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아사-
dc.creator신아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9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4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35-
dc.description.abstract『Shiji(史記)』 written by Simaqian(司馬遷) has been studied since Hanwei Liuchao(漢魏六朝). In Tang(唐) dynasty, as culture and academy came into the spotlight, it was revaluated in the fields of history and literature. 『Shiji(史記)』 Sanjiazhu(三家注) was also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great popularization of zhushixue(注釋學), which had been advanced since Han(漢) dynastry. Sanjiazhu(三家注), one of the materials of jingjizhuyin(經籍注音) in zhonggu(中古), refers to 『Shijijijie(史記集解)』 written by Peiyin(裵인), 『Shijisuoyin(史記索隱)』 by Simazhen(司馬貞), and 『Shijizhengyi(史記正義)』 by Zhangshoujie(張守節), and provides phonological explanations for difficult letters or yiziduodu(一字多讀) such as shengxun(聲訓), ruzi(如字), duruo(讀若).duru(讀如).duyue(讀曰).duwei(讀爲), zhiyin(直音), fanqie(反切). This thesis tried to investigate the phonological condition and system reflected in yinqie(音切),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method of phonological explanations-zhuyin(注音) in zhonggu(中古).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Sanjiazhu(三家注) is divided into two phonological systems: one is Xuguang(徐廣)'s phonological system which reflects southern dialects in 4.5C, and the other is Simazhen(司馬貞) and Zhangshoujie(張守節)'s phonological system which reflects northern dialects in 8C. Second, Xuguang(徐廣) didn't make a distinction between zhongchunyin(重脣音) and qingchunyin(輕脣音), shetouyin(舌頭音) and sheshangyin(舌上音), and chitouyin(齒頭音) and zhengchierdeng(正齒二等), mingling houyin(喉音) with yayin(牙音), and there being no differences in final and tone system from 『Qieyun(切韻)』. Third, the initial system reflected in 『Shijisuoyin(史記索隱)』 and 『Shijizhengyi(史記正義)』 was classified into 36 categories. There was the devocalization of some quanzhuoyin(全濁音-竝·奉·定·澄·從·牀_(二)·牀_(三)·群母-) and the dental-labialization of zhongchunyin(重脣音 except for 明母). Fourth, the final system reflected in Shijisuoyin(史記索隱)』 and 『Shijizhengyi(史記正義)』 is 15 she(攝), the result of the mergence of both jiand.dangshe(江.