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11 Download: 0

플라톤의 「고르기아스」편에서 윤리설 연구

Title
플라톤의 「고르기아스」편에서 윤리설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oral Theory of Plato in Gorgias
Authors
고주희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플라톤고르기아스윤리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플라톤의 「고르기아스」편을 통하여 소크라테스가 가지고 있는 선과 덕의 개념을 알아보고, 선과 덕의 관계를 기반으로 새로운 윤리학 정립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서론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살았던 시대의 회의주의적인 분위기를 알아보고, 소크라테스가 변론술을 문제삼고 있는 이유에 대하여 논의했다. 2장에서는 소크라테스가 가지고 있는 선, 힘, 지성 등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소크라테스에게 있어 선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도덕적 개념이 아니며, 행위자에게 좋은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모든 사람은 자신의 선을 행하려는 선-지향적인 태도를 갖는다. 따라서 무엇이 자신에게 진정으로 선한 것인가를 알 수 있게 하는 지성은 매우 중요시되며, 지성을 통하여 바르게 인식된 선을 행하는 자만이 힘을 가질 수 있다. 즉 소크라테스에게 있어 힘은 자신의 목적, 즉 선을 성취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2장의 논의는 소크라테스의 기본적인 사상과, 행위의 동기와 구조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한다. 3장에서는 칼리클레스가 가지고 있는 선에 대한 개념을 소개하고, 소크라테스가 칼리클레스를 논박하는 과정을 논의하였다. 칼리클레스는 자연에 의해 정당화된다는 자연의 정의를 역설한다. 자연의 정의란 강자가 약자를 지배하고 약자보다 더 많은 것을 소유하는 것이다. 칼리클레스가 타인을 지배하고 타인보다 더 많은 것을 소유하는 상태를 정의라고 부르는 까닭은 그러한 상태에서 인간은 자신의 선을 가장 성공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칼리클레스가 말하는 인간의 선이란 쾌락을 의미한다. 이런 칼리클레스의 입장을 비판하기 위하여 소크라테스는 선과 쾌락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보이는 두 개의 논증을 편다. 첫 번째 논증에서는 선과 악은 서로 배타적인 관계이나 쾌락과 고통은 상호 의존적이라는 점을 보임으로써, 선과 쾌락은 다르다는 것을 주장한다. 두 번째 논증에서는 선과 쾌락을 동일시할 경우 결론적으로 발생하는 모순을 보임으로써, 선과 쾌락이 다르다는 것을 보인다. 이 과정을 통하여 관습적으로 부정이라 불리는 것을 행하는 것이 인간에게 선을 가져다 준다는 칼리칼레스의 입장이 붕괴되고, 부정은 행위자에게 행복을 가져오지 않는다는 것이 드러난다. 4장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적극적인 사상이 개진된다. 소크라테스에게 있어 선은 영혼의 질서와 규율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한 영혼의 상태를 덕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덕은 단지 영혼의 상태뿐만이 아니라, 특정한 행위방식을 일컫는다. 영혼에 덕을 지닌 선한 사람은 유덕한 행위를 하고, 더 나아가 타인의 선을 증진시킬 목표를 갖는다. 그렇다면 선과 덕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어윈은 덕을 단지 선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한다. 필자는 덕이 수단이라는 어윈의 도구주의적 입장을 논박하고, 원전에 즉하여 덕을 선의 제 1구성성분으로 해석했다. 이러한 해석은 소크라테스의 사상에 일관성을 부여한다. 또한 구성성분으로서의 덕은 선과 어떠한 간격도 갖지 않게 되며, 선의 본질적인 부분이 되므로써 인간의 행위에 규범적으로 작용한다.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선을 원하므로 필연적으로 덕을 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타인의 선을 증진시키는 것은 자신의 선의 증진의 결과를 가져온다. 왜냐하면 자신이 선하게 만든 타인의 행위는 다른 타인들, 즉 모든 사회구성원들의 선의 증진을 도모할 것이고 그 결과 그 사회 구성원인 자신의 선 또한 증진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개인의 선과 타인의 선, 더 나아가 사회 전체의 선을 상호적인 관계속에서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학 정초의 가능성이 드러난다.;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looking for the possibility of a new ethic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good and virtue, which are the very two concepts of Socrates' ethics. For Socrates, who lived in an age when scepticism prevailed and who tried to warn the undermining effect of rhetoric, goodness is not another moral maxim, but is something beneficial to us who already have good-oriented nature, With the perceiving ability of what is good being emphasized naturally, it is also stressed that power stems from being equipped with other than goodness. After having a close look at ethics of Socrates, we focused on the way socrates reputes the idea of justification of natural justice by Callicles. Natural justice means it is not only natural but also right that the better rule over the worse, that the better deserves more than the wores, and only by this way it be comes possible for men to pursue goodnes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e main argument of Socrates reputing that goodness is never the same with pleasure, which turns out to be the very concept of morality for Callicles, can be boiled down to two. The first argument is to show that the good and the bad are in an exclusive relation, while pleasure and pain are interdependent. The second argument focus on the inconsistency resulted from conflating goodness and pleasure. With the two arguments, the conventional thinking that injustice can bring goodness turns out to be an ubsurdity, that the opposite is true. The observation made us to go further to see that goodness consist in order and regularity of spirit, which Socrates calls virtue. Now virtue is not just a condition of spirit, but also a way of conducting. In regarding with the relation of goodness and virtue, we showed that virtue is the chief component of goodness, which leaves no room for instrumental interpretation, pace Irwin. This being a faithful interpretation of Socrates, opens up a way to see the virtue as an essential part of goodness. Men intend to pursue virtue, hence promote both his and others' goodness. Consequently, we can find a way to see the good of individuals and that of society in a reciproc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