic and contingent, for it has extensive, relative and hy-pothetical properties. Kripke regards the necessary and synthetic judgment to be possible by showing the thesis some synthetic judgment is necessary. In order to support his thesis, he examined many kinds of identity propositions. In this attempt, he made clear the interpretation of a priori, necessary and analytic concept. Kripke's theory differs from those of Kant's and Russell's in that Kripke understands a priori as epistemological concept and necessary as metaphysical concept. Both Kant and Kripke have the same opinions that necessary and synthetic judgment is possible, but they have different opinions in that kant asserts only analytic and a priori proposition is necessary. And, Both Russell and Kripke have the same opinions that identity propositions are empirical, but they have different opinions Russell asserts only analytic and a priori judgment is necessary. Kripke insists proper names are not the set of description but rigid designator. He solves the problem of contingent identity paradox with de re modal concept. So, necessary and synthetic can be possible. Also, natural kind term is rigid designator, and this argument can be possible by accepting essense. In this paper, agreeing with Kripke's theory, I pointed out some problems. And, I thinks that Kripke's absolute necessity may be replaced by relative necessity. Because, another possible world that we can't see now is possible and Kripke's necessity is within some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