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도시 공간에서의 디지털 공공미술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 공간에서의 디지털 공공미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gital Public Art in the City Space
Authors
최유미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조형예술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인들에게 도시는 단순히 생활을 영위하는 일상적인 장소의 의미를 넘어 삶의 절대적인 조건이 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아가는 집합적 공간인 도시는 인간의 활동에 관계와 편의성을 제공하여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급속한 도시의 팽창과 가속화된 미디어 기술의 발달, 도시 감시 체제의 확대 등으로 인해 현대인은 도시의 삶 속에서 오히려 개인의 고립화를 경험하고 있다. 전통적인 공공미술이 공공의 개념을 장소와 관련시켜 작품을 만드는데 반해, 1990년대 이후 등장한 뉴 장르 공공미술은 장소를 단순히 물리적 장소로 보지 않고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소통의 공간으로 간주하며, 지역 공동체와 대중의 참여를 제안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오늘날 우리의 환경을 지배하고 있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도시의 삶과 풍경을 혁신적으로 바꾸어놓고 있다. 이것은 도시 공간 속에 과거와는 분명히 구분되는 새로운 공공미술의 형태의 변화를 요구한다. 상호대화적 소통을 추구하며 사람들의 개방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는 관객이 직접 체험하고 소통하면서 작품을 지각하는 과정이 중시되는 예술의 형태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아트는 본질적으로 상호작용적 성격과 멀티미디어를 통한 체험 방식, 그리고 네트워크로 집단적 협력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의 특성을 띤다. 이와 같은 세 가지 특성은 전세계 모든 사람들이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총체적인 멀티미디어 환경을 체험하게 하면서, 작가와 작품, 관람자, 환경 간의 적극적인 인터랙티비티를 통해 관람자인 대중이 작품의 이미지와 과정을 새롭게 변형하고 만들어 낼 수 있게 하였다. 더불어 이것은 디지털 공공미술이 공공미술의 개념을 확장하면서 도시 공간을 재창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도시 환경에서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고 있는 모바일 폰, 무선 네트워크, 위치기반 기술, 대형 미디어보드 등 각종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우리가 주변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을 조절하고 통제하고 있다. 위와 같은 소통 매체는 언뜻 우리의 삶을 편안하고 자유롭게 만드는 듯 보이지만, 실상은 도시 구성원의 개인화와 폐쇄적 인간 관계를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삭막한 도시 풍경을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은 소통 매체가 지닌 대안적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전제 속에서 우리의 일상을 둘러싼 소통 매체인 건축물, 위치기반 미디어, 모바일 폰, CCTV, 미디어 보드를 이용한 작품을 중심으로 도시 공간에서의 디지털 공공미술의 공공적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라파엘 로자노 헤머의 <관계적 건축 Relational Architecture>은 공공장소에서 대중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퍼포먼스를 통해 보다 강조된 의미의 인터랙션인 ‘관계적’ 소통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정적이고 공적인 영역으로 여겨졌던 공공장소의 건축물은 대중들의 자율적인 움직임을 통해 일시적으로 살아있는 유기체로 바뀐다. 이로써 무표정한 건축물은 역동적이고 예술적이며, 다채로운 내러티브가 생산되는 창조적이고 활기 넘치는 공간으로 재탄생 된다. 위치기반 미디어인 GPS를 이용한 블라스트 씨어리의 <당신은 지금 나를 볼 수 있습니까? Can you see me now?>는 대중에게 공개된 온라인 공간과 특정 참가자가 참여하는 오프라인 공간이 혼합된 형태의 독특한 혼합 현실 게임을 통해 무선 가상 공간과 실제 공간을 자연스럽게 융합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작품에 참여한 대중들은 작품을 놀이처럼 즐기고 소통하는 가운데 도시 생활의 활력과 의미를 되찾는다. 모바일 미디어를 사용하여 그 예술적 가능성을 실험하는 프로보식스의 <어번 태피스트리 Urban Tapestries>는 모바일 폰의 특성인 언제 어디서나 타인과 연결될 수 있지만 개인적이고 폐쇄적인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의 한계를 뛰어넘어 특정 공간에 대한 공동체적 경험과 지식을 나누고, 친밀감을 회복하는 과정을 통해 일상 공간의 재인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거대한 도시 공간은 자율적 소통의 공간이 되었다. 도시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감시, 추적 시스템인 CCTV 영상을 역으로 활용하는 미셸 테란의 <인생 사용법 Life: A User's Manual>은 우리 삶의 모습을 드러내어 각종 사회적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대중은 감시의 대상이자 주체로서 양가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작품에 참여하게 되는데, 이로써 그간 사회적으로 억압되어왔던 대중의 권한과 능력을 회복하게 된다. 이러한 공공미술의 접근 방식은 전술적 미디어로서 적극적인 사회 참여와 공공성을 보여주며, 사회적 이슈에 대한 전략적 개입을 시도한다. 도심에 설치되어 있는 대형 광고판과 정보를 전달하는 미디어 보드를 이용한 케빈 다이썸과 토시노 이와이의 <아이스 ICE>는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미디어 보드를 대중의 접근을 통한 예술적인 표현의 지지대로 변환시켜 다차원적인 소통의 장으로 만들었다. 이로써 도시 공간에 설치된 미디어 보드는 대중들의 삶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환경적 조형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시대의 공공미술은 더 이상 공공장소를 미적으로 꾸미는 데 그치는 것만이 아니라 새로운 차원의 대안적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여 작품 속에 정치, 사회, 역사적인 메시지를 주입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일상적 도구였던 디지털 미디어를 창조적 도구로 전환시켜 대중의 참여를 활성화함으로써 도시 공간에서 예술과 대중, 사회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도시 공간에서의 디지털 공공미술은 삶과 예술의 통합 속에서 도시 거주자로 하여금 예술을 통해 스스로 지역 공동체를 형성하게 하고, 개인의 고립화를 극복하게 함으로써 함께 살아가는 ‘살만한 도시’를 만드는데 기여한다.;A city, for modern men today, is not merely an everyday place in which they reside but an absolute condition for life. A city, a collective space where a multitude of people gather and live, has executed a role to enrich their lives by providing networks and convenience required for human activities. Modern men, however, are being isolated in the midst of a city life,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the city, the speedy development of the media technology, and the extension of the city surveillance system. While the traditional public art focuses on producing works which associate the concept of the public to a specific place, the new genre public art which appeared after the 1990s regards a place not only as a physical place but as a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space of communication, and tends to suggest a sense of regional community and encourage public participation. Digital technology which prevails in the environment today is radically changing the life and the landscape of the city. The city space, due to this, calls