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주-
dc.creator김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3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7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3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757-
dc.description.abstract만성 편도염에 대한 세균학적 연구는 현재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악동 저류액,중비도, 아데노이드를 세균학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흔하지 않다. 이에 저자는 1992년 3월 부터 1993년2월 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서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적출술을 시행한 64명의 환자에서 편도 표면 및 편도 심부와 더블어 상악동 저류액, 중비도 그리고 비인강을 세균학적으로 비교 연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령 분포는 4세에서 15세에 이르며 남자가 38명으로 59.4 %,여자가 26명으로 40.6 %였다. 2. 각 부위에서 검출된 균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균주는 Nonpathogenic Neisseria였다. 3. 각 부위간의 세균학적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중비도와 상악동 저류액간의 세균학적 일치율이 57.8%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편도 표면과 심부간이 51.6%, 편도 표면과 아데노이드간이 39.1% 순서였다. 4. 균이 검출되지 않은 비율은 상악동 저류액이 5.4%로 가장 많았고 대부분이 한가지 균에 의한 단독 감염이었으나, 혼합감염의 비율은 편도 표면에서 6.3%, 편도 심부와 아데노이드에서 각각 3.1%를 나타내었다. 5. 검출된 균의 대부분은 호기성 균이었으나, 아데노이드에서 2 예의 혐기성 균이 발견되었다. 6. 상악동 X-선 촬영상의 정상군에서는 세균이 검출되지 않은 예가 75 %였으나, 상악동 점막의 병변이 있는 경우에서는 전 예에서 균이 검출되었다.;There were a lot of reports about pathogens of tonsillitis and sinusitis, but there were few reports in the comparison of microbiological study of sinus, nasopharynx and middle meatus. So author had studied for 64 childrens undergoing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from March 1992 to February 1993 In deternine the microbiological correlation between the tonsil surface, tonsil core, adenoid, middle meatus & maxillary sinus.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The range of age was from 4 years to 15 years and sex incidence was 38 males(58.4%) and 26 females(40.6 %). 2. From the each culture sites, most predorminant organism was Nonpathogenic Neisseria. 3. In the comparison of the microorganism of each sites, high correlation rates were found in between middle meatus and maxillary sinus(57.8 %) and between tonsil surface and tonsil core(51.6 %). 4. The rate of no growth was hightest in maxillary sinus(23.4%).Most of cases were single infection, but mixed infection was 6.3% in tonsil surface, 3.1% in tonsil on and adenoid. 5. Aerobes were isolated in most of cases and only 2 cases of anaerobes were isolated in adenoid. 6. In normal sinus group, most of cases (75 %) showed no cultured organism. But in diseased sinuses, organisms were cultured in all ca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2 A. 연구대상 = 2 B. 연구방법 = 2 Ⅲ. 연구성적 = 4 A. 연령 및 성별 분포 = 4 B. 각 검사부위의 세균분포 = 4 C. 각 부위별 세균 비교 = 4 D. 각 부위별 단일감염, 복합감염 및 균 무동정의 비율 = 5 E. 각 부위별 혐기성균과 호기성균의 비율 = 5 F. 상악동 점막상태와 상악동 세균분포의 비교 = 5 Ⅳ. 고안 = 6 Ⅴ. 결론 = 10 참고문헌 = 19 ABSTRACT = 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94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소아-
dc.subject편도-
dc.subject아데노이드-
dc.subject중비도-
dc.subject상악동 저류액-
dc.title소아에서 편도, 아데노이드, 중비도 및 상악동 저류액의 세균학적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the Microbiology between tonsil surface, tonsil core, adenoid, middle meatus and maxillary sinus-
dc.format.pagevi, 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