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王陽明의 聖人觀

Title
王陽明의 聖人觀
Other Titles
Wang Yang-ming's View of the Sage : to focus on the concept of liang-chih[良知]
Authors
李地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왕양명성인관양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ang Yang-ming[王陽明: 1472-1528] sets it as the ultimate goal of his philosophy to be a Sage. A Sage is a man who embodies in the empirical world the morality which every human being possesses from birth. A man can get to a perfect personality by tapping his potential inner capability to transcend self-limits. Properly, to become a Sage is a matter of an individual. This approach,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mean to stick to individual matters in neglect of social ones. Wang Yang-ming[王陽明: 1472-1528] sets it as the ultimate goal of his philosophy to be a Sage. A Sage is a man who embodies in the empirical world the morality which every human being possesses from birth. A man can get to a perfect personality by tapping his potential inner capability to transcend self-limits. Properly, to become a Sage is a matter of an individual. This approach,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mean to stick to individual matters in neglect of social ones. Confucianism is an intellectual system of thinking and practice which pursuits the realization of both self and society in harmony. The world can be described as a network of individuals mutually engaged with others, while self-fulfillment is accomplished in the context of inter-relationship, placing its aim at the establishment of ideal world. Thus, an individual can find its real identity only in the moral inter-relations with others. The fundamental feature of Confucianism of this kind is often expressed as "Cultivating oneself, Governing others[修己治人]" or "Inner Sage, Outer King[內聖外王]. In other words, Confucianism does not regard the existential problem of individual away from the realm of the community, e. i. the society, which shows its insight into the limits of both the individual and society. Wang Yang-ming's Sage lies just on the traditional track of Confucianism rather than steps out of it. In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the prospect of the harmony and balance between individuals and the surroundings emerges from the criticism of the actual world in which the two factors mentioned above exist in strain and conflict. As a way out, Confucians focus on self-cultivation on the basis of the doctrine of mind and nature. They argue that human nature, which is given to men by Heaven, contains jen · yi[仁義, humanity · righteousness], and only by recovering and extending jen · yi can a man make both the unity to Heaven and a Sage. Especially, the Neo-Confucians in the Sung, Ming[宋, 明] period overcame the vacuum of Confucian spirit which were brought about by a general tendency to pursue after the textual commentaries on the Confucian Classics and writing of flowery compositions by scholars in the Han[漢] period, and made it their main course of discipline to get back to the original teaching of Confucius and Mencius. They also developed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t'ien-li[天理, the Principle of Nature] as the metaphysical reality, the source of existence, and the criterion of evaluation. Chu Hsi[朱熹: 1130-1200], who adopted and fused together into one philosophical system the studies on li[里, the principle] of his Sung period precedent, regards t'ai-chi[太極], the Great Ultimate], the totality of the universe, as t'ien-li[天理, the Principle of Nature], so that he maintains that t'ien-li gets differentiated and becomes immanent in every individual human, as well as in every individual thing. But this immanence appears to remain latent in most human existence. A problem here is that t'ien-li, though it constitutes human nature, is also an objective and transcendent concept. Thus, to actualize the immanent li of the human nature side, men have to investigate the definite principles in things to the utmost. A man can not become a Sage until he makes a great leap in quality to reach t'ai-chi. According to this view, an actual human being is subordinated to li, and depends on outer things for his moral judgment. Consequently, he is alienated from his own conduct and judgment. Wang Yang-ming, on the contrary, points out that Chu Hsi's philosophical construction naturally brings forth the problem of imitation and formalism which occurs from the conformity to the moral authority. He also emphasizes that every human being already has a ground for becoming to a Sage in his mind, because the mind is identical with t'ien-li as the criterion of evaluation. Through the concept of liang-chih[良知, the innate knowledge], he manifests his assertion that the mind and li are identical[心卽理]. In. the process of perceiving and responding to the objective world, the mind as a moral subject materializes universal t'ien-li into concrete forms. This substance of mind is t'ien-li, and liang-chih. When Wang Yang-ming says that liang-chih is a substance[體] of mind, he implies that the function[用] of the mind to know, to conceive, or to recognize is existentially identical with the substance of mind. Hence there is no need to assume that t'ien-li be objective or external to the mind. But liang-chih is not a purely intellectual activity. Rather, it indicates a moral consciousness, and an inborn sense which everyone possesses without having to acquire the knowledge from external sources.