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나병피부 병변의 혈관내피세포와 염증세포에서의 MHC class I, II와 CD1의 발현

Title
나병피부 병변의 혈관내피세포와 염증세포에서의 MHC class I, II와 CD1의 발현
Other Titles
Expression of MHC class I. II and CD1 in the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Dermal inflammatory cells of leprosy skin lesions
Authors
김성현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나병피부병변혈관내피세포염증세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Leprosy is a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caused by Mycosbacterium leprae, which is an obligate intracelluar pathogen. It presents broad spectrum of clinical manifestations depending on the host's specific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to Μ. leprae. The recent experimental observations suggested that mechanisms of localization in the Schwann cell was mediated by epineurial and endoneurial endotelial cells, giving Μ. leprae access to the inner compartment of nerves and thus to Schwann cells. CD1 is a family of nonpolymorphic β2-microblobulin-associated tramsmembrane glycoproteins that are structurally related to classical MHC Ag-presenting molecules, but are encoded by a separate genetic locus. Recent reports have described that human T cells that specifically recognize foreign lipid and glycolipid antigens presented by CD1 proteins. Thus, it appeared likely that CD1 represents the key component of an MHC - independent pathway for antigen presentation to T cells. In this study, we observed expression of antigen presenting molecules, such as MHC class Ⅰ, Ⅱ and CD1, in the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inflammatory cells of leprosy skin lesion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HLA-A, B, C, the level of expression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of the borderline tuberculoid leprosy is higher than that of borderline lepromatous leprosy, but lower than that of normal skin tissue. 2. In HLA-A,B,C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cells, the level of borderline tuberculoid leprosy is higher than that of borderline lepromatous leprosy and of normal skin tissue(P>0.05). 3. Expression levels of HLA-DP, DQ, DR on endothelial cells decrease significantly in order of borderline tuberculoid leprosy, borderline lepromatous leprosy, lepromatous leprosy(p<0.05). 4. Expression levels of HLA-DP, DQ, DR on inflammatory cells decrease in order of borderline lepromatous leprosy, borderline tuberculoid leprosy, lepromatous leprosy,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did not exist. 5. In immunohistochemical stains of CD1b, 3 sections of all 4 normal skin sections and 1 section of all 3 borderline tuberculoid leprosy sections showed focal positivity on the dermal inflammtory cells, but borderline lepromatous leprosy sections did not show any positive inflammatory cells. 6. Epidermal Langerhans cells showed positivity on immunohistochemical stains of CD1a and CD1c.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ression of MHC class Ⅰ and Ⅱ on the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expression of CD1b on the inflammatory cells decrease in order of immunity of lepromatous skin lesion.;나병은 Mycobacterium leprae에 의해 피부와 신경이 주로 침범되는 만성 육아중성 감염질환으.로 나균에 대한 숙주의 세포면역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인다. 최근까지 진행되어 온 연구에세 혈관 내피세포의 나균수가 Schwann 세포의 나균 수보다 많은 점으로 혈관 내피세포의 감염이 우선되고 후에 Schwann 세포의 감염이 뒤따르는 것일 수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피부의 신경혈관다발(neurovascular bundle)을 구성하는 혈관의 내피세포와 나균을 탐식한 대식세포가 나병의 초기병리기전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면역조적화학 염색을 통해 혈관내피세포와 나병의 병변에 침윤된 염증세포에서 MHC class I과 Ⅱ, 그리고 최근 나균의 항원제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CDI의 발현이 나병 병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른 나균에 대한 면역획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근결핵양 나병변에서 혈관내피세포 중 HL.A-A,B,C에 대한 양성세포의 발현이 근나종 나병변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정상피부조직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2. 진피에 침윤된 염증세포의 HLA-A,B,C에 대한 발현율은 근결핵양 나병변이 근나종 나병변과 정상조직보다 높은 발현율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HLA-DP, DQ, DR에 대한 혈관내피세포의 염색은 근결핵양 나병변에서 나종나 병변으로 갈수록 발현율은 감소하였으며 정상 피부조직에서보다는 나병 병변에서 발현율이 낮은 양상을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4. 진피 내 염증세포에서의 HLA-DP, DQ, DR의 발현율은 나종 나 병변에서 가장 높고 근나종 나병변, 근결핵양 나병변 순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5. CD1b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은 정상피부조직에서는 4명중 3명의 환자에서 진피의 수지세포의 일부에서 양성 소견을 보인데 비하여 근결핵양 나환자는 3명중 1명에서 양성소견을 보였고, 근나종 나환자의 친피에서는 양성으로 염색된 세포는 없었다. 6. CDla에 대한 염색에서는 표피의 랑게르한스 세포에서만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병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CDlc에 대한 염색은 모든 조직에서 음성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혈관내피세포에서 발현되는 MHC class I과 Ⅱ의 발현율이 근결핵양 나, 근나종 나, 나종 나로 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항원제공에 따른 면역의 획득이 감소함을 보았으며 따라서 혈관내피세포가 나병의 초기 병리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CDI에 대해서는 근결핵양 나병변의 진피에 존재하는 염증세포에서만 국소적으로 CDlb가 발현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