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랜시-
dc.creator김랜시-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4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5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448-
dc.description.abstract베르그손의 철학에서 ‘의식(conscience)’은 ‘지속(duree)’만큼이나 핵심적이고 중요한 개념이다. 그는 전통 형이상학에서 근대과학에 이르기까지 서구 지성사의 흐름이 공간을 위주로 한 사유였으며, 이는 실재의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모습인 변화와 생성을 포착하는 데 무력하다는 것을 밝힌다. 지속의 본성은 이러한 공간성과 대비되는 것으로 불가분적인 이질적 변화의 연속성으로 특징 지워진다. 처음 인간 의식의 존재 형식으로 자리 잡은 지속은 그의 저서『창조적 진화』에서 ‘의식적 본성’, ‘심리적 질서’ 등으로 표현되며, 이는 단순히 유비관계를 나타내는 기술적 용어가 아니라, 생명의 ‘창조적 진화’에서 나타나는 본질적 특성을 묘사하는 적극적 용어로 기능한다. 베르그손은 생명과 의식이 동연적(coextensive) 관계에 있음을 밝힌다. 의식적 속성을 갖는 생명의 진화는 무시간적인 초월 세계의 ‘영원’이나 물리적 평면에서 응고된 ‘순간’에서가 아니라, 실재적 시간의 작용인 ‘지속’에서 출발한다. 지속은 현재가 과거로서 보존되면서 끊임없이 비결정적인 미래로 나아가는 연속성과 변화 그 자체를 말하는데, 이는 연속성 가운데 이질적인 비약으로서의 창조가 드러나는 생명의 진화 그 자체가 되기 때문이다. 한편, 의식의 발생론적 탐구는 생명이 잠재적으로 의식적이었으나 개체로서 분화된 생명체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측면으로 이를 마비시키거나[식물], 본능[동물], 혹은 지성[인간]으로 발달시켰음을 말해준다. 여기서 지성은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에게 전제된 사유능력이 아니라, 단지 개체의 실용적 관심과 행위를 위해 발달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생물학적이면서도 정신주의적인 생명 형이상학 속에서 의식의 의미는 우선 그 발생적 기원을 탐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생명 개체들을 실체적 본성이 아닌 경향으로 구분하면서 그 적극적 의미를 갖추게 된다. 우선 물질과 생명은 지속의 서로 다른 방향의 경향성으로 구분된다. 생명의 방향이 창조와 자유의 방향으로 상승하는 정신성(spiritualite)을 말한다면, 물질의 방향은 타성(l'inerte)과 수동성, 자동주의로 하강하는 물질성(materialite)을 일컫는다. 그 극한에 있어서 기하학적 질서를 표방하는 물질성의 방향은 정신성이 이완될수록 나타나는 것으로, 지성은 여기서 나타나는 복잡성과 질서를 찬양하고 이를 적극적 실재로 표상한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긴장하고 수축하는 정신의 ‘의지의 결핍’을 나타내는 것으로 자유가 아닌 수동성과 반복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가리킬 뿐이다. 이러한 의식의 경향성에 대한 베르그손의 사유는 윤리적이고 실천적인 문제와도 결부되어 있다. 행위에 있어서 유용함과 결부된 지성의 습관적 사유의 방향을 직관의 방향으로 바꾸는 것은 ‘역전으로서의 의지’를 요구하는 실천적 결단이다. 이처럼 인간의 특권적 지위와 능력에 대한 관점을 윤리적 책임에 대한 의식으로 전환할 때, 베르그손이 설정하는 의식과 생명의 동연적 관계의 진정한 의미가 밝혀진다. 생명 진화의 역사 속에서 인간 존재를 규명하는 것은 단순히 그 우위성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인간은 물질적 장애를 극복하려는 생명체의 의지적 노력 가운데 존재하며, 이러한 전체 생명의 운동성을 직관하는 능력은 창조적으로 진화하는 생명의 역사 속에서 인간 사회가 나아가야 할 지표와 이를 위한 근원적 힘을 확인하는 데 소용된다. 이는 우리가 생명의 본성과 일치할 수 있으며, 개체적 욕망과 이를 토대로 한 폐쇄적 집단주의나 사회적 관습에 대항하여 열린 미래를 추구하고 비결정성으로서의 창조와 새로움을 이 세계에 도입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In Bergson's philosophy, there are two important themes, "duration" and "consciousnes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criticizing that the mainstream of the western philosophy has put too much emphasis on the theoretical schema of "space", he points out that one cannot grasp the change and becoming of the real world only with the notion of space. On the contrary, the notion of duration is characterized as the successive continuity of "indivisible heterogenieties", which shows Bergson's criticism on the physicalist approach to psychology by dividing psychological states like physical atoms. In the Essay on the Immediate Data of Consciousness, Bergson suggests duration as the mode of existence of human consciousness. Afterwards, the duration is also used as an inevitable notion in understanding the mode of existence of any natural species. According to Bergson, consciousness is coextensive with life. He asserts that the evolution of life itself has the psychological feature and the nature of consciousness, that is, duration. I argue that this assertion is not intended to claim an unacceptably naive anthropomorphism that attributes human features to nature and life or draw a mere analogy between consciousness and life. The meaning of this coextensiveness assertion will be clarified via specifying the notion of memory in Bergson's metaphysics. Living beings need to be able to retrieve their memory effectively for making a better decision. In matter and memory, Bergson "discovers" the schema of memory, which is described as the image of cone. This schema explains the continuity and heterogeneity of