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지연-
dc.creator최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8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0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4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02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through analysis of current training programs and need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ws: 1. What is the present situation of training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2. What is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reflected on the training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3. What is the knowledge and skills perceived necessary by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4.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raining programs and teachers' need?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many kinds of documents on training programs(22 pieces) which are conducted after 1996, and 192 teachers of 5 cities, Seoul, Inch'on, Taeku, Kwangju, and Pusan. The method for the analysis of program documents and teacher's need is based on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required to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which is deduced from many kinds of criteria for elementary school foreign languag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situation of training programs are vary across cities and districts, but 'communication' and 'methodology' part are common. Communication part has English conversation, and it is occupied 50-70% of 120 hours. And in methodology part, methods & approaches for English education, specific techniques for English teaching and teaching practice are provided. This methodology part takes 25% hours. Second,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reflected on the training program are divided three categories that deduced from theoretical background. The 'academic skills & knowledge of target culture' category takes 60 hours, and among the 7 items, English speaking and phonetics are common in all districts. But it is used very little time in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target culture. In 'professional knowledge & skills' part, all cities and districts provide instructional methods, planning & practice of instruction and learning materials in 11-16 hours. But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in childhood, child development, elementary school principles are not found. It takes 43 hours, 1/3 of 120 hours. 'Professional growth' part is related to resources and chances of teachers' continuous growth, but most of programs don't provide that kinds of information. Only classroom English is found' several program, but another 4 items are not emerging. Third,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elementary English teachers feel necessity are as follows. In 'academic skills & knowledge of target culture', 82.3% of teachers want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but reading and writing competencies are recorded low percent comparatively. And most of teachers want the knowledge and skills about phonetics and pronunciation. Amo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he selection & adaptation of instructional resources is needed by 86% of teachers. And instructional methods, planning & practice, assesment and something to be related to children also have high support of teacher. Teachers' requirement about 'professional growth' are also high above 60% in all 5 items.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rograms and teachers' needs, especially something to be related to children and professeional growth. Through the results above, it can be suggested like this. In teacher training program, 'listening',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in childhood' and 'child development' are needed immediately, and 'reading', 'writing', 'developing literacy skills in English', 'selecting program or textbook' is necessary in a long-term plan. And, something to be reinforced are 'pronunciation', 'assessment', and 'the items of professional growth'. It is advisable to maintain same as at present in 'Instructional methods', 'planning and practice of instruction' and 'learning material', but they must be revised more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6th curriculum and teachers' need. Finally, current training programs for elementary English teacher are not sufficient to supply knowledge and skills' that teachers want to be possessed in limited 120 hours. So, to make teachers who have good competencies on teaching English, another chances are needed, especially the part of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nd teachers' professional growth.;본 연구는 현재 각 시·도 교원연수원을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는 초등영어 교사연수 프로그램 및 교사의 연수 요구를 분석하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탐색을 통해 초등영어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능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의 기준으로 삼아 프로그램과 교사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영어 교사연수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 운영되는가? 