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裵漢善-
dc.creator裵漢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7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5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761-
dc.description.abstract연경당과 낙선재 일곽, 운현궁 일곽은(이하 세 주택으로 칭하겠다) 왕족이 발주하여 건립되었고 이용자 및 거주자도 왕족이었다. 다만 그 외형이 궁궐이 아닌 주택의 형태를 취했다. 이들 세 주택은 와옥이 주거공간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기능상으로는 궁궐의 침전과 유사하고, 형태상으로는 주택과 유사하다. 이들 세 주택은 그 외형으로 상류주택의 전형 혹은 특수한 형태 등으로 분류되곤하였다. 하지만 사용자가 왕족이라는 특별한 사항을 고려하면 상류주택과는 차이점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들 세 주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능상 공통점을 가지는 궁궐 치먼과 비교분석하고 형태상 유사점을 지니는 상류주택과도 함께 비교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궁궐 침전과의 비교를 위해서 경복궁의 강녕전, 대조전, 창덕궁의 대조전, 창경궁의 통명전을 선택하였다. 상류주택으로는 김기웅 가옥, 김영구 가옥, 북촌댁. 선교장, 이용욱 가옥 등을 비교 대상으로 정하였다. 이들 상류 주택들은 연경당, 낙선재 일곽, 운현궁 일곽이 건립되었던 19세기의 건물들이며, 세 주택과 궁궐 침전 모두 수도에 위치애 있기 때문에 지방에 위치한 주택들에 한해서 선별되었다. 본 고는 세 주택의 건축 등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바, 기능과 형태가 유사한 궁궐 침전과 상류 주택과의 비교 분석은 꼭 필요한 작업이다. 이를 위해 먼저 건물이 조영될 당시 사용되었을 것으로 가정되는 조영 척도 즉 모듈을 도출하는 시도를 하였다. 또한 건물의 공간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그 공간의 자체의 특성 뿐 아니라 궁궐 침전과 상류 주택과의 비교를 통한 특성에 역점을 두었다. 끝으로 건물 조영에 사용된 구조체에 관해서 비교 분석하고 세 주택이 가지는 건축 특성을 정리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1 1. 들어가는 말 = 3 2. 연구 동기 및 비교 분석 대상 = 4 2-1. 연경당과 낙선재 일곽, 운현궁 일곽의 건립 목적 = 4 2-2. 연구 동기 = 5 2-3. 비교 분석 대상 = 6 2-4. 침전과 주택과의 관계 = 7 3. 조영 척도로서의 모듈 = 11 3-1. 모듈과 비례 체계 = 11 3-2. 모듈과 인간적인 척도 = 12 3-3. 조영 척도로서의 모듈 = 14 3-3-1. 연경당, 낙선재 일곽, 운현궁 일곽의 모듈 = 15 3-3-2. 궁절 침전의 모듈 = 18 3-3-3. 상류주택과 모듈 = 21 3-4. 모듈과 좌향 = 23 4. 공간 분석 = 26 4-1. 채의 배치 = 26 4-1-1. 세 주택의 배치 = 27 4-2-2. 궁궐의 배치 = 30 4-2-3. 상류주택의 배치 = 33 4-2-4. 소결 = 35 4-2. 주인 방과 대청마루 = 37 4-3. 주인 방과 건넌방 = 43 4-4. 온돌 방과 난방 시설 = 47 4-4-1. 안방의 난방 시설 = 47 4-4-2. 사랑방의 난방 시설 = 49 4-4-3. 건넌방의 난방 시설 = 51 4-4-4. 소결 = 53 4-5. 부속실 = 54 4-6. 완충 공간 = 58 4-7. 공간 분석 결과 = 64 6. 구조체 분석 = 68 6-1. 기둥 직경과 기둥 길이 = 68 6-2. 가구 형식과 지붕 형식 = 69 6-3. 기둥과 도리 모양 = 70 6-4. 정면 칸의 비례 = 72 6-6. 소결 = 73 7. 맺는 말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094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c.subject연경당-
dc.subject낙선재-
dc.subject운현궁-
dc.title연경당, 낙선재, 운현궁의 건축 특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궁궐 침전, 상류 주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dc.format.page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과학기술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