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미영-
dc.creator박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4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5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6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587-
dc.description.abstract최근 nm23 단백은 유방암, 전립선암, 위암, 폐암, 간세포암, 난소암등에서 종양의 전이여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이들 종양에서 예후인자로서의 가능성이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자궁 경부암에서 nm23 단백이 지니는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국외에서도 극소수의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있을 뿐이다. 국외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궁경부선암종(adenocarcinoma)에서는 nm23-H1 단백의 발현이 감소할수록 암전이가 증가하나, 편평상피 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의 경우에는 nm23-Hl 단백의 발현이 암전이와 무관하여 자궁 경부암의 예후와 관련이 없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처럼 nm23 단백의 발현에 관한 연구들이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이는 확실한 이유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있다. 본 연구는 1993년 9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목동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한 자궁 경부암 환자 40례와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환자 36례, 그리고 정상 자궁경부 환자 15례를 대상으로하여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를 이용한 nm23-H1 단백 발현도와 자궁 경부암 예후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 자궁경부 환자군의 평균연령은 42.9(±5.1)세, CIN 환자군은 39.5(土7,7)세, 자궁 경부암 환자군은 49.3(±11.7)세이었다. 정상 자궁경부 환자군은 모두 자궁근종 환자들이었고, CIN은 CIN I 13례, CIN II 10례, CIN III 13례이었다. 자궁 경부암은 모두 편평상피 세포암이었고, 임상병기의 분포를 보면 Ia기 13례, Ib기 8례, IIa기 6례, IIb기 9례, III기 2례, IV기 2례이었다. 2. nm23-Hl 단백 발현도는 정상 자궁경부 조직과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조직에서보다 자궁 경부암 조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5.017) 3. 자궁 경부암에서 임상적 병기가 증가할수록 nm23-Hl 단백 발현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21). 그러나 원발병소의 크기, 림프절 전이여부, 림프관 및 혈관 침윤여부, 자궁방 결실조직 침윤여부등은 nm23-H1 단백 발현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궁 경부암에서 nm23-Hl 단백 발현도와 암전이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찾지 못하였으나, nm23-Hl 단백 발현도는 자궁 경부암의 강력한 예후인자인 임상병기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nm23-Hl 단백 발현도는 자궁 경부암에서 하나의 유용한 예후인자로서의 가능성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한정된 증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상 환자의 추적기간이 짧아, 환자의 무병 생존율과의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므로, 향후 더 많은 증례를 대상으로 이에대한 연구가 더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The nm23 gene was originally identified by differential screening of a cDNA library with RNA from low and high metastatic clones of a murine melanoma cell line. The nm23 gene product was proposed to be a nucleoside diphosphate(NDP) kinase. It was reported that increased NDP kinase expression in malignant tumors, as compared with those observed in normal tissues. The mechanism of this over expression of NDP kinase in malignant tissues is not yet understood : as NDP kinase is involved in nucleoside triphosphate synthesis, an increase in NDP kinase expression could correlate with hyperproliferation of neoplastic cells. In studies on human breast cancers, gastric cancers and ovarian cancers, reduced expression of the nm23 gene were correlated with high metastatic potential, but on cervical cancers, thers were little reports about nm23 protein.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nm23 by immunohistochemistry method in a series of 40 cervical carcinomas, to determine its possible association with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whether the alterations in the expression of nm23 protein occured in cervical cancer as compared with CIN and normal cervices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September 1993 to March 1997.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s of normal control, CIN and carvical cancers were 42.9(± 5.1)years, 39.5(±7.7)years, and 49.3(±11.7)years respectively. All cases of cervical cancer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And the number of each stages Ⅰa, Ⅰb, Ⅱa, Ⅱb, Ⅲ and Ⅳ were 13 cases, 8 cases, 6 cases, 9 cases, 2 cases, and 2 cases respectively. 2. In cervical cancer, nm23-Hi protein expression was si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CIN and normal tissue(t=5.017>1.96). 3. In cervical cancer, the more increased nm23 protein expression was observed in higher stages(p=0.021)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nm23-Hl protein expression related to the primary tumor size,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vasion into blood or lymph vessels or into the parametria or the occurrence of lymph node metastasis. We conclude from the above results, nm23-H1 protein was significantly more expressed in cervical cancer as compared with CIN and normal tissue. And it was also more expressed in higher clinical stages. As clinical stage is a potent prognostic factor of cervical cancer, nm23-H1 may have a favorable prognostic significance in cervical cancer. But, the study is based on limited number of cases and short-term period of follow up, further prospective studies on a larger population should be don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4 Ⅲ. 연구결과 = 7 Ⅳ. 고찰 = 14 Ⅴ. 결론 = 19 Reference = 21 ABSTRACT = 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801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궁 경부암-
dc.subjectnm23-
dc.subject단백 발현-
dc.subject면역조직화학-
dc.title자궁 경부암에서 nm23 단백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nm23 protein expression in the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dc.format.pageviii, 3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