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hat every human being is essentially equal. Liang-chih extends itself in the web of inter-relations with others into practice correspondent to the changing world. It serves as the basis for moral conduct, and in turn is testified to by this conduct. In conclusion, Wang Yang-ming's view of Sage is a synthetic system of the doctrine of mind and nature and the practice doctrine of cultivation, displaying its reasoning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liang-chih. His philosophy is placed on the traditional Confucian context, and on the same stream of the fundamental disciplinary course of Neo-Confucianism in the Sung. However, in contrast to Chu Hsi, he bases the source of morality on individuals' mind, so that he liberates a human being from the compulsion of t'ien-li. Thus he intends to put a human being which, as the subject, exposes t'ien-li actively, voluntarily, and creatively at the center of the world. This thesis grasps the core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as to lie on creative self-fulfillment of individuals, the moral subject, and to make clear this point effectively, it conducts comparative studies with Chu Hsi's doctrine if necessary. Wang Yang-ming's yearning for Sage found its outlet in providing for a basis and a way to recover human beings' original existence, and not to be alienated from others and his own. It leads individuals to exalt its own will of awakening and spirit of practice spontaneously.;왕양명(王陽明: 1472-1528) 철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성인(聖人)이 되는 일에 있다. 성인이란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도덕성을 경험세계에서 실천을 통해 실현하는 사람이다. 완성된 인격은 인간이 내적인 힘으로 자기 한계를 초월함으로써 이루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성인이 되는 일은 개인의 문제에 접근할 것을 요구한다. 그렇다고 해서 사회의 문제를 개별적 인간의 문제로 전환시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儒學은 자아실현과 세계실현을 통일적으로 도모하는 사유와 실천 체계이다. 개인의 완성은 세계구현을 목표로 하며 동시에 타자와의 관계를 전제로 한다. 세계는 타자와 관계를 맺고 있는 개인들의 상호 연관으로 그물망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인은 타자와의 도덕적 상호관계 속에서만 진정한 정체성을 찾게 된다. 이러한 유학의 기본 특징은 내성외왕(內聖外王), 혹은 수기치인(修己治人)으로 표현될 수 있다. 유학은 개인의 실존적인 문제가 사회라는 공동체와의 관계를 떠난 영역의 것이 아니라고 여기며, 그렇기 때문에 개인의 한계와 사회의 한계를 직시하는 통찰을 보여준다. 왕양명이 추구하는 성인은 유학의 전통적 맥락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개인과 그를 둘러싼 세계와의 조화와 균형에 대한 전망은 양자간에 긴장, 대립, 갈등하는 현실사회에 대한 비판에서 생겨나게 된다. 유학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인의 수양에 몰두하고 있으며, 인간의 심성론에 대한 연구는 그 기초를 이룬다. 인간의 본성은 하늘이 부여한 것으로서 인의(仁義)를 내용으로 하며, 인의를 회복하고 확충함으로써 하늘에 합치하고 성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宋明시대 신유학자들은 훈고학과 사장학(辭章學)에 치우쳐 있던 漢代儒學의 전통이 낳은 유학 정신의 공백을 극복하고 같은 孔孟 본래 의미로 돌아가는 것을 학문의 기본 방향으로 삼았다. 그들은 형이상학적 실재로서 존재의 근원이자 가치 판단의 표준인 천리(天理)를 상정하여 철학적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宋代 理學을 집대성한 주희(朱熹: 1130-1200)의 철학체계에서 천리는 하나의 궁극자인 태극(太極)이고, 사람과 사물에 분화되어 각각 본성으로 내재하게 된다. 여기서 천리는 인간에게 객관적이고 초월적이기 때문에 개별자에 앞서 있다. 그래서 인간은 모든 사물에 내재한 정해진 理를 탐구하여 질적인 도약 단계를 거쳐야 마음에 내재한 理를 파악할 수 있고, 그 때에 비로소 성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계에서 인간은 理에 종속되어 개인의 모든 판단 기준을 외부에 의존하게 되고, 따라서 인간은 자신의 행동과 판단으로부터도 소외되는 결과를 낳는다. 이러한 점에서, 왕양명은 주희 체계에 따르면 도덕적 권위에 복종하는 외적 모방과 형식주의의 폐단을 낳게 된다고 지적하고, 도덕판단의 근거가 되는 천리를 인간의 마음[心]에 귀속시킴으로써 모든 사람은 이미 성인이 되는 근거를 자신의 내부에 갖추고 있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 성인의 근거로 그는 양지(良知) 개념을 발전시킨다. 도덕주체인 인간의 마음이 타자인 객관 세계의 대상에 감응하는 과정에서 마음의 본체로서 내재한 보편의 천리가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모습으로 드러나게 된다. 이 때 마음의 본체인 천리가 양지이다. 양지는 앎이라는 작용으로 보여지는 마음의 본체이다. 본체와 작용의 결합을 의미하기 때문에 보편의 천리를 인간 외부에 따로 상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런데 양지는 순수한 지적 활동이 아니다. 양지는 선천적인 도덕의식을 가리키며, 배우지 않고도 누구나 가지는 것이다. 모든 사람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양지가 도덕 판단의 최초의 기준이고 성인의 근거라는 점에서 인간은 본질적으로 평등하다고 할 수 있다. 양지는 관계의 그물망 속에서 변화하는 세계에 대응하는 개인의 실천적인 과정으로 전개된다. 즉 양지는 도덕실천의 기초가 되고 또한 도덕적 행위에 의하여 검증받는다. 결론적으로 왕양명의 성인관은 양지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심성론과 실천수양론의 종합적인 체계이다. 그의 철학은 유학 전통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으며, 송대신유학과 학문의 기본 방향을 같이 한다. 그러나 그는 도덕성의 근원을 개인의 마음에 근거지움으로써 주희와는 달리 인간을 천리의 강제에서 해방시키고 능동적이고 자발적이고 창조적으로 천리를 발현하는 주체로서 세계의 중심에 올려놓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왕양명 철학의 핵심이 도덕주체로서의 개인이 창조적으로 자아를 실현하는 데에 있다고 파악하고 이 점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주희의 이론과 부분적으로 비교하였다. 왕양명의 성인에 대한 갈망은 인간 사회 속에서 개인이 타자와 자기 자신으로부터 소외되지 않고 인간 본래의 모습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과 근거를 마련하는 데에로 귀결하였으며, 이는 개인의 주체적인 자각의지와 실천정신을 고양하는 힘을 부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