the past and the present. I claim that this schema is also discovered in Bergson's explanation of creative evolution. In addition, we can find the rela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memory from Bergson's well-known proposition that consciousness is memory. In Bergson's picture, therefore, consciousness is identified as memory, and memory shares the same schema with creative evolution. In explaining the notion of memory, the pure past which includes all the memory of the past is explained by the notion of 'virtual multiplicity.' The notion of "virtual multiplicity" is analyzed in both biological and spiritual senses. In the first sense, life has been differentiated into plants and animals. Although life is, in right (i.e. theoretically), consciousness, plants had given up their mobility and made their consciousness dormant through the procedure of their evolution. Animals, however, had developed their mobility and consciousness to seek for food. Human beings as a special species of the animal have intelligence to segment the reality as the stream of duration for their practical interests, which is called solidification of the virtual intuition. This shows the reason why Bergson defines human beings as Homo Faber. But, he does not mean to degrade a human's status of a rational being. Rather, he suggests the method to free ourselves from the personal and closed rationality, and then extend ourselves to use intuition, which guides us to the spiritual meaning of "the virtual multiplicity." This spiritual meaning is explained by another new notion, "tendency." Bergson's peculiar notion of "the conscious" is crucial in understanding the genuine meaning of "creative evolution" and the status of human beings in the procedure of creative evolution. Bergson points out that there are not "things" whose boundaries are permanently fixed and that everything is acting and/or moving. He introduces the notion of "tendency" to describe the way of action and changing boundaries. Concerning life and matter, Bergson suggests two opposed kinds of tendencies relevant to each notions: for the notion of life, consciousness itself, memory with freedom, continuity of creation in the duration of growth; for the notion of matter, inertia, geometry, subjection to necessity and mechanical reproduction. In addition to the metaphysical analysis on the coextensive rela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life, I argue that this relation is related to a moral matter. Our consciousness can sympathize voluntarily with the whole living beings by inverting our habitual and repeated nature of intelligence, i.e. the direction to matter, into the direction of intuition, i.e. the direction to life. Owing to this sympathy, we can capture the whole differentiated processes of life without any blunder from our personal interest and with an indeterminate attitude to the world. From the analysis on the notions of consciousness and life in Bergson's philosophy, we can realize that intuition is not just a static contemplation, but the a guiding principle for impersonal mor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의식과 지속 = 5 1. ‘지속(dure'e)’으로서의 의식 = 6 1) 지속의 발견: 심리적 경험으로서의 지속 = 6 2) 지속의 특성: 공간과의 대비 = 9 3) 지속(의식)의 의미: 비결정성과 창조 = 11 2. ‘기억(me'moire)’으로서의 의식 = 14 1) 존재론적 지속으로의 확장 = 14 2) 잠재적 다양체로서의 의식 = 17 Ⅲ. 의식과 생명 = 26 1. 지속과 진화 = 26 1) 지속으로서의 진화 = 26 2) 기계론과 목적론의 한계 = 36 2. 의식과 생명 : 생명의 분화(divergence) = 44 1) ‘생명(vie)’으로서의 의식의 특성 = 44 2) ‘생명(vie)’으로서의 의식의 범위 = 47 Ⅳ. 의식과 의지 = 53 1. 인식과 실재 = 53 1) 지성의 발생과 자연적 기능 = 55 2) 직관과 생명 = 58 2. 경향(tendance)의 문제 = 62 1) 물질성의 방향과 생명성의 방향 = 62 2) ‘역전(inversion)’으로서의 의지 = 70 Ⅴ. 결론 = 81 참고문헌 = 84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35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베르그손의 형이상학에서 의식과 생명의 문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nsciousness and life in Bergson's metaphysics-
dc.creator.othernameKim, Rancy-
dc.format.pageⅷ,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