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2 Download: 0

자궁 경부암 환자의 혈청 p53단백질 발현에 관한 연구

Title
자궁 경부암 환자의 혈청 p53단백질 발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Detection of serum p53 protein in uterine cervical cancer patients
Authors
吳姬京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자궁경부암환자혈청p53단백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의 종양에서 자주 발견되는 유전자 변이의 하나인 p53 종양 억제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여러 암에서 발암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폐암, 유방암, 결장암, 악성 임파종, Hodgkin씨 병, 폐암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석면폐증 등 환자의 혈청에서 돌연변이 p53 단백질(mutant p53 protein)을 검출할 수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 돌연변이 단백질의 혈청내 농도는 종양의 악성도(aggressiveness) 및 환자의 예후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일부 보고되고 있으나 일관된 연구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자궁경부암 환자의 혈청에서 돌연변이 p53 단백질의 검출과 농도의 측정 및 자궁경부암의 진행과의 관계를 시도한 연구는 아직 국내외를 통하여 시도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1996년 9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산부인과에 양성부인과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43예를 대조군으로, 자궁경부암 환자 30예를 연구 대상군으로 하여, 환자의 혈청내 돌연변이 p53 단백질의 농도를 효소면역분석(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혈청내 돌연변이 p53 단백질의 양성율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아보고, 혈청 p53 단백질이 양성인 환자에서 종양조직 p53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혈청 p53 단백질 농도와 자궁경부암의 예후인자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혈청 p53 단백질 농도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하나의 예후인자로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아래와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평균연령은 대조군이 47.8(±17.0)세, 자궁경부암 환자군이 52.7(±13.7)세였다. 자궁경부암의 조직학적 유형은 편평상피 세포암이 28/30(93.3%)였고 그의 선암(adenocarcinoma), 우췌암(warty carcinoma)이 각각 1예 였다. 임상적 병기의 분포는 Ⅰ기 9/30(30.0%), Ⅱ기 13/30(43.3%), Ⅲ기 5/30(16.7%), Ⅳ기 3/30(10.0%) 였다. Ⅰ기 환자 9명중 1예는 외음부 편평상피 세포암(Ⅰ기)이 같이 병발한 경우였다. 2. 혈청 p53 단백질의 농도는 대조군이 0.3786±0.2119 ng/㎖ 자궁경부암 환자군이 0.4056±0.2238 ng/㎖로 자궁경부암 환자군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3. 자궁경부암 환자군의 혈청 p53 단백질 농도가 대조군 혈청 p53 단백질 농도의 평균+2SD보다 높은 경우를 임의적으로 양성으로 정하였을때, 자궁경부암 환자의 10.0%(3/30)에서 양성이었고, 양성 환자의 종양조직에서 p53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한 결과 모두 양성으로 염색되었다. 4. 자궁경부암 환자의 혈청 p53 단백질 농도와 자궁경부암의 예후인자인 환자의 연령, 임상병기, 조직학적 유형, 자궁방 결합조직 침윤, 림프혈관 침윤, 재발 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궁방 결합조직 침윤과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p=0.016), 다른 예후인자들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자궁경부암 환자의 혈청내 돌연변이 p53 단백질은 낮은 양성율을 보이며, 자궁경부암의 예후인자들 중 자궁방 결합조직 침윤 이외의 다른 예후인자들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자궁경부암 환자의 혈청내 p53 단백질을 자궁경부암의 선별검사(screening test)나 추적검사에 종양표지물로 사용하는 것은 의의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혈청 p53 단백질이 양성인 환자들에서 종양 조직의 p53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상 모두 양성임을 볼때, 앞으로 더 많은 예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지속적으로 시도해 볼 여지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모든 자궁경부암 환자의 종양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혈청 p53 단백질 농도와 비교 분석하지 못하였으며, 환자의 추적기간이 짧아 환자의 생존율과 혈청 p53 단백질 농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바, 향후 이에 대한 보충연구가 추시되어야 할 것이다.;One of the most common somatic genetic alterations in human cancers involves the loss of inhibitory function of p53 tumor suppressor gene product. The point mutation of p53 tumor suppressor gene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carcinogenesis of many human tumors. Recently, there were several studies reporting that mutant p53 protein was detected in the serum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colon adenoma and carcinomas, Hodgkin's disease, malignant lymphomas, and asbestosis with and without lung cancer and serum p53 protein level was highly associated with aggressiveness of tumor and the prognosis of patient. But, in the cancer of uterine cervix the detection of serum p53 protein has never been tried and we therefore examined the levels of mutant p53 protein in the plasma of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s as compared to controls. In this study, patients group was 30 cases of uterine cervical carcinoma and control group was 43 cases of benign gynecologic disease that was admitted to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September 1996 to March 1997. Serum p53 levels were obtained using ELISA and positive rate of serum p53 protein in cervical cancer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cancer tissue for p53 protein in patients who were positive in serum p53 protein wer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p53 levels and prognostic factors of cervical cancer was also evaluat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controls and cervical cancers were 47.8(±17.0) years and 52.7(±13.7) years respectively. 93.3%(28/30) of cervical cancer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and the percentage of each stage I, II, III, and IV was 30.0%(9/30), 43.3%(13/30), 16.7%(5/30) and 10.0%(3/30) respectively. One of the stage Ib cases has vulvar carcinoma(stage I) coincidentally. 2. The serum p53 protein levels of controls and carvical cancers were 0.3786±0.2119 ng/ml and 0.4056±0.2238 ng/ml respectively and serum p53 protein levels were elevated in cervical carcinoma group, although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3. Sample positivity for elevated levels of p53 in the cervical cancer group was defined as any sample that was greater than 2SD above the control average and 10.0%(3/30) of cervical cancer patients were positive. In the patients of sample positiv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p53 protein in cancer tissue showed all positive finding. 4. In cervical cancer, elevation of serum p53 protein levels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parametrial invasion(p=0.016)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rum p53 protein and other prognostic factors of cervical cancers such as age, stage, histologic type, lymphovascular invasion, and recurrence(p>0.05). We conclude from the above results, the serum p53 protein level of cervical cancer patients showed low positive rat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rum p53 protein and prognostic factors of cervical cancers such as age, stage, histologic type, lymphovascular invasion, and recurrence except parametrial invasion. But, considering that all of the cases which serum p53 protein levels were positive showed positiv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cancer tissue for p53 protein it will be of value to study continuously with more cases.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 considering that first of all, all of the cervical cancer cases was not evaluated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secondly, anti-rabbit antibody used in this assay was not treated by absorption to human IgG column and immunoblotting was not combined to reduce the false-positive rate in ELISA method, thirdly, analysis between serum p53 protein and patient's survival rate was not performed due to short follow-up period and thus, further study is warra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