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미화-
dc.creator박미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0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1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3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159-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we have witnessed a revival of interest in the approach of character education in primary moral education. Many assertions can be given for this recent revival. Certainly one of the most plausible assertions is that the new concern for the character education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s largely due to the recent revival of interest in the ethics of virt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ndamental basis of a desirabl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What' kinds of character traits and virtues are being taught in regular classes? 1-1 What kinds of character traits and virtues are being taught in civics classes? 1-2 What kinds of character traits and virtues are being taught in I irrelevant classes? 2. What kinds of character traits and virtues are being taught in extra curricular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goal, the following steps have been taken: First, Collecting data from case studies on character education in extra curricular activities in 55 elementary schools. Second, Analyzing the character virtue contents in the textbooks. Third, Figuring out the character education taught in elementary schools. Forth, Finding out where the problems lie. The basis of this analysis were characters and virtues claimed by various existing theories. Based on those theories, virtues of characters in civics textbooks for 6th grades an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in 55 elementary schools in Seoul have been studied and analyz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In moral textbooks,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virtue for personal character was confidence; Love(affection, friendship) was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virtue for home life, neighbors, and school life; Concern for others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virtue for social life; patriotism was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virtue for home and country; concern for others was the virtue that appeared most often in all the categories. Second, From other textbooks, In Korean textbooks, self-esteem was the most commonly used: In Social Studies textbook they listed a wide range of virtues; In Home Economics textbooks, environmental concerns and confidence were the most commonly used;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team-work and confidence were the most commonly used. In Art classes, self-expression and confidence were the most commonly used; In Music classes, love, patriotism, environmental concerns, self-expressions, and cooperation were the most commonly used. Third, In extra curricular activities, the following 22 subject appeared most; For example, respect for the aged and obedience to parents, courtesy education, actual experience education, keep a diary, meditation, service activity, counsel and so on. Among 55 schools, 38 schools teach respect for the aged and obedience to parents., and 35 schools teach obedience to parents and courtesy. In conclusion ; 1. Among all of the categories, self-expression had the highest frequencies with 10.3% and trust had the lowest with 0.9% 2. Among the sub-categories, law-abiding and being personally responsible were the highest with 17.4% each in the general category of civic responsibilities which had total of 39.7% among 3 general categories. 3. Also. among the sub-categories, self-expression was the highest in the general category of self-esteem with a total of 31.1% among the 3 general categories. 4. Finally, among the sub-categories, Love (affection, friendship) was the highest with 26.5% in the general category of courtesy which had total of 29.3%, the lowest, among the 3 general categories.;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인성교육 특별활동의 실천사례 및 교과 내용을 인성 덕목으로 분석하여 현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성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인성 교육의 문제점을 밝혀내어 향후 바람직한 인성교육의 실천방안의 기초자료로 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과 내용 중 인성에 관련된 내용은 무엇이 있으며, 이에 대한 덕목들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1-1. 초등 도덕 교과 내용 중 인성에 관련된 내용은 무엇이 있으며, 이에 대한 덕목들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1-2. 