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폐경전 여성에서 혈중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농도와 산화스트레스의 연관성

Title
폐경전 여성에서 혈중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 농도와 산화스트레스의 연관성
Other Titles
sex hormone-binding globulin and oxidative stress in korean premenopausal women
Authors
최영주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폐경전여성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산화스트레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Low levels of sex hormone-binding globulin(SHBG), an indirect index of androgenicity, are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e risk factors of the cardiovascular disease are known to be related to oxidative stress. In the recent reports, sex hormone was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PCOS), which is characterized by increased androgenicity and insulin resistanc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sex hormone and oxidative stress, we examined the association of malondialdehyde(MDA), total antioxidant status(TAS),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ox-LDL), and SHBG in 46 Korean premenopausal wome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Age, body mass index(BMI), body fat distribution, blood pressure, glucose, insulin, lipid, insulin sensitivity index(S_(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women with normal glucose tolerance(NGT)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SHBG and MDA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women with NGT and IGT. But, TAS was significantly lower (p=0.034) in the subjects with IGT than in the subjects with NGT. 2. Age, blood pressure, glucose, insulin, lipid, insulin sensitivity index(S_(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obese and the non-obese women. SHBG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p=0.036) in the obese women than in the non-obese women. 3. SHBG level was significantly inversely correlated with BMI(r=-0.394, p=0.007), post challenge glucose(r=-0.326, p=0.027), waist(r=-0.323, p=O.O29), waist-to-thigh ratio(WTR)(r=-O.308, p=0.037), fasting insulin level(r=-0.387, p=0.008), visceral fat area(VFA)(r=-0.339, p=0.021), and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_(I)(r=0.397, p=0.008). 4. SHBG level was significantly inversely correlated with MDA(r=-0.357, p=0.015) and ox-LDL(r=-0.367, p=0.014). 5.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BG level was a significant independent factor for MDA and ox-LDL. Fasting insulin level and post challenge glucose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factors for TAS. In conclusion, increased androgenicity assessed by decreased serum SHBG level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MDA and ox-LDL.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reased androgenicity in premenopausal women migh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via increased oxidative stress.;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sex hormone-binding globulin, 이하 SHBG)은 여성에서 남성화의 간접적인 지표로 이용되며, SHBG의 감소는 인슐린저항성과 연관되어 당뇨병 및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들이 산화스트레스의 증가와 관련되며, 최근 남성 호르몬의 증가와 인슐린저항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낭성난소 증후군 환자에서 성호르몬과 산화스트레스가 관련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본 연구는 SHBG와 산화스트레스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의 과거력 및 흡연력이 없는 폐경전 여성 46명을 대상으로 하여 SHBG와 malondialdehyde(이하 MDA), 총항산화능(total antioxidant status, 이하 TAS) 및 산화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이하 ox-LDL)의 연관성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를 75g 경구당부하검사를 통해 정상 내당능군과 내당능 장애군으로 나누었을 때 당부하후 혈당을 제외한 연령, 신체 계측치, 대사성 지표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HBG와 MDA 농도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AS는 내당능 장애군에서 정상 내당능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1.41±0.15 mmol/L, 1.30±0.17 mmol/L, p=0.034). 2. 대상자를 체질량지수 25 kg/㎡를 기준으로 비만군과 비비만군으로 나누었을 때 비만과 관련되는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 대 엉덩이둘레비, 체지방량, 체지방면적을 제외한 다른 변수들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HBG 농도는 비만군에서 비비만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56.6±34.2 nmol/L, 76.0±23.8 nmol/L, p=0.036). 3. SHBG 농도는 체질량지수(r=-0.394, p=0.007), 당부하후 혈당(r=-0.326, p=0.027), 허리둘레(r=-0.323, p=0.029), 허리 대 허벅지둘레비(r=-0.308, p=0.037), 공복인슐린 농도 (r=-0.387, p=0.008), 내장지방면적(r=-0.339, p=0.02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인슐린감수성지표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397, p=0.008)가 있었다. 4. SHBG 농도는 MDA 농도(r=-0.357, p=0.015) 및 ox-LDL 농도(r=-0.367, p=0.014)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다중회귀분석에서 연령, 체질량지수, 당부하후 혈당, 허리둘레, 공복인슐린 농도, 수축기 혈압,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보정한 후 SHBG 농도는 MDA(R^(2)=0.128, β=-0.357, p=0.015) 및 ox-LDL(R^(2)=0.135, β=-0.367, p=0.018)에 유의하게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TAS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공복인슐린 농도(R^(2)=0.260, β=0.374, p=0.007)와 당부하후 혈당(R^(2)=0.260, β=0.295, p=0.031)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 SHBG는 유의하지 않았다(Table 6). 결론적으로, 폐경전 여성에서 혈중 SHBG가 감소할수록 MBA 및 ox-LDL 농도가 증가하며, SHBG의 감소는 산화스트레스의 증가와 관련되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