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毛海燕-
dc.creator毛海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1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3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172-
dc.description.abstract중국어의 "把"字句은 매우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문장 형식이지만, 그 쓰임이 특수하기 때문에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도 늘 다루기 힘든 난제로 자리잡아 왔다. 本稿는"把"字句의 통사론적 구조에 치중되었던 기존의 연구 경향을 탈피하고, 공시적 시각의 입장인 「三個平面的語法觀」을 이용함으로써 "把"字句에 관한 통사론적·의미론적·화용론적 분석을 종합적이며 체계적으로 시도하였다. 이와 아울러 "把"字句의 생성 및 변화 과정에 관한 통시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각각의 시기마다 다르게 반영되고 있는 "把"字句의 특성과 그 특성들의 발전 규율을 규명하고자 함이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本稿가 도출해낸 결론은 아래와 같다. 먼저, 현대 중국어의 "把"字句의 통사론적 구조의 특징은 다음의 몇 가지로 귀납된다. 첫째, 동사의 앞뒤에 반드시 다른 성분이 있어야 한다. 둘째, "把"字 뒤에 위치하는 빈어는 特定性을 띤다. 셋째, 否定詞와 助動詞는 반드시 "把"字 앞에 놓인다. 넷째, 謂語 動詞의 빈어로는 數量, 處所, 結果, 受事 등의 형식이 쓰일 수 있다. 이외에도 定指(특정지칭) 뿐만 아니라 泛指(일반지칭)나 不定指(불특정지칭)가 "把"字 뒤에 놓여 빈어로 쓰인 경우, 혹은 熟語에서 否定副詞 가 "把"字句 뒤에 놓이는 등의 어법 규칙의 예외 현상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本稿에서 진행한 의미론적 분석에 의하면, "把"字句의 가장 현저한 의미론적 특성은 사물의 결과를 나타낸다는 점이며, 이를 구체화하면, 變化 結果類·請求命令類·主觀判斷類·動作情狀類로 유형화할 수 있다. 또한 "把"字句 과 動補구조의 밀접한 관계에 주목하여, "把"字句에 쓰인 補語의 의미를 심도 있게 다룬 결과, 補語와 "把"字의 賓語 사이에는 受事·施事·도구·結果·道及·共起·因果·處所 등의 의미적 관계가 존재함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또한 "把"字句에 관한 화용론적 분석을 통하여, "把"字는 항상 인과관계나 목적관계가 분명한 언어 환경에서 사용되며, "把"字句로 인하여 명시되는 기호 구조는 "old information- new information"의 형식임을 발견하였다. 이외에도 "把"字句에 의하여 강조되는 주된 의미는 謂語 動詞와 그에 수반된 성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把"字句의 독특한 쓰임에 관한 심도있는 고찰을 위하여 本稿에서는 "把"字句의 형성 및 발전 과정에 관한 통시적 연구를 병행하였는데, 이를 위해 언어 변화를 조성하는 내부적·외부적 원인에 관한 분석을 수반하였다. 우선, "把"字句 생성의 내부적 원인으로는 동사"把"字와 "將"의 虛化 및 上古 문언에서의 "以"字를 대신하는 어휘대체 현상을 들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외부적 원인을 살펴보면, 초기의 "把"字句은 佛經이나 佛敎와 관련된 문학 작품에서 등장하는데, 이로써 불교의 전파가 口語의 발전과 文白의 분리를 촉진시켜 새로운 어법 형식이 형성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불경에 사용된 어법의 영향 또한 "把"字句의 쓰임을 빈번하게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내부적·외부적 영향 하에 "把"字句가 새로운 口語 語法형식으로 자리잡은 것은 대개 AD.8-9 세기 무렵이라 할 수 있다. 통사론적, 의미론적 방면으로부터 "把"字句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 초기 단계인 唐宋시기의 "把"字句는 간단한 賓語를 수반하며, 동사는 그에 수반되는 성분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강한 處置의 의미를 지닌다는 특징을 지닌다. 元明淸 시기에 이르러, "把"字句는 補語와의 결합으로 인하여 통사적 구조를 완비하게 됨과 동시에 변화된 결과를 나타내는 "把"字句의 의미적 특성이 뚜렷해지게 되었다. 또한 "把"字句는 處置의 의미 외에 致使의 의미 또한 나타내게 되는 등 다양한 의미를 띄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近現代 중국어의 "把"字句에 관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통사론적 발전은 由隨意到固定, 由簡到繁到精, 由簡到完備의 규율에 의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補語의 발전에 따른 의미의 확립과 이에 따라 출현하게 된 기의 등의 현상으로 현대 중국어의 "把"字句의 통사론적 규칙과 의미론적 확장을 더욱 효율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고에 나타난 의미론적·화용론적 분석은 아직 기초 단계에 처해 있으므로, 앞으로 중국어교육분야에서 심도 깊게 연구해나간다면,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國文槪要 = ⅲ Ⅰ. 緖論 = 1 Ⅰ.1. 硏究的動機和 目的 = 1 Ⅰ.2. 硏究現況 = 2 Ⅰ.3. 硏究資料和方法 = 4 Ⅱ. "把"字句的句法, 語義, 語用分析 = 6 Ⅱ.1. 三個平面的語法觀 = 6 Ⅱ.2. "把"字句的定義 = 8 Ⅱ.3. "把"字句的句法分析 = 11 Ⅱ.3.1. 謂語動詞 = 11 Ⅱ.3.2. 介詞"把"的賓語 = 15 Ⅱ.3.3. 謂語動詞前的附加成分 = 17 Ⅱ.4. 謂語動詞後的賓語 = 18 Ⅱ.4. "把"字句的語義分析 = 22 Ⅱ.4.1. "把"字句的語義類型及特徵 = 22 Ⅱ.4.2. "把"字句的成句因素分析 = 28 Ⅱ.4.3. "把"字句中補語的語義指向分析 = 32 Ⅱ.5. "把"字句的語用分析 = 37 Ⅱ.5.1. "把"字句的語境背景 = 38 Ⅱ.5.2. "把"字句的信息結構 = 43 Ⅱ.5.3. "把"字句的語義重心 = 46 Ⅲ. "把"字句的産生及歷史演變 = 50 Ⅲ.1. "把"字句的産生 = 50 Ⅲ.1.1. "把"字句産生的內在因素 = 50 (1) 實詞的語法化 = 51 (2) 詞彙的興替 = 56 Ⅲ.1.2 "把"字句産生的外在因素 = 59 (1) 譯經語法的影響 = 59 (2) 佛敎對漢語口語發展的促進 = 62 Ⅳ. "把"字句的歷史演變 = 64 Ⅳ.1. 唐宋時代的"把"字句 = 64 (1) 句法結構上的特點 = 64 (2) 表達意義上的特點 = 67 Ⅳ.2 元明淸時期的"把"字句 = 69 (1) 句法結構上的特點 = 70 (2) 表達意義上的特點 = 75 Ⅴ. 近現代漢語中"把"字句的比較 = 78 Ⅴ.1. "把"字句的句法變化 = 78 (1) 由隨意到固定 = 78 (2) 由簡到繁到精 = 80 (3) 由簡單到詳備 = 83 Ⅴ.2. "把"字句的語義擴展 = 83 Ⅵ. 結論 = 86 參考文獻 = 87 中文提要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647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자구-
dc.subject급기-
dc.subject역사연변-
dc.subject중어중문-
dc.title把字句及其歷史演變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9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중어중문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