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 생성 Enterobacter 균주의 빈도와 특성

Title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 생성 Enterobacter 균주의 빈도와 특성
Other Titles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Producing Enterobacter Isolates
Authors
곽이경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Enterobacter species are important causes of nosocomial infections and are characterized by chromosomally encoded AmpC β-lactamases that possess the ability to develop resistance upon exposure to β-lactam antibiotics. Recent studies suggest that the prevalence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 production is substantially high in these organisms. It poses a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 since only a limited number of antimicrobial agents can be used safely against them.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ESBL-producing Enterobacter spp., a total 262 nonduplicate consecutive clinical isolates of E. cloacae (158 isolates), E. aerogenes (98 isolates), E. asburiae (3 isolates) and E. agglomerans (3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clinical specimens from the Asan Medical Center.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s of cefoxitin, cefotaxime, ceftriaxone, ceftazidime, cefepime, piperacillin and imipenem were determined by an agar dilut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guidelines. ESBL production was confirmed by combined disk tests using cefotaxime, ceftazidime and cefepime versus adding clavulanate in each antibiotic disk. PCR and DNA sequencing were performed for TEM/SHV/CTX-M genes with specific primers. Conjug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E. coli J53 as the recipient and MICs for the donor, recipient and transconjugant strains were measured. The cut-off values of the ESBL screening criteria were selected using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curves.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for all patients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over a 6 month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overall ESBL production rate was 12.6% (33/262). The prevalence of ESBL was 17.1% (27/158) in E. cloacae, 5.1% (5/98) in E. aerogenes and 33.3% (1/3) in E. asburiae. 2.When Enterobacter strain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β-lactamases production, 78 isolates (29.8%) were inducible AmpC producing strains, 65 isolates (24.8%) were derepressed AmpC mutants, 33 isolates (12.6%) were derepressed AmpC mutants with ESBL production, and 2 isolates (0.8%) were partially derepressed AmpC mutants. There were no isolates which produced ESBL only. 3.SHV-12 (15 isolates) and CTX-M-9 (15 isolates) were the most prevalent types of ESBL in Enterobacter species. 4.The transfer of ESBL by conjugation was achieved for 11 isolates of 33 ESBL-producing Enterobacter species. 5.The cefepime MIC ≥ 1 μg/ml had the highest sensitivity (87.9%) and specificity (82.1%). 6.Over half of the ESBL-producing isolates (19/33) were judged to be pathogens. Cholangitis (10 cases) and intraabdominal infection (5 cases) were the most common infections.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9.1% (3/33). These data revealed a considerable degree of ESBL prevalence among Enterobacter spp. in Korea and suggest that ESBL testing is necessary for AmpC-producing organisms.;Enterobacter는 주로 기회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최근 들어 원내 감염에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폐렴, 혈류감염, 요로감염을 일으킨다. Enterobacter는 염색체에 ampC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AmpC β-lactamase를 생성하는데 항균제 사용에 의해 유도되거나 유전자의 변이로 다량의 AmpC β-lactamase를 생성하는 것이 항균제에 대한 주된 내성 기전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Enterobacter에서도 그람 음성 간균의 광범위 cephalosporin에 대한 내성의 다른 기전인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를 생성하는 균주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어 AmpC β-lactamase 과잉 생성에 의한 내성과의 감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월부터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 내원한 환자의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Enterobacter 262균주를 대상으로 항균제 감수성 시험, cefotaxime, ceftazidime, cefepime 세가지 항균제와 clavulanic acid를 이용한 combined disk test를 시행하여 ESBL 생성 균주를 확인하였고, TEM, SHV, CTX-M형의 ESBL 유전자를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검출하였다. 또한 환자들의 임상자료를 수집하여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 Enterobacter에서 ESBL 생성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선별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전체 Enterobacter 균주에서의 ESBL 생성률은 12.6%(33/262) 이었다. 균종별로는 E. cloacae 17.1%(27/158), E. aerogenes 5.1% (5/98), E. asburiae 33.3%(1/3) 이었다. 2.내성 기전에 따라 균주를 분류하였을 때 유도성 AmpC β-lactamase 생성 Enterobacter가 78균주(29.8%)로 가장 많았고, 탈억제 변이주가 65균주(24.8%), 탈억제 균주이면서 ESBL을 생성하는 균주가 33균주(12.6%), 부분적 탈억제 변이주가 2균주(0.8%)의 순이었으며 탈억제 변이주가 아니면서 ESBL을 생성하는 균주는 없었다. 3.ESBL 생성 확인시험 양성인 Enterobacter 33균주 중에서 TEM/SHV/CTX-M 계열의 효소를 가진 균주는 25균주 (75.8%)이었다. TEM형 4균주, SHV형 16균주, CTX-M형이 16균주였으며 TEM-1-like, TEM-52, SHV-2a, SHV-12, CTX-M-1, CTX-M-9의 6가지 유전형이 확인되었다. 단일 유전형으로는 SHV-12, CTX-M-9이 각각 15균주로 가장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4.ESBL 생성 33균주 중 E. cloacae 6균주, E. aerogenes 5균주 등 총 11균주(33.3%)에서 접합 시험에 의해 ESBL 유전자가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ROC) 곡선을 이용하여 ESBL 선별을 위한 기준점을 결정하였다. Cefepime의 area under the curve (0.901)가 가장 높았고, 선별 기준을 cefepime MIC ≥ 1 μg/ml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87.9%, 특이도는 82.1%였다. 6.ESBL 생성 Enterobacter가 분리된 33명의 환자 중에서 19명(57.6%)이 Enterobacter에 의한 감염증이었고, 담도염이 가장 흔하였으며 사망률은 9.1%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국내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Enterobacter 중 기존에 널리 알려진 내성 기전인 AmpC β-lactamase 이외에 ESBL을 생성함으로써 광범위 베타락탐 항균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는 균주가 12.6%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BL 생성 균주의 임상적 의미를 고려할 때 Enterobacter 균주에서도 ESBL 생성 유무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고, ESBL 생성 균주에 대한 선별기준의 확립이 필요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