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사용자제작콘텐츠(User Created Content)의 이용 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Title
사용자제작콘텐츠(User Created Content)의 이용 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motivations and satisfactions of UCC(User Created Content) users
Authors
오인경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원용
Abstract
2006년 하반기 이후 인터넷 포털을 비롯한 업계 최대 관심이‘사용자 제작콘텐츠'인‘UCC(User Created Content)'로 집중되고 있으며, 일반인들의 참여가 활성화 되고 있다. 하지만 UCC가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른 것이 채 일 년 남짓한 기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UCC에 대한 연구는 시작 단계라고 할 수 있어 국내는 물론 해외에도 관련 연구가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UCC에 대한 이해나 분석,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편이며, 용어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리 또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과정에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원)생의 사용자제작콘텐츠(User Created Content)의 이용 동기 및 이용만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UCC 이용 동기는 무엇인가? 1-1 UCC의 이용 동기는 무엇인가? 1-2 UCC 이용시간에 따른 UCC 이용 동기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2> UCC 이용 만족은 무엇인가? 2-1 UCC 이용에 대한 만족 유형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2-2 UCC 이용시간에 따른 UCC 이용 만족 유형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3> UCC이용 동기와 만족유형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159명의 서울과 경기지역의 대학(원)생 중 사용자제작콘텐츠이용 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17부를 제외한 총 142부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인 설문지는 이용 동기에 관한 30개 문항, 이용만족도에 관한 29개 문항, 그리고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문제의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 12.0을 이용하였다. 또한, 설문의 보완을 위해 UCC 중이용자의 심층면접을 통한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1>의 요인분석 결과 사용자제작콘텐츠의 이용 동기는 사회적 관계동기, 유용성 동기, 자기표현 동기, 오락 동기, 유행 동기, 창의성 동기, 정보추구 동기로 7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연구문제1-2>의 분석결과 UCC의 중사용자 집단과 경사용자 집단은 사회적 관계 동기, 오락 동기, 정보추구 동기에서 차이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는 반면,‘유용성 동기’, ‘자기표현 동기’, ‘유행 동기’, ‘창의성 동기’의 네 가지 동기유형의 경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연구문제2-1>의 요인분석 결과 이용만족으로는 자기표현 만족, 사회적 관계 만족, 유용성 만족, 정보추구 만족, 유행 만족, 오락 만족의 6가지 요인이 나타났다. <연구문제2-2>의 분석결과‘사회적 관계 만족’과 ‘오락 만족’그리고 ‘정보추구 만족’이다. 따라서 이 세 가지 만족유형의 경우는 UCC 이용시간에 따라 경사용자 집단과 중사용자 집단 사이에 차이가 나타난 반면, 유용성 만족’, ‘자기표현 만족’, ‘유행 만족’의 세 가지 만족유형의 경우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문제3>인 동기유형과 만족도 유형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관계 동기’와 ‘사회적 관계 만족’간의 상관계수는 0.824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음으로 ‘유행 동기’와 ‘유행 만족’, ‘자기표현 동기’와 ‘자기표현 만족’, ‘오락 동기’와 ‘오락 만족’이 비교적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대학(원)생의 UCC 이용 동기 중 ‘유용성 동기’,‘유행 동기’, ‘창의성 동기’등은 기존 매체의 이용 동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UCC만의 이용 동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기항목들의 대부분은 UCC 중이용자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실질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UCC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를 통해 향후 UCC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용과 충족 이론을 바탕으로 한 UCC의 이용과 만족에 관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Since the latter half of 2006, a growing number of people have taken interest in UCC (User Created Content) in the Internet portal sites. Because it has been only a year or so since UCC gained popularity,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on UCC in and out of the country. Therefore,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analysis, and systematic research on UCC, and related terms are yet to be systemized by social agreement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motivations and satisfactions of UCC users amo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ddressed. What are the motivations of using UCC? 1-1 What are the motivations of using UCC? 1-2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s and the number of hours spent on UCC? What are the satisfactions of using UCC? 2-1 What are the types of UCC user satisfaction? 2-2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types and the number of hours spent on UCC?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UCC user motivations and satisfactions? Some 159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Kyoung-gi areas were surveyed, among which 17 respondents were screened due to carelessness and 142 were studied in the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30 questions on motivations, 29 on satisfactions, and some on th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PSS12.0 was used to analyze the survey. Also, more data were collected via in-depth interviews with some heavy users of UCC.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findings. Motivations we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social relationship, usefulness, self-expression, entertainment, fad, creativeness, and information seeking.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heavy users and light users in terms of social relationship,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seeking. Howeve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other 4 categories. Satisfactions wer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self-expression, social relationship, usefulness, information-seeking, fad, and entertainmen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heavy users and light users in terms of social relationship,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seeking. Howeve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other 3 categories. The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s and satisfactions was highest in social relationship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24, followed byfad, self-expression, and entertainment. In sum, usefulness, fad, and creativeness among the motivations of using UCC, are unique to UCC, unfound in earlier media. These motivations were identif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heavy UCC users. This research aims to seek future directions of the UCC development by studying motivations and satisfactions of UCC users. Since this is the first research on the subject based on the theory of uses and gratification, it is all the more signific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