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博物志> 試論 및 譯註

Title
<博物志> 試論 및 譯註
Other Titles
(A) Preliminary and Tranlation (Including Annotation) on Bo-Wu-Zhi(博物志)
Authors
盧敏鈴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Keywords
박물지시론역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魏晉南北朝 志怪 소설로서 地理博物志類의 대표로 꼽히는 《博物志》를 完譯하고, 종교문화적인 배경을 중심으로 하여 《博物志》의 구성체계 및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의 논의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는데 제 1부는 《博物志》의 담론적 특징에 대한 試論 부분이고 제 2부는 卷10까지의 譯註 부분이다. 제 1부의 1장 서론 부분에서는 '小說'에 대한 종래의 개념 정의를 간략하게 살펴보고, 허구 중심의 소설관을 극복하기 위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소개하였다. 2장 성립 및 배경에서는 먼저 작가 및 판본 문제를 기술하였다. 작가문제에 대해서는 張華原作說과 後人僞托說이 병존해 있으나, 문헌의 기재에 의거 張華가 撰하기는 하였지만 지금 전해지는 판본은 後人의 添削이 가해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 《晉書·張華傳》과 志怪에 수록된 이야기를 통해 張華가 유교경전 뿐만 아니라 참위서와 도가경전 등 여러 책을 수집했으며 또한 博學으로 유명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성립배경에서는 魏晉南北朝시기의 정치적 배경으로서 貴族制를 기술하여 寒門출신의 張華가 著作郎으로 벼슬길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이 그의 박식함에 원인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 종교적 배경으로서 道敎史적 입장에서 文人이 方士化된 경위를 서술하였다. 3장 체재 및 내용에서는 각 卷에 수록된 내용을 개괄적으로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허구 중심의 'novel' 개념으로 지괴를 파악하는 방식을 지양하기 위해 담론체계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텍스트 파악에 앞서 地理博物志의 전통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지리박물적인 지식과 방술에 관한 기록을 위주로 하는 地理博物志는 《山海經》을 필두로 하여 《括地圖》, 《神異經》등으로 이어지는데 山川地理에 대한 내용을 기본적으로 공유하고 있다. 이 전통 속에서 《博物志》는 여러 텍스트의 혼합으로 인한 내용의 확장과 인문화된 양상으로 인해 그 이전의 작품들과 변별된다. 담론적 특징에서는 텍스트 전체의 철학적인 기초가 되는 天人相應적인 우주관에 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相生相勝, 災異說, 징조에 관련된 부분을 인용하였다. 두 번째로는 지리와 사물에 대한 정보를 지리와 이방에 관한 지식, 藥草 및 방술에 관한 지식, 典禮 및 人名에 대한 고찰, 異聞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세 번째로는 도교적인 상상력으로 이루어진 이야기가 長生術의 전달을 위한 서사적 도구가 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5장 결론에서는 4장의 내용을 정리하고 소재나 지식의 전달 측면에서의 소설사적 위상을 再考해보았다. 결론적으로 《博物志》는 地理博物志類의 전통에서 方士化된 文人에 의해 기록된 地理, 징조, 장생술에 관한 담론체계이다.《博物志》에 수록된 神話, 傳說, 仙話는 후대 문학에 소재나 모티프를 제공하여 상상의 세계를 더욱 풍부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장생술과 地理 및 異邦의 산물 등에 관한 내용들은 종교, 민속학적 연구에 있어서 소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제 2부에서는 《博物志》 전체를 완역하였는데 底本으로는 范寧이 校證한 《博物志校證》 (臺北:明文書局, 1956)을 택하였고, 祝鴻杰이 校注한 《博物志全譯》 (貴州:貴州人民出版社, 1992), 唐久寵의 《博物志校釋》 (臺北:學生書局, 1982), <博物志校箋> 《東方學報》 59號(京都:京都大學, 1987), 《欽定四庫全書》 本을 참고로 하였다.;This essay examines Bo-Wu-Zhi(博物志) of Wei Jin Nan Bei Chao era's(魏晉南北朝) Zhi-Guai(志怪) in terms of religious and cultural groundings. First, I started with the translation of Bo-Wu-Zhi(博物志) and elaborated on the developing progress about the discourse character which characterized the text. In the first section of chapter one, I discussed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Fiction' and introduced recent studies which tried to overpass 'fiction-centered' thoughts of fiction. In the second section of chapter one, I examined the author and different editions of Bo-Wu-Zhi(博物志). Bo-Wu-Zhi(博物志) was originally written by a intellectual from Jin(晉) named Zhang Hwa(張華) who was affected by taoists and afterward complemented by numbers of intellecdtuals. According to Jin-Shu(晉書) and lots of tales in Zhi-Guai(志怪), the author, Zhang Hwa(張華)is supposed to be famous for his collection of Chan-Wei-Shu(讖緯書), Taoist Canon(道家經傳) as well as Canons and his eruditions. In the groundings, I tried to the demonstrate Aristocracy(貴族制) as a political background, noted that the reason why Zhang Hwa(張華) as a lower class(寒門) could be appointed Zhu-Zuo-Lang(著作郞) was his erudition. Additionally, in the religious grounding, I explained how the intellictuals had been affected by fang shi(方士) in terms of the history of Daoism (道敎). In the third section of chapter one, for the purpose of classical definition of a fiction-centered novel, I used the term of 'discourse system'. Before concrete analysis, I introduced the traditions of The Record of geograpgy and knowledge(地理博物志), which have been documented about the knowledge of the situation of the mountains, rivers, strangers, territory and of the FangShu(方術). The Record of geograpgy and knowledge(地理博物志) covered from . Shan-Hai-Jing(山海經) to Kuo-Zhi-Tu(括地圖), Shen-Yi- Jing(神異經). In this tradition, Bo-Wu-Zhi(博物志)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articles of 地理博物志 by the hybrid of other texts and humanization. In the section about discourse character, I searched for the Harmony between Heaven and Human(天人相應論) as a cosmology based on the text. As a example of this cosmology, I offered the section of text about XiangShengXinagSheng(相生相勝), ZaiYiShuo(災異說), omens. Under this understanding of this cosmology, I classified the articles of the text into four elements, the knowledge of geography(地理), territory, the knowledge of herb, FangShu(方術), the knowledge of DianLi(典禮), and the articles of superstitions. And I explained the tales through the Daoism imagination have been the narration tools. In the fifth section of one chapter, consequently I reexamined the value of Bo-Wu-Zhi(博物志) in the history of novels. Finally, BO-WU-Zhi(博物志) is the discourse system about territory, omens, longevity technique(長生術) which is compiled by intellectuals affected by Daoism. Myths, legends, Immortal Tales(仙話) compiled in Bo-Wu-Zhi(博物志) have offered the motifs and materials to later works. Additionally, the articles of longevity technique(長生術), geography can be valuable materials in the field of religious and folklore. In chapter two, I translated whole collections into modem language by using the following books as the references. They are Annotation on Bo-Wu-Zhi(《博物志校證》 )by Fan Ning(范寧), Translation on Bo-Wu-Zhi(《博物志全譯》)by Zhu Hong Jie(祝鴻杰). Annotation on Bo-Wu-Zhi 《博物志校譯》 by Tang Jiu Chong(唐久寵), Annotation on Bo-Wu-Zhi(<博物志校箋>)(issued in Journal of Eastern <東方學報>59), Volume of Hen-Ding-Si-Kao-Quan-Shu <欽定四庫全書> 本.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