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7 Download: 0

장재의 인간론과 정치적 형이상학

Title
장재의 인간론과 정치적 형이상학
Other Titles
Chang Tsai's Theory of Human being and Metaphysics of Politics
Authors
김선희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장재인간론정치형이상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a systematic reconstruction of the philosophy of Chang-Tsai(1020-1078) , a philisopher in the age of Bei song(北宋), in the respect to metaphysics of morality. We aim to get an understanding of Nature, which constitute the basis of the communicative relation with the Unlimited and also with everything, henceforth to open up a possibility of perceiving these in cosmic relatedness. We also focuss on the role of 'Cosmic Family' and saints presented as a way to establish the ideal political society. Given that he lived in the age when demands of brandnew science and ways of life exploded, it was a necessity for Chang-Tsai to establish an inclusive and guiding morality for both the individuals and the nation. When cosmic unified relatedness is to be based on responce and communication, whose actuality finds its best expression in 'Cosmic Family', the saints who initiate the political idealism he aims at can be properly relocated. Through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Confucionism, Chang-Tsai grounds human morality systematically over the structure of Cosmic Nature; Ch'i(氣), one ubiquitous principle that gives an undifferentiated explanation on Cosmic Nature and human society was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metaphysical grounding of morality. Ch'i-monism reaches far beyond an inclusive explanation of the phenomenal; the theory that says everything that exist is a reflection of Ch'i movement assess variety and unity without favoratism. The phenomenal variety and the unity beneath are to be seen as possibility and actuality of life correspondingly for those who perceive. He urges to peceive the phenomenal consequents, the constant vibration of nature's authenticity resulted from the process of Ch'i movement as dualistic structure of the world. Still, his dualism is not to be seen as a substantialization, but should justly be called a methodology of embracing the process of Chi into human reality; in the end, the Unlimited and the limited, Heaven and human being are the very two sides of one same coin. Here we attemp to capture how Chang-Tsai explicates the nature of human who inhabits twofold way of life as a natural being and cultural being. In order to get to this end, Introduction first approach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mands that molded and formed Chang-Tsai's thought. Also inclded here is the attitude of Chang-Tsai toward Buddhism, Lao-Tzu, Wang An Shis, which shows what Chang-Tsai assumed about his own philophical vocation. Ch. 2 covers the metaphysical worldview of Chang-Tsai where he devotes to reflect the implementation of perfection. Chracteristically inclusive, his ontology is an ambitious enough to explain everything that exist by Ch'i-monism, namely "unity embraces all the variety". Ch. 3 follows Chang-Tsai's exploration of the ontological status of human being; the possibility and condition to fill the gab between the natural and the clutural were presented as a way of self learning. Like those of other Confucians, the ontology of Chang-Tsai is also oriented to present moral principle and ideology. Ch. 4 gives a close look at the process of men transforming into being equipped with the moral practice; what the Main idea of Nature is, how Nature, by communicating with everthing yields moral ideology and what the implementations of the moral practice are like, what the criteria of practice can be. Ch. 5 explicates the condition and actual process of one's implementation of her own possible completeness. It turns out to be that for Chang-Tsai the ideal society is a society where social and political completeness are achieved. Consequently individual's moral completeness expands into Cosmic Family, again into moral nationality. which also can be assessed from his thought about saints and social economic theory. Now saints are those who obtained the inner and outer perception through metaphysical insight. When one successfully get an insightful thinking about the Unlimited, the basis of her own being, virtuousness is resulted; when one accepts the One, the unlimited and completed whole, she arrives at the perfect internalization and awareness about her essential virtuousness, exhaustive enlightment, authenticity from never-ending productivity. When Chang-Tsai characterize saint as the very one who achieves these here in actual world, we can fully grasp his political idealism and people-oriented politics.;이 글은 중국의 북송 시대에 철학했던 장재의 철학을 도덕 형이상학의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재의 철학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무한자뿐 아니라 만물과의 소통과 연대에 있어 바탕이 되는 본성(性)을 재조명하고 이를 우주의 통일적 연대의 차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은 이상적 정치사회를 이루는 방법으로 제시된 우주적 가족주의와 성인의 역할에 주목할 것이다. 