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초등학교장의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갈등 연구

Title
초등학교장의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갈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flict perceived by principal of elementary in the school-site council
Authors
이민화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초등학교장학교운영위원회갈등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the elemenatary school principal's conflict on school-site council(SSC) in terms of the object of conflict and the degree of expectation on change from principal-centered decision making to SCC-centered decision making.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egree of conflict according to the object of conflict? 2. What is the different of the degree between groups in terms of the expectation on change of decision-making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4 types were firstly formed by the object of conflict, and 10 causes of conflict were secondly classified. The instrument to measure the degree of conflict is a questionaire using likert's 5 scales.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are principal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questionaires was randomly distributed to 300 subjects, and 187 subject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so as to analyze through one way ANOVA with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conflict is normal. the frequency of conflict pattern is in the order of principal, principal-teacher, principal-parent and principal-local poeple. In point of the causes of conflict, the order of frequency is principal's authority, sharing authority with parents, teacher's overauthorization, parents' overauthorization, paticipation of local people, participationof parents and prejudice on principal. Based on these facts, the principal's level of conflict is severe in the matters related to principal's authority than in the matters which are not. Therefore the principal of school tends to keep his or her authorities. Seco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degree of conflict. The degree of conflict increas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expectation on change. In some cases, the third group's conflict is higher than the fourth group's one. This fact is estimated to reflect that the third group have not yet made up their minds to change into normal level.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the increase of conflict causes the increase of concern and thus causes change, higher level of expectation means higher possibility of change. The response on the degree of expectation shows that 41.2% of surveyees answerde positively while 40.6% of them answered negatively. This fact gives no definite conclusion on the direction of change. Now, two management systems(principal-centered management and scc-centered management) coexist and the principal of school tends to keep his or her authorities. For better educational effect, it is required for principal to share authority with other parties concerned. And we need positive supports of the Korean department of education for the change from principal-centered management to SCC-centered management.;과거 한국의 학교운영은 학교장중심이었으며 앞으로 추구하는 바는 공동체중심이다. 따라서, 현재의 학교단위책임경영제는 학교장중심과 공동체중심이 혼재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학교운영체제에서 최고의 권위자였던 학교장은 공동체중심의 학교운영체제에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 학교장은 학교조직의 위계구조 속에서 변화를 촉진하고 실질적으로 권한을 교사, 학부모 등에게 부여할 수 있는 제도적인 위치에 있기 때문에 현재의 학교장중심이 공동체중심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학교장중심에서 공동체중심으로의 과도기적 변화의 시기에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학교장의 갈등을 조사하여 보는 것은 앞으로의 공동체중심의 학교 단위책임경영제로의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있어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장의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갈등의 정도는 갈등의 대상에 따라 어떠한가? 2. 학교장의 갈등은 단위학교의 의사결정체제의 변화에 대한 기대 정도에 따라 어떠한가? 갈등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이다. 설문지의 구성은 크게 학교장 자신, 학교장-교사위원, 학교장-학부모위원, 학교장-지역인사위원유형으로 나뉠 수 있으며, 학교장 자신 유형의 갈등 요인은 교육관, 선입견, 권위, 학교장-교사위원의 유형에서는 권한공유, 월권, 학교장-학부모위원의 유형에서는 권한공유, 월권, 참여, 학교장-지역인사유형은 지역인사위원의 전문성, 참여 등이다. 이상의 갈등요인에 교장의 갈등의 정도를 물어보기 위하여 각 요인별로 2문항씩 20문항이 제작되었고, 단위학교의 의사결정체제의 변화가 학교장중심에서 학교운영위원회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인가에 대한 기대 수준을 묻기 위한 1개의 문항까지 포함하여 총 21문항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국·공립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무선표집으로 선정된 300명의 교장 중 통계처리가 가능한 질문지를 보내온 187명의 초등학교장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수에 따른 비율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갈등은 보통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학교장자신, 학교장-교사위원, 학교장-학부모위원, 학교장-지역인사위원의 순으로 갈등하였고, 갈등요인별로는 교장의 권위, 학부모와 권한공유, 교장의 교육관, 교사위원과의 권한공유, 지역인사위원의 참여, 학부모일원의 참여, 교장에 대한 선입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초등학교장은 자신의 권위와 교사·학부모위원과의 권한공유에 대해 그들의 참여와 전문성의 부족보다도 더 갈등하고 있었으며, 이렇게 자신의 권한 유지를 위하여 갈등의 정도가 높은 경향임을 볼 때 교장집단의 권한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즉, 권한은 일정한 양으로 정하여져 있기 때문에 나눌수록 권한도 줄어든다는 제로섬의 인식에서, 나누면 나눌수록 자신의 권한이 증가한다는 플러스섬으로의 인식전환이되어야 한다. 또한 교장의 권한위임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교사, 학부모, 지역인사위원의 전문성과 참여의 수준 향상이 요구된다. 둘째, 학교장의 학교장중심에서 공동체중성으로의 의사결정체제의 변화에 대한 기대정도는, 전혀 바뀌지 않을 것이다(집단1)가 11.2%, 별로 바뀌지 않을 것이다(집단2)가 29.4%, 보통이다(집단3)가 18.2%, 다소 바뀔 것이다(집단4)가 30.5%, 매우 바뀔 것이다(집단5)가 10.7%로 나타났다. 학교장의 갈등은 의사 결정체제의 변화에 대한 기대 정도에 따라 모든 문항에 대해 집단간 의미있는 차이가 드러났다. 특징적으로 의사결정체제의 변화에 대한 기대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갈등의 정도도 대체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동체중심의 학교단위책임경영제에로의 변화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할수록 갈등이 높으며, 공동체중심의 학교단위책임경영제에로의 변화 가능성이 낮다고 응답할수록 갈등이 낮은 것으로 볼 수 있겠다. 한편, 공동체중심의 의사결정체제로 매우 또는 다소 변화할 것이다가 41.2%, 보통이다가 18.2%, 전혀 또는 별로 변화하지 않을 것이다가 40.6%로, 전체적인 수준에서의 학교단위책임경영제의 변화가 학교장중심과 공동체중심 중 어느 쪽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우리나라 학교단위책임경영제가 공동체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장의 권한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며 이와 더불어 교사, 학부모, 지역인사위원들의 학교운영에 대한 참여와 전문성의 신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의 학교단위책임경영제는 학교장중심에서 공동체증심의 변화로의 과도기적 단계이므로. 이러한 변화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행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단위학교의 특성과 요구에 따라 구성비율과 의사결정권의 배분 등이 다양한 형태로 정착될 수 있도록 공동체중 심의 학교단위책임경영제의 적용은 그것이 아무리 바람직한 것일지라도 일률적인 형태로의 개혁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