for new forms of public art which are distinct from the past. Digital media have made possible an art form which attaches great importance on the ways in which the audience participates in, communicate with and perceive artworks, as they seek after the reciprocal communication and are built on the premise of the audience’s active participation. Therefore, Digital Art characterizes in reciprocity, physical experiences through multi-media and the collective collaboration on a network made feasible with the use of communication media. These three characteristics enable people all over the world to experience the total multi-media environment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The public audience themselves, through an active interaction with the author and the environment, modify and compose the image and the creative process of artworks. Thus, the possibility for digital public art to extend the concept of the public art and to recreate the city space has opened up. The communication media such as mobile phones, wireless network, large-scale media boards which dominate our everyday lives in the city environment, are conditioning and controlling the way we perceive the world. Although these communication media seem to make our life freer and more convenient, they in fact accelerate individualization and isola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e can find the possibility to recover the desolate city environment in the alternative communication methods which the communication media themselves can offer. Having said that, I examine how digital public art can be used in the city space, focusing on the artworks that utilize architecture, a communication medium that surrounds our everyday life; construction; locative media; mobile phones; CCTV; and media boards. Rafael Lozano-Hemmer’s is a performance that happens in a public space. It i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udience, thus asserting the possibility of ‘relational’ communication, suggesting a more advanced meaning of interaction. In his performance, a construction in a public space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static and public area, is temporarily transformed into a living organic through autonomous movements of the public audience. Thus, a once expressionless structure turns into a creative and lively space where dynamic, artistic and diverse narratives are produced. Blast Theory’s , which uses GPS, locative media, is a unique virtual game synthesizing an online space -which is open to public- and an offline space -which particular members of the audience participate in-, thus naturally combining the wireless virtual space and the real physical space. The public audience participating in this type of artworks can rediscover the liveliness and the meaning of a city life, while having fun and communicating. Proboscis’s is an experiment on the artistic possibility of mobile media. A mobile phone connects people any time anywhere but results in an individual and closed communication. attempts to go beyond this limitation. It successfully leads the participants to renew their perception of an everyday space through sharing with each other a collectiv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space and recovering a sense of intimacy. Thus a gigantic city space existing on a network becomes an autonomous space of communication. Michell Teran’s demonstrates a counterusage of CCTV, a system installed everywhere in the city for surveillance and tracking. It shows our everyday lives seen through the screen, revealing relevant social problems. The public participates in the work both as an object and the subject of surveillance. This experience let the public audience regain its rights and abilities which have been repressed by the society. The public art like this, as a tactical medium, attempts to suggest way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to strategically intervene in social problems. Klein Dytham and Toshio Iwai’s borrows its form from an oversized billboards installed in the city center and media boards which deliver information. A media board usually forces itself upon the viewers. ICE, however, converts a media board into a multi-dimensional space of communication with an easy access where the public audience can express themselves artistically. Therefore, the media board installed in the city space becomes an environmental structure which constantly and reciprocally influences the life of the public. Public art in this digital age is not merely an aesthetic decoration in a public space but plays a role as an alternative communication method; it actively delivers a political, social and historical message. It converts digital media, which used to be a mere tool in our everyday life, into a creative tool, and by encouraging public participation it reveals the relationship of art, public and the society in a city in a three-dimensional form. Likewise, digital art in the city space, in its attempt to harmonize life and art, leads its residents to form a regional community through art and helps them to overcome the individualization, thus,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a ‘livable city’ where its members live together with one ano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