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심경원-
dc.creator심경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1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8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3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89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지역사회 영양평가 및 보건사업의 일환으로 식생활 개선에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개발된 영양진단 방법을 도시와 농촌지역 주민에게 적용하므로써 지역간의 차이를 관찰하고, 실제 식품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또한 영양에 대한 지식, 지식실기, 태도의 대상에 따른 차이 및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항목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지역사회 영양사업 실행의 중요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국민영양 조사사업의 지표로 이용되고자 하였다. 과거부터 지역사회의 영양조사로 KAP항목이 사용되어져 왔으나, 이는 개념적인 정의가 확립되지 않아 혼동을 초래하였으며, 문항과 평점에 있어 일관성이 부족하여 지역간 비교는 불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KAP항목을 지식, 지식실기, 태도 및 식행동(K Kp A Fp)으로 정립하여 항목간의 구분을 명확히 하였고, 규정된 항목은 빈도에 따른 비율로 평점을 구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양지식 점수는 도시지역에서는 71-100점이 81.4%로 가장 많았고, 농촌에서는 0-40점이 57.1%점으로 가장 많았다. 평균점수는 도시지역 84.2±2.4점, 농촌지역 42.4±30.9점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지식실기 점수는 도시지역이 농촌지역 보다 우수하였으나, 71-100점이 19.5%였고, 0-40점은 도시와 농촌에서 각각 42.4%, 87.3%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두 군 모두 이론적 지식 수준보다 낮았다. 3. 영양태도 항목을 평가한 결과 도시에서는 평균 77.6±2.0점, 농촌에서는 평균 76.8±2.0점으로 지식과는 달리 두 군간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균형식 진단 평균점수는 도시가 66.49±26.6점, 농촌이 66.01±17.6점으로 도시와 농촌간에 유익한 차이가 있었다. 5. 혈중 콜레스테롤 측정치는 240㎎/㎗이상을 고콜레스테롤혈증으로 정의하고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관찰한 결과 비정상 소견자는 6명이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cholesterol수치는 높게 나타났다. 6. 인구학적 특성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지식실기 점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연령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영양지식, 지식 실기, 태도 및 식행동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학력에 있어서는 영양지식, 지식실기, 태도점수가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식행동에 있어서는 중졸-고졸이 가장 높았다. 직업별로는 직장인이 영양지식과 지식실기 점수가 가장 높았고, 농목축업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태도 및 식행동 점수는 오히려 직장인이 가장 낮았고 상업이 가장 높았다. 경제상태 즉, 식비지출에 충분한 경우에 영양지식, 지식실기, 태도, 식행동 점수가 모두 높았다(p<0.05). 7. 영양지식, 지식실기, 태도와 식행동 진단 점수와의 관련성 분석에서 먼저 K Kp A와 Fp 항목간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지식과 지식실기가 0.74의 상관계수로 가장 높은 관련성이 있었고, 다음은 지식실기와 영양태도 점수(r=0.38), 영양지식과 영양태도 점수(r=0.33)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도시 및 농촌주민의 식행동 점수에는 영양태도 점수가 관련된 요인으로 나타났다(r=0.35, r=0.22). 먼저 1일 식품섭취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K Kp A가 모두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영양지식과 태도 점수가 1일 식품섭취에 의한 식행동에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p<0.05). 6개월간 평균빈도에 의한 식행동 점수는 K Kp A 점수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지역요인을 통제한 경우에도 K Kp A가 모두 양의 관계를 보였다(p<0.05). 5군 식품중 결군에 따른 식행동 점수는 K Kp A 모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지역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영양지식과 태도 점수가 양의 관계를 보였다(p<0.005). 식행동 총평균 점수는 K Kp A 점수와 양의 관계에 있었으며, .지역요인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영양지식과 태도 점수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p<0.005).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K Kp A가 실제 식품섭취 행동에 영향을 주며, 예측도가 높지는 않지만 희귀방정식을 통한 식생활의 평가가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한편 지역요인은 식행동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K Kp A와 Fp의 관련성에 영향을 주었다. 8. K Kp A Fp 각각의 성적 모두가 조사대상자의 총콜레스테롤 측정치와 의미있는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K Kp A Fp 항목은 주민 개개인의 특성 및 지역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K Kp A가 예측도가 높지는 않지만 실제 식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nutritional survey indices such as the Knowledge(K), Knowledge practice(Kp), Attitude(A) and Food practice(Fp). These questionnaires were applied to two groups(126 rural people and 118 urban people) from 1 August to 10 September, 1996. The actual conditions of objects about K Kp A Fp were investigated by interviews. Also we measured serum cholesterol levels of all objects by Accutelend G. C. and analysed correlations of these facto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urned out as follows; 1. In the comparison of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the average score of the urban people was much higher(84.2±2.4) than rural people(42.4±30.9) 2. In the scores of the knowledge Practice, urban people had also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rural people, But only 19.5% of urban people had high scores between 71 and 100, and 42.4% of urban people and 87.3% of rural people had scores between 0 and 40. 3. The average scores of the Attitud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urban and rural people. 4. In cholesterol measurement, only six of 244 people were hypercholesterolemia (more than 240mg/dl), and they were all over 60 years old, and four of them were urban people. 5. There was a good rel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KAP. The people who were younger in age, higher in educational level and spending more money for foods had higher scores on K, Kp, A and Fp. And the people who were younger in age and spending more money for foods had higher scores on Fp. 6.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rum cholesterol level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scores of Fp. 7. These was correlations between K and Kp(highest correlation efficient 0.74), Kp and A(correlation coefficient; 0.38), K and A(correlation coefficient; 0.32). 8. The relations between K, Kp, A and area on Fp were analysed positive rel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방법 = 4 Ⅱ. 이론적 고찰 = 6 Ⅲ. 결과 = 8 A.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 8 B. 영양지식항목과 지식점수 = 10 C. 지식실기 항목과 점수 = 11 D. 영양태도 항목과 점수 = 12 E. 균형식사 식행동 진단법 = 14 F. 혈중 콜레스테롤 측정치 = 16 G. 인구학적 특성과 K Kp A Fp와의 관계 = 17 H. 식품섭취행동과 관련된 요인들 = 19 I. 혈중 콜레스테롤 측정치와 관련된 요인 분석 = 24 Ⅳ. 고찰 = 25 Ⅴ. 결론 = 31 참고문헌 = 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439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시-
dc.subject농촌-
dc.subject지역사회-
dc.subject영양평가-
dc.title都市·農村間 地域社會 營養評價 및 關聯 要因 分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補完된 KAP模型 適用-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knowledge practice, attitude and food practoce in a rural and urban area-
dc.format.pagevii, 3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