장재가 활동했던 시기는 새로운 사회를 이끌어 갈 새로운 학문과 그를 통한 새로운 인간형이 요구되었던 격변기였으므로 그가 가진 철학적 사명감은 통합적 이데올로기의 설정과 국가와 개인을 인도하는 새로운 도덕성의 수립으로 표출되었다. 기라는 단일한 원리와, 그 원리가 현실화되는 방식인 감응과 소통을 바탕으로 한 우주의 통일적 연대는 우주적 가족주의로 표출되는데, 이를 이끌어 나가는 존재로서의 성인과 성인이 목표하는 정치적 이상주의가 이러한 틀 가운데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장재는 전통적인 유학의 문제들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우주 자연 의 구조에 인간 도덕성을 정초시킨다. 특히 장재는 도덕의 형이상학적 정초를 위해 우주 자연과 인간 사회를 동일하게 설명하는 기라는 단일한 원리를 제시한다. 기를 통한 일원론은 변화하는 현상 세계를 설명하는 보편적인 원리 이상의 의미가 있다. 존재하는 모든 것이 기의 운동 변화의 과정이라는 기 일원론은 현실에 나타나는 다양성(分殊)과 통일성(氣一)을 같은 가치로 다룬다. 현상 세계의 다양성과 그 이면의 통일성은 그를 인식하는 인간에게 삶에 있어서의 가능성(악의 존재)과 현실성(본성의 완성)으로 나타난다. 장재는 끊임없이 생동하는 자연의 성실성 즉 기의 운동 변화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세계를 이원적인 구조로 파악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장재의 이원론은 근본적인 층차나 위계를 가진 이원이 아니라 기의 운동 변화 과정을 인간의 현실적 삶 속에서 포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일 뿐이다. 결국 무한자(太虛)와 개체(氣), 하늘(天)과 인간(人)은 하나의 양측면일 뿐이다. 이러한 장재의 작업은 송명시대의 지배적 이론이었던 주자학에 계승되었고 후대에 주자학에 반대했던 나흠순 왕정상 왕부지 등의 주자학을 비판했던 사상가들에게도 비판적으로 수용되었다. 이것은 장재의 철학이 우주론(존재론)-인간론-윤리론-사회 정치사상을 한데 묶는 도덕 형이상학의 전형이었음과 동시에, 인간의 현실 존재를 그 실질적인 토대로부터 설명하고자 했던 자연주의의 전형이기도 하였음을 의미한다. 주자학은 전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국가 이데올로기화되었고 반리학(反理學)은 후자를 바탕으로 이학(理學)이 가진 억압성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대립적인 두 입장에 동시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은 장재가 자연주의와 문화(정치사회)를 동시적인 철학적 목표로 두고 그 어느 것도 놓치 않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장재가 자연의 변화 과정에 놓인 자연적 존재이면서 동시에 도덕적 정치적 실천을 중단없이 수행해야 하는 문화적 존재로서의 인간 문제를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중심적으로 생각해 보고자 한다. 먼저 서론에서 장재 사유의 바탕이 된 시대적 배경과 그 시대적 배경이 지식인들에게 요구한 시대 정신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 장에서는 장재가 배척하고자 했던 불교·노자, 왕안석을 필두로 하는 신법당과의 관계 등도 다루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장재가 철학적 사명으로 생각했던 것이 무엇인가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2장에서는 완전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철학적 사명이 투영된 그의 형이상학적 세계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장재의 세계관은 세계의 형이상학적 근원을 해명하고자 하는 의지 아래 다양한 현상과 사물이 포섭하고자 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이 장에서는 주기론(主氣論)적 성격을 보여주는 그의 존재론을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그의 존재론은 주역을 중심으로 하는 우주론이면서 동시에 현상을 포괄하는 이론적 체계를 보여준다. 장재는 기일원(氣一元)에 의해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설명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여기에서 장재 철학의 특징이라고 보아지는 '통일성이 곧 다양성을 함축하는 체계'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장재에 의하면 우주의 모든 현상들에 기의 취산에 의해 생성 변화 소멸하는 운동의 과정을 겪는다. 그리고 이 기의 본질적인 모습으로 무규정적인 무한자 태허를 상정한다. '태허가 곧 기(太虛卽氣)'라는 이 이론은 장재 존재론을 핵심적으로 규정한 말이다. 기를 중심으로 한 장재의 존재론은 변화의 추상적 원리이며 동시에 만물을 발생시키는 창조적인 힘으로서의 천(天)과 그 천의 자유로운 상태인 신(神)을 통해 더욱 구체화된다. 3장에서는 위에서 전개한 존재론을 기반으로 장재가 쌓아올린 인간의 문제를 따라가 보고자 한다. 이 장에서는 인성론과 인식론을 중심으로 장재가 생각한 인간의 조건과 지향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장재는 인간을 현실적 차원과 이상적 차원으로 나누어 생각하였으며 양자 사이의 간극을 없애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장재는 자연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인간적 완전성을 현실에서 이루어 내야 하는 문화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동시에 사유하였으며 이 간극을 없애는 방법으로 학습이라는 자기 수양 방법을 제시한다. 다른 유가와 마찬가지로 장재의 존재론도 그 실질적인 내용으로 인간사회의 문제 즉 도덕적인 원리와 이념들을 제공하는 것을 지향한다. 4장에서는 장재 철학에서 사회 속의 인간에 도덕적인 실천성을 갖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장재가 만물의 근원이라고 설명하는1) 성(性)의 의미를 규명하고 이 본성이 다른 것들과 소통하는 가운데 도덕적 이념들이 드러남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도덕적 실천성을 정초시킬 수 있는 행위와 실천의 기준의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5장에서는 인간이 자기가 가진 가능적 완결성을 현실에서 실현하는 조건과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장재에 의하면 이상적인 사회는 정치 사회적으로 완성된 사회이다. 따라서 도덕적으로 완전해진 인간이 본성을 구현하여 우주적 가족주의가 확장되는 과정 자체가 국가주의적 도덕의 양상을 갖게 된다. 이 점은 '성인'에 대한 그의 사유와 정치·경제 등의 사회 사상에서 알아볼 수 있다. 성인은 형이상학적 통찰을 통해 내적 외적 사유를 얻은 자이다. 인간이 자신의 존재 근거가 되는 무한자에 대한 형이상학적 통찰에 성공하였을 때 그 내용으로 갖게 되는 능력이 바로 덕(德)이다. 인간은 무한하고 완전한 전체로서의 일자(一者)를 받아들일 때 그것이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덕성(德) 모든 존재를 남김없이 통찰하는 밝음(明) 끝없는 생산성으로 인한 성실성(誠) 등에 대한 완전한 내면화와 자각에 성공한다. 성인은 이것을 현실에서 이를 실현하는 존재이다. 여기에서 장재의 정치적 이상주의와 그의 민본주의적인 정치사상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