2. 초등영어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나타난 지식과 기능은 무엇인가? 3. 초등 영어교사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능에 대하여 현직 영어 지도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4. 연수 프로그램에 나타난 지식과 기능, 교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지식과 기능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는 1996년 이후 각 시·도 교원연수원에서 실시한 초등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문서 자료와 교사 인식을 묻는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중 연수 프로그램의 문서자료는 서울, 인천, 대구, 광주, 강원도, 전라 남·북도, 제주도 등의 10개 과정 총 22점을 대상으로 하였고, 교사 인식은 서울, 인천, 대구, 광주, 부산 5개시의 교사 192명에게 실시한 설문의 결과를 기초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 관련 각종 문서에 나타난 초등 영어 교사 연수의 현황은 시·도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시수에 있어서 일반, 심화과정 모두 보통 120시간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의사소통 영역에 배당된 시간은 120시간 중 50-70%, 지도법 영역은 평균 약 25%에 달하며, 의사소통 영역에는 말하기·영어회화가, 지도법 영역에는 6차 초등영어 교육과정, 영어교육 이론, 구체적인 영어지도 기술, 수업 실습 등의 내용이 제공되고 있다. 둘째, 초등 영어교사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능에 비추어 현행 연수 프로그램에 나타난 지식과 기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문적 기능과 목표 문화에 대한 지식(academic skills & knowledge of target culture)' 범주는 평균 60시간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7개 하위 구성요소 중 말하기, 음성학/소리체계 등이 공통적으로 제공되고 있고 그 밖의 항목은 거의 없거나 있더라도 매우 적은 시간이 사용되고 있다. '전문적 지식과 기능(professional knowledge & skills)' 영역에서는 아동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 지식보다는 교사의 직접적인 교수 기술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이 범주에는 가장 많은 교과가 개설되어 있고, 평균 43시간으로 전체 연수 중 1/3의 시수가 사용되고 있다. '전문적 성장을 위한 지식과 기능(professional growth)'의 하위 5개 항목 가운데 연수 프로그램에서 제공하고 있는 것은 교실의 모든 상황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교실 영어' 한 가지에 불과하다. 결과적으로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가 연수 이후 계속적으로 성장·발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원이나 정보를 제공하는 데는 부족함을 나타내고 있다. 세째, 초등 영어 교사들이 필요로 하고 있는 지식과 기능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현직 교사 192명에게 설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학문적 기능과 목표 문화에 대한 지식' 범주에서 듣기와 말하기 능력에 대해 82.3%의 교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필요 정도가 낮긴 하지만 읽기와 쓰기 기능 역시 요구된다고 보았다. 또, 영어의 소리체계나 발음, 문화 이해와 지도, 영어학 등도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전문적 지식과 기능' 중 필요도가 가장 높은 것은 학습자료의 선택·제작 및 활용 능력으로 86%의 교사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 영어과의 '지도'와 관련된 항목들과 가르치는 대상인 '아동'과 관련된 요소에 대해 70% 이상으로 그 필요 정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그러나 그 밖의 항목은 필요하다는 응답이 약 50%로 그 필요를 크게 인식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적 성장을 위한 지식과 기능'의 지식과 기능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응답 교사의 60% 이상이 필요하다는 반응을 하여 현직 교사들은 계속적인 성장의 기회나 그를 위한 정보, 관련자들과의 협동 등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네째, 위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필요 지식과 기능에 대한 연수 프로그램과 교사 요구간에는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사들은 분석의 기준이 된 지식과 기능들이 연수 프로그램을 통하여 제공되기를 원하고 있지만 현재 연수 프로그램은 그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현실적 제약을 극복하면서 지식과 기능의 이상적 기준과 교사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장기적인 계획 하에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연수 기회가 제공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초등학교에서의 영어교육 = 6 1.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배경 및 현황 = 6 2. 초등학교 6차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적과 특징 = 12 B. 초등학교의 영어 교사 = 16 1. 초등학교 교사의 일반적 특성 = 17 2. 초등학교 영어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능 = 20 C. 초등학교 영어 교사 교육 = 27 1. 초등학교 영어 교사의 양성 = 28 2. 초등학교 영어 교사의 연수 = 30 Ⅲ. 연구 방법 = 35 A. 연구 대상 = 35 B. 연구 도구 = 37 C. 연구 방법 및 절차 = 3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40 A. 초등 영어 교사 연수의 현황 = 40 B. 연수 프로그램에 반영된 지식과 기능 = 47 C. 영어교사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능에 대한 교사 인식 = 57 D. 프로그램과 교사 요구 비교 = 66 Ⅴ. 요약 및 논의 = 69 A. 요약 = 69 B. 논의 및 제언 = 72 참고문헌 = 78 부록 = 84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724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초등 영어 교사-
dc.subject교사 연수 프로그램-
dc.subject교사 요구-
dc.subject초등교육학-
dc.title초등 영어 교사 연수 프로그램과 교사 요구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teacher's need of knowledge and skills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dc.format.pagevi, 10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