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에서 담관결석과 유사하게 보이는 함정들에 관한 연구

Title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에서 담관결석과 유사하게 보이는 함정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Evaluation of Pitfalls Mimicking Biliary Stones on MRCP
Authors
심성신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담관결석MRCP혈관압박유동인공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이하 MRCP로 줄임)로 담관결석을 진단함에 있어 함정으로 작용하는 유동인 공물과 혈관압박의 빈도 및 위치를 알아보고 유동인공물이 총담관의 직경과 상관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001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MRCP를 시행한 1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MR영상은 단발포급속스핀에코방법을 사용하여 횡단면과 관상면의 T2강조 원천절편영상과 투사영상을 얻었다. 간내담관, 총간관, 담낭관이 들어가는 부위와 총담관의 각각 부위 내에서 유동인공물의 유무를 알아보았다. 유동인공물 신호강도의 정도를 어두운 정도에 따라 네 군(Ⅰ군: 신장 피질보다 밝은 음영, Ⅱ군: 신장 피질과 같은 음영, Ⅲ군: 간의 실질과 같은 음영, Ⅳ군: 혈관 내 음영과 같은 음영)으로 나누어 각 부위의 빈도를 보았고 유동인공물과 총담관의 직경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담관계에서 혈관 압박을 받는 부위와 원인이 되는 혈관의 종류 및 각각의 빈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동인공물은 81(76.4%)명의 환자에서 보였으며 이 중 Ⅰ군의 신호강도를 나타내는 것이 45명(42.5%), Ⅱ군 15명(14.2%), Ⅲ군 18명(17.0%), 그리고 Ⅳ군이 3명(2.8%)에서 보였다. 유동인공물의 위치는 총담관 78.3%, 총간관 70.0%, 간내담관 29.2%, 그리고 담낭관이 붙는 부위가 7.5%였다. 2. 총담관의 직경은 유동인공물이 없는 경우는 평균 7.1 mm이었으며, 유동인공물이 있는 경우는 평균 11.3 mm로 유동인공물의 유무와 총담관의 직경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p<0.001), 약간 저음영과 그 밖의 음영군간에서 총담관의 직경이 증가함에 유동인공물의 신호강도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p<0.05). 3. 혈관압박이 있는 담관은 총 21명(19.8%)에서 보였으며, 총간관, 좌측간내담관이 각각 9명(8.5%), 총담관 2명(1.9%), 우측간내담관 1명(0.9%) 순이었다. 원인이 되는 혈관은 우측간동맥이 13명(12.5%)로 가장 많았으며 좌측간동맥이 6명(5,7%), 위십이지장동맥의 분지가 2명(1.9%)이었다. 본 연구 결과 MRCP에서 유동인공물은 총담관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빈도가많아지고 신호강도는 더 낮아 혈관에 의한 압박 소견과 더불어 담관 결석과 유사한 저신호 강도 부위로 관찰되며, 유동인공물의 여러 신호강도 중 Ⅲ군과 Ⅳ군(19.8%)의 경우 특히 담관결석으로 오인될 수 있으므로 MRCP을 판독할 때 유의해야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low artifact and vascular compression that are pitfalls of MRCP in diagnosing biliary stone disease and determine whether flow artifact is correlated with diameter of EHD. MRCP had been performed in 160patients from January,2000 to july,2001. MRCP was implemented by single shot fast spin echo technique and source images are obtained in axial and coronal T2-weighted image and twelve projectional images are attained. Prescence or absence and location(intrahepatic duct, common hepatic duct, cystic duct insertion and common bile duct) of flow artifact were evaluated. Signal intensity of flow artifact are calssified into four groups(group I-lV). The author statistically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flow artifact and largest diameter of EHD. The location of vascular compression in biliary system and causative vessels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n MRCP, the flow artifact was seen in 81(76.4%) patients, of these artifacts, signal intensity group Ⅰ in 45(42.5%), group Ⅱ in 15(14.2%), group Ⅲ in18(17.0%) and group Ⅳ in 3(2.8%) are revealed. On the study about location of flow artifact, revealed in common bile duct(78.3%), common hepatic duct(70.0%), intrahepatic duct(29.2%) and cystic duct insertion site(7.5%). 2. On MRCP, the diameter of extrahepatic duct of the patient with absence of flow artifact is 7.1mm and that with prescence of flow artifact is 11.3mm with showing strong positive correlation(p<0.05). A mean diameter of EHD(11.4 mm) is increased in group Ⅱ,Ⅲ and Ⅳ than that(9.8 mm) of group I with positive correlation in statistical study(p<0.05). 3. Vascular compression in biliary duct is demonstrated in 21patients(19.8%), with common hepatic duct(8.5%), left intrahepatic duct(8.5%), common bile duct(1.9%), right intrahepatic duct(0.9%). Causative vessel of compression is seen in right hepatic artery(12.5%), left hepatic artery(5.7%) and branches of gastroduodenal artery(1.9%). In conclusion, as extrahepatic duct diameter increased, the flow artifact increased and signal intensity decreased. Among signal intensities, grade Ⅲ and grade Ⅳ signal intensities in flow artifact(19.8%) are especially mimicking biliary stones on MRCP. Therefore, flow artifact and vascular compression mimicking biliary stone on MRCP need to be interpretated carefu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