도덕 교과 외 기타 다른 모든 교과내용 중 인성에 관련된 내용은 무엇이 있으며, 이에 대한 덕목들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2. 현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과 외의 특별활동으로 다루고 있는 인성 교육의 내용은 무엇이 있으며, 이에 대한 덕목들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는 여러 이론가들이 주장한 덕목들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분석의 틀을 구성하였는데, 이에 대한 구성절차를 설명하면, 민주시민정신(Citizenship), 타인에 대한 존중의식(Respect for Others), 자아에 대한 존중(Respect for Self), 이 세 가지 덕목을 인성의 커다란 덕목영역으로 삼고, 한국의 허경철 조난심을 비롯해 외국의 Leming, Terri, Greenawalt, 등의 이론가들이 내세운 덕목들 중 덕목간의 공통된 요소들을 추출함으로써 이를 그 하위덕목으로 구성하였다. 그 내용을 보면, 기본 질서와 생활 태도의 덕목으로써 민주시민의식은 준법, 봉사, 협동정신과 책임감, 정의감, 애국심, 환경보호의식 등을 하위덕목으로 구성하였으며, 타인과의 조화로운 삶을 위한 덕목인 타인존중의식은 권위존중, 예의범절, 효, 사랑, 배려, 정직, 신뢰를 이에 대한 덕목으로 하였고, 그 다음으로 긍정적 자아개념을 정립하고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덕목인 자아존중의식은 그 하위덕목으로 자신감, 자아수용, 자기표현, 자기통제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6학년의 도덕 교과를 비롯한 기타 모든 교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과 서울시 소재 55개교에서 실시되었던 특별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인성의 덕목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 교과내용을 통해 나타난 덕목은 인간 교육을 다루는 교과답게 전반적으로 덕목들을 균등히 다루고 있었으며, 덕목의 분포 또한 큰 차이 없이 고른 분포를 보였다. 생활 영역별로 단원을 구성함에 따라, 생활영역별로 나타난 덕목을 보면 먼저, 개인생활영역에서는 자신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이웃·학교 생활영역에서는 사랑이, 사회생활영역에서는 타인 배려, 국가·민족 생활영역에서는 애국심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덕목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모든 생활영역을 통틀어 타인배려의식이 가장 비중 있는 덕목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덕교과 이외 기타 교과 내용의 덕목별 분석결과를 보면, 국어 교과에서는 우리 문화와 타문화를 비교함으로써 우리 문화에 대한 자랑스러움을 느끼게 하고 타문화에 대해서는 수용과 신뢰를 갖게 하는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루었으며, 사회교과에서는 우리 민족의 역사와 나라를 지킨 조상들 및 근대화의 노력에 따른 외국문화의 이해와 수용, 경제생활의 올바른 지침을 그 내용으로 다룸으로써 정의, 애국 등의 덕목만에 편중되어 있었다. 예체능 교과의 결과를 보면, 모든 예체능 교과가 내용 중심이 아닌 실습에 중심을 두는 중심을 두는 교과로 인해 각 교과에 나타난 내용을 덕목으로 분석함에 있어 어려움이 없지 않았지만 교과 내용을 바탕으로 한 실습에서 나타날 결과를 토대로 분석해 보았다. 먼저 실과 교과에서는 환경보호의식과 자신감, 사랑(가족애)의 덕목을 다루고 있었으며, 체육교과에서는 협동의식과 자신감, 미술교과에서는 자기표현 의식 및 자신감, 음악교과에서 사랑(민족애)과 환경보호의식, 자기표현의식, 협동 등의 덕목을 다루고 있었다. 둘째,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특별활동을 통한 인성교육의 내용 및 덕목의 빈도와 분포를 살펴보면, 많은 학교들이 다양한 특별활동을 통해 인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는데, 그 활동을 내용 중심으로 공통된 영역으로 묶어 보면 모두 22개의 항목으로 나눌 수 있었다. 나뉘어진 항목을 살펴보면 경로효친, 예절, 체험활동, 명상활동, 봉사활동, 일기 쓰기, 상담활동, 가정과 학교간의 연계활동, 다양한 시상제 운영, 생활질서, 훈화, 자율학습의 날 운영, 학교폭력 예방, 건전한 취미활동, 교통질서, 교훈·가훈실천, 가족 신문 만들기, 호국안보, 성교육, 어린이회 조직, 나의 역사 세우기, 방송교육 등으로 나타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항목으로는 연구 대상인 55개의 학교 중 모두 38개 학교에서 실시된 것으로 나타난 경로효친 교육과 35개교에서 실시된 예절교육은 효와 예를 기르고 노인정 등을 방문함으로써 어른을 공경하는 마음을 신장시키며, 공동체 의식과 바른 심성을 기르고, 남을 위해 행하는 체험활동, 명상활동, 봉사활동 등이 경로효친 교육과 예절교육 다음으로 많은 수의 학교에서 실시되었으며, 이 밖에 많은 영역들이 나름대로의 활동내용으로 가지고 실행되었고 또한 다양한 인성덕목들을 나타내었는데, 활동내용을 통해 분석한 인성덕목들을 보면, 자기표현의식이 10.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반면 신뢰감은 0.9%으로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커다란 덕목영역으로 삼은 민주시민의식, 타인존중의식, 자아존중의식에 대한 비율을 나타냄으로써 전반적인 덕목의 분포를 살펴보면, 민주시민 의식은 총 39.7% 비율을 보임으로써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자아존중의식은 31.1%, 타인존중의식은 29.3%의 비율을 나타냈다. 또한 각 덕목에 따른 하위덕목의 비율을 살펴보면, 총 39.7%로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인 민주시민의식에서는 그 하위덕목인 준법과 책임이 8회로 17.4%의 비율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비중을 둔 자아존중의식에서는 자기표현의식이 10.3%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마지막으로 29.3%로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낸 타인존중의식은 사랑(우애, 우정 등)이 9회로 26.5%를 보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인성교육의 이해 = 6 1. 인성교육의 목적 및 필요성 = 6 2. 인성의 개념 및 인성발달 = 10 3. 인성교육의 개념 및 역사적 변천 = 18 B. 인성교육의 내용 및 방법 = 25 1. 인성교육의 내용 = 25 2. 인성교육의 방법 = 38 C. 선행연구 고찰 = 45 Ⅲ. 연구방법 = 51 A. 분석대상 = 51 B. 분석준거 및 분석의 틀 = 51 C. 연구의 절차 및 분석 방법 = 54 Ⅳ. 연구결과의 분석 및 해석 = 59 A. 초등학교 교과 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인성교육 현황분석 = 59 1. 도덕 교과에서 다루고 있는 인성교육의 덕목별 분석 = 59 2. 기타 교과에서 다루고 있는 인성교육의 덕목별 분석 = 65 3. 모든 교과에서 다루고 있는 인성교육의 덕목별 분석 = 83 B. 초등학교에서 교과 외 특별활동으로 다루고 있는 인성교육 현황 분석 = 85 Ⅴ. 요약 및 결론 = 95 참고문헌 = 103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721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초등학교-
dc.subject인성교육-
dc.subject덕목-
dc.subject초등교육-
dc.title초등학교 인성교육에 관한 덕목별 현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urrent Conditions of Character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dc.format.pagex, 11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