宕攝) and the first, second, third, third.fourth division chongyun(重韻). Also, houyin(喉音) and yayin(牙音) of the second division jiayun(佳韻) of xieshe(蟹攝) merged into jiashe(假攝) and hui.qi.jiyun(灰·齋·祭韻) of the first.third.fourth division into zhishe(止攝). In addition, Sanjiazhu(三家注) mingled with yangshengyun(陽聲韻) and rushengyun(入聲韻) which have different endings([-m]:[-m], [-n]:[-n], [-p]:[-p], [-t]:[-t], [-k]:[-k]) as well as yangshengyun(陽聲韻) and rushengyun(入聲韻) which have the same ending([-m]:[-n], [-n]:[-ŋ], [-p]:[-t], [-p]:[-k]). Fifth, the tone system reflected in 『Shijisuoyin(史記索隱)』 and 『Shijizhengyi(史記正義)』 basically maintained the sisheng(四聲) system, but reflected the zhuoshangbianqu(濁上變去) a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rushengyun(入聲韻) and qusheng yinshengyun(去聲 陰聲韻). In conclusion, The phonological system of Xuguang(徐廣) is similar to that of 『Qieyun(切韻)』 in that it reflects the features of southern dialects. The phonological system of Simazhen(司馬貞) and Zhangshoujie(張守節), representing the features of northern dialects, is almost the same with the 36 zimu(字母) and 16 she(攝) of the rhyme table(韻圖), and also reflects the transient stage from early zhonggu(中古初期) to late zhonggu(中古後期).;司馬遷의 『史記』는 漢魏六朝부터 연구·전파되기 시작하였으며, 唐代에는 文化와 學術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史學과 文學방면에서 재평가를 받았으며, 漢代 이래로 발달해온 注釋學이 더욱 유행하여 『史記』 三家注도 성립하게 되었다. 三家注는 中古시기의 經籍注音 자료 중의 하나로 劉宋 배인의 『史記集解』, 唐 司馬貞의 『史記索隱』, 唐 張守節의 『史記正義』를 가리키는데, 聲訓, 如字, 讀若·讀如·讀曰·讀爲, 直音, 反切 등의 注音 방법으로 어려운 글자나 一字多讀의 글자들을 注音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위의 注音방법 중 中古시기의 대표적인 注音방법인 音切[直音·反切]에 반영된 음운현상 및 음운체계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三家注는 4·5C의 南方方音을 반영하는 徐廣의 음운체계와 8C 北方方音을 반영하는 司馬貞 및 張守節의 음운체계로 크게 이분된다. 둘째, 徐廣은 重脣·輕脣音, 舌頭·舌上音, 齒頭·正齒_(二)等을 구분하지 않았고 喉·牙音을 많이 혼용하였으며, 韻母와 聲調는 『切 韻』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셋째, 『索隱』 및 『正義』에 반영된 聲母 체계는 36류로 귀납할 수 있었다. 일부 全濁音(竝·奉·定·澄·從·牀_(二)·牀_(三)·群母)의 淸化, 重脣音(明母 제외)의 輕脣音化가 주요특징이며, 이 외에도 齒音이 齒頭音·正齒_(二)等·正齒_(三)等으로 구분된 점, 非·敷母, 泥·娘母, 從·邪母, 牀_(三)·禪_(三)母가 구분되지 않은 점, 喩_(三)母가 匣母에서 분화하여 독립한 점이 특징이다. 넷째, 『索隱』 및 『正義』에 반영된 韻母 체계는 江·宕攝이 합류하고 같은 攝 내의 1等 重韻, 2等 重韻, 3等 重韻, 3·4等韻이 합류하여 15攝으로 귀납할 수 있었다. 또한 蟹攝의 2等 佳韻의 喉·牙音字는 假攝과, 1·3·4等의 灰·齋·祭韻은 止攝과 합류하였으며, 流攝 尤·侯韻의 脣音字는 遇攝과 합류하였고, 東_(三)韻의 輕脣音은 東_(一)韻과 합류하였다. 이 외에 韻尾가 동일한 陽聲韻과 入聲韻들을 혼용하였으며([-m]:[-m], [-n]:[-n], [-p]:[-p], [-t]:[-t], [-k]:[-k]), 韻尾가 다른 陽聲韻과 入聲韻들도 혼용하였다([-m]:[-n], [-n]:[-ŋ], [-p]:[-t], [-p]:[-k]). 