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9 Download: 0

특발성 막성사구체신병증의 신사구체 alpha-smooth muscle actin 및 vimentin 발현과 예후와의 상관관계

Title
특발성 막성사구체신병증의 신사구체 alpha-smooth muscle actin 및 vimentin 발현과 예후와의 상관관계
Other Titles
Expression of glomerular α-SMA and Vimentin in idopathic Memgranous nephropathy as prognostic iondicators
Authors
이민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막성사구체신병증신사구체alpha-smooth muscle actinvimentin 발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막성사구체신병증은 성인에서 신증후군을 일으키는 흔한 질환의 하나로. 자연적인 관해부터 밭기 신부전증으로의 진행까지 다양한 임상 경과를 나타낸다.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조직학적 소견으로는, α-smooth muscle actin(α-SMA)에 양성 반응을 보이는 간질의 근섬유모세포가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α-SMA이 사구체 내에서 발현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근섬유모세포에서 발현될 수 있는 또 다른 세포 골격 단백인 vimen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함께 시행하여 이들의 발현을 양적으로 측정하고 예후와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스물 네 명의 특발성 막성사구체신병증(IMN: idiopathic membranous nephropathy) 환자를 선택하여 이들의 조직 학적 소견을 재검토하고 사구체 내에서 α-SMA 과 vimentin에 양성을 보인 세포들이 전체 사구체에서 차지하는 양을 형태계측학적 방법으로 측정하여 5명의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진단 당시 및 추적 관찰 후의 임상적 소견과 비교 분석하였다. 다섯 명의 환자들은 치료 후에도 지속되는 신증후군을 보였고(P: progressive), 다른 19명의 환자들은 치료 후 정상적인 신 기능을 회복하였다(NP: non-progressive) 모든 IMN 환자에서, 사구체 α-SMA(평균:13.6 ±10.3%)과 vimentin(평균:31.7 ± 10.2%)은 정상 대조군(α-SMA평균: 0.13±0.1%), vimentin 평균 9.47±3.9%)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발현률을 보였다. 사구체 α-SMA은 대부분 사구계의 혈관사이세포(mesangial cell) 세포질 및 혈관사이기질(mesangium)에 분절성 혹은 미만성 발현을 보인 반면, 사구체 vimentin은 혈관사이 세포 및 혈관사이 조직보다는 족 세포, 모세 혈관 내피세포에서 발현되어 두꺼워진 기저막을 따라 미만성으로 강한 양성을 보였다. 사구체 α-SMA은 진행성인 환자의 경우(평균: 26.5±7.0%) 비진행성 환자 (평균: 10.2±8.1%)에서보다 의미 있게 높은 발현률을 나타내었다. 사구체 α-SMA과 진단 당시 및 마지막 추적 관찰시의 BUN 및 creatinine 수치와의 상관성을 관찰해 본 결과 마지막 추적 관찰시의 BUN 및 creatinine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반면, 사구체 vimentin은 진행성과 비진행성 환자의 경우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BUN 및 creatinine 수치와의 상관성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저자는 특발성 막성사구체신염에서 사구체 α-SMA이 진행성과 비진행성 환자를 판별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Membranous nephropathy is one of the most commonest forms of nephrotic syndrome in adults. The natural history of idiopathic membranous nephropathy(IMN) is heterogeneous with some patients showing spontaneous remission while others having a progressive course leading to end-stage renal failure. Histologically, interstitial myofibroblasts has been linked with the progression of the various glomerular disease. In this study we quantitatively assessed glomerular α-smooth muscle actin(α-SMA) and vimentin expression as a marker to predict the outcome of membranous nephropathy. We have reviewed 24 patients with biopsy proven idiopathic membranous nephropathy and obtained clinical and follow up data. There were 5 patients with progressive IMN(P) and 19 patients with non-progressive IMN(NP) after steroid treatment. We analysed morphometrically to measure the volume of positive area for α-SMA and vimentin within the glomeruli in IMN patient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f 5 normal control group. In all patients, glomerular α-SMA(mean: 13.6±10.3%) and vimentin(mean:31.7=10.2%) in IMN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mean of α-SMA: 0.13±0.1%, and of vimentin: 9.47±3.9%). The patients with higher glomerular α-SMA also showed increased interstitial α-SMA positive cells but the expression of vimentin was shown mainly in the glomeruli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glomerular and interstital vimentin expressions. There was also no correlation beteween the glomerular α-SMA and glomerular vimentin expressions. Glomerular α-SM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mean: 26.5±7.0%) than in NP(mean: 10.2±8.1%). We compared glomerular α-SMA with BUN and serum creatinine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last follow up. The correlations of glomerular α-SMA with last follow up BUN and serum creatinin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but those with initial BUN and serum creatinine were not significant. The glomerular vimentin was not different between P(mean: 33.1±15.2%) and NP(31.4±9.0%). There were no correlations of glomerular vimentin with BUN and creatinin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expression of glomerular α-SMA may be a useful prognostic indicator and can be 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patients with membranous nephropathy who respond to treatment and those who continue to progr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