다섯째, 『索隱』과 『正義』에 반영된 聲調는 기본적으로 四聲 체계를 유지하였으나 濁上變去 현상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入聲韻과 去聲 陰聲韻간의 관계도 밀접하였다. 이로써 徐廣의 음운체계는 南方方音의 특색을 반영하여 『切韻』의 음운체계와 비슷하며, 司馬貞과 張守節의 음운체계는 北方方音의 특색을 반영하여 韻圖의 36字母 및 16攝과 거의 일치하고, 中古初期에서 中古後期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단계를 반영함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국문요약 = ⅳ Ⅰ. 緖論 = 1 Ⅰ.1 연구 목적 = 1 Ⅰ.2 연구 현황 = 3 Ⅰ.3 연구 방법 = 5 Ⅰ.3.1 注音 자료 처리의 원칙 = 5 Ⅰ.3.2 음운론적 접근 = 9 Ⅱ. 『史記』 三家注 槪觀 = 11 Ⅱ.1 『史記』 三家注의 성립 배경 = 11 Ⅱ.1.1 『史記』의 전파와 재평가 = 11 Ⅱ.1.2 唐 注釋學의 유행 = 13 Ⅱ.2 『史記』 三家注의 작자 및 특징 = 16 Ⅱ.2.1 배인과 『史記集解』 = 16 Ⅱ.2.2 司馬貞과 『史記索隱』 = 17 Ⅱ.2.3 張守節과 『史記正義』 = 19 Ⅱ.3 『史記』 三家注의 판본 = 20 Ⅲ. 『史記』 三家注의 聲母 체계 = 22 Ⅲ.1 脣音 = 22 Ⅲ.1.1 重脣音과 輕脣音 간의 혼용 = 23 Ⅲ.1.2 重脣音 내의 혼용 = 24 Ⅲ.1.3 輕脣音 내의 혼용 = 25 Ⅲ.2 舌音 = 27 Ⅲ.2.1 舌頭音과 舌上音 간의 혼용 = 28 Ⅲ.2.2 舌頭音 내의 혼용 = 29 Ⅲ.2.3 舌上音 내의 혼용 = 30 Ⅲ.2.4 舌音과 齒音 간의 혼용 = 31 Ⅲ.2.5 舌音과 喉·牙音 간의 혼용 = 31 Ⅲ.3 牙音 = 33 Ⅲ.3.1 牙音 내의 혼용 = 33 Ⅲ.3.2 牙音과 喉音 간의 혼용 = 35 Ⅲ.4 齒音 = 36 Ⅲ.4.1 齒頭音 내의 혼용 = 37 Ⅲ.4.2 正齒二等 내의 혼용 = 38 Ⅲ.4.3 正齒三等 내의 혼용 = 38 Ⅲ.4.4 齒頭音과 正齒音 간의 혼용 = 39 Ⅲ.5 喉音 = 40 Ⅲ.5.1 喉音 내의 혼용 = 41 Ⅲ.5.2 喉音과 齒音 간의 혼용 = 42 Ⅲ.6 半舌·半齒音 = 44 Ⅲ.6.1 半舌音의 혼용 = 44 Ⅲ.6.2 半齒音의 혼용 = 45 Ⅲ.7 小結 = 47 Ⅳ. 『史記』 三家注의 韻母 體系 = 48 Ⅳ.1 果攝 = 48 Ⅳ.1.1 果攝과 止攝 간의 혼용 = 49 Ⅳ.2 假攝 = 49 Ⅳ.2.1 假攝과 蟹·遇攝 간의 혼용 = 49 Ⅳ.3 遇攝 = 51 Ⅳ.3.1 遇攝과 效·流攝 간의 혼용 = 52 Ⅳ.4 蟹攝 = 52 Ⅳ.4.1 蟹攝과 止攝 간의 혼용 = 53 Ⅳ.4.2 蟹攝과 山攝 간의 혼용 = 54 Ⅳ.5 止攝 = 55 Ⅳ.6 效攝 = 57 Ⅳ.6.1 效攝과 流攝 간의 혼용 = 57 Ⅳ.7 流攝 = 58 Ⅳ.8 咸攝 = 59 Ⅳ.8.1 咸攝과 深攝 간의 혼용 = 60 Ⅳ.8.2 咸攝과 山攝 간의 혼용 = 60 Ⅳ.9 深攝 = 62 Ⅳ.9.1 深攝과 曾·江攝 간의 혼용 = 62 Ⅳ.10 山攝 = 63 Ⅳ.10.1 山攝과 臻攝 간의 혼용 = 64 Ⅳ.10.2 山攝과 梗攝 간의 혼용 = 64 Ⅳ.11 臻攝 = 65 Ⅳ.12 梗攝 = 66 Ⅳ.12.1 梗攝과 曾·宕攝 간의 혼용 = 67 Ⅳ.13 曾攝 = 68 Ⅳ.13.1 曾攝과 宕·攝 간의 혼용 = 68 Ⅳ.14 江·宕攝 = 68 Ⅳ.14.1 江·宕攝과 通攝 간의 혼용 = 69 Ⅳ.15 通攝 = 70 Ⅳ.16 小結 = 71 Ⅴ. 『史記』 三家注의 聲調 체계 = 72 Ⅴ.1 平聲과 上聲 간의 혼용 = 73 Ⅴ.2 平聲과 去聲 간의 혼용 = 74 Ⅴ.3 上聲과 去聲 간의 혼용 = 74 Ⅴ.4 入聲과 平·上·去聲 간의 혼용 = 76 Ⅴ.5 小結 = 79 Ⅵ. 『史記』 三家注와 『切韻』 및 韻圖와의 관계 = 80 Ⅵ.1 聲母 체계 = 80 Ⅵ.2 韻母 체계 = 82 Ⅵ.3 聲調 체계 = 83 Ⅶ. 結論 = 84 參考文獻 = ⅰ ABSTRACT = ⅶ-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860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기-
dc.subject삼가주-
dc.subject음주-
dc.subject중어중문-
dc.title『史記』 三家注 音注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hinji』 Sanjiazhu-
dc.format.pageiv, 85,-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중어중문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