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소연-
dc.creator조소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8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3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3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315-
dc.description.abstract백반증의 발생기전은 자가면역설, 신경체액설 및 멜라닌세포 자가파괴설의 세가지 가설이 거론되나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는 않았으며 그 분류방법도 병변의 분포 양상에 따른 분류, 원인에 따른 분류 등 연구자들에 따라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백반증 환자들을 발병기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3가지 임상 유형, 즉 자가면역기전에 의한 대칭형(symmetric type, 1형), 신경대사 장해에 의한 피부절형(dermatomal type, 2형), 그리고 기타 탈색물질이나 잘 알려지지 않은 기전에 의하여 멜라닌세포가 파괴되는 국소형(localized type, 3형)으로 가정하고 분류하여 문진과 시진을 통해 각 유형별로 질환의 경과, 다른 자가면역질환과의 관련 유무, 가족력, 검사소견 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502명 중 남자는 203명(40.4%), 여자는 299명(59.6%)이었다. 2. 임상 유형은 대칭형이 250명(49.8%)으로 가장 많았고, 국소형 171명(34.1%), 피부절형 81명(16.1%)의 순이었다. 3. 남녀 성비는 2형보다 1형과 3형에서 여성의 비율이 더 높았으나, 각 유형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백모증은 22.3%에서, 운륜모반은 3.8%에서 동반되었으며, 각 유형간에 발생빈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내원시 평균 연령은 32.7세였고, 유형별로는 1형 41.0세, 2형 20.5세, 3형 26.2세로 각 임상유형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로도 남자 29.2세, 여자 27.5세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평균 발병연령은 25.6세였고, 유형별로는 1형 31.3세, 2형 15.7세, 3형 22.1세로 각 임상유형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로도 남자 23.0세, 여자 27.5세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군 중에서는 10-19세 사이에 가장 호발하였다. 7. 백반증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는 11.2%였고, 각 유형간에 가족력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환자의 자매가 가장 흔히 이환되었다. 8. 총환자의 12.1%에서 자가면역성 질환이 동반되었고, 임상유형 중 1형(16.4%)에서 2형(4.9%)이나 3형(9.4%)보다 유의하게 동반질환의 빈도가 높았으며, 동반질환은 위염, 갑상선 기능 항진증, 원형탈모증, 류마티스 관절염, 당뇨 등의 순이었다. 9. 이상 검사소견은 14.7%에서 발견되었고, 임상유형 중 1형(22.8%)에서 2형(8.6%)이나 3형(5.9%)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며, 검사항목 중에서는 혈중 triglyceride 증가가 가장 흔했다. 조사 결과, 각 유형은 내원시 평균 연령과 발병연령, 자가면역질환의 동반빈도, 이상 검사소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자들이 백반증의 발병기전에 따라 분류한 임상유형은 질환의 경과와 예후를 예측하고 적절한 치료방법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Vitiligo is a distressing skin condition in which acquired destruction of melanocytes causes depigmented patches of various shapes & sizes by as yet unclear mechanisms. Its classification is as varied and unresolved as the theories on its pathogenesis, the most plausible of which are autoimmune, neurohumoral and self-destruction theories. In this study, our purpose was to devise a classification scheme which would correlate well with the disease course and prognosis. We classified vitiligo into 3 types(symmetric, segmental and localized types) based on different proposed pathogenetic mechanism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ypes i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502 Korean ca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re were 203 males(40.4%) and 299 females(59.6?%). 2. The most frequent clinical type was the symmetric type(49.8%), followed by the localized type(34.1%) and the segmental type(l6.1%). 3. Male-to-female ratio was highest in type 2, but not significantly so. 4. Poliosis and halo nevus were associated in 22.3% and 3.8%, respectively. 5. The mean age at the first visit was 32.7 year(male; 29.2 years, female; 27.5 yea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linical types(type 1; 41.0 years, type 2; 20.5 years, type 3; 26.2 years). 6. The mean age of onset was 25.6 years(male; 23.0 years, female; 27.5 yea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linical types(type 1; 31.3 years, type 2; 15.7 years, type 3; 22.1 years). 7. Family history of vitiligo was observed in 11.2% of patients, whose sisters were most frequently affect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linical types. 8. Associated diseases were seen in 12.1% of the patients, the frequency of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ype 1 vitiligo. 9. Abnormal laboratory findings were found in 14.7% and were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type 1 vitiligo. The 3 types differ significantly in the mean age at first visit, mean age of onset, disease association and abnormal laboratory findings. Type 1 develops by autoimmune mechanisms, as shown by the continuous progression and the close association with other diseases and abnormal laboratory findings. Types 2 and 3 have a different disease course, becoming stationary after initial progression. In conclusion, the 3 clinical types classified by the authors are thought to be useful in predicting the course and prognosis of vitiligo and in determining the appropriate therapy. For a more optimal classification, further study on the pathogenesis of vitiligo seems to be in ord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2 A. 연구대상 = 2 B. 연구방법 = 2 C. 통계분석 = 2 Ⅲ. 연구 결과 = 3 Ⅳ. 고찰 = 10 Ⅴ. 결론 = 17 참고문헌 = 19 Abstract = 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79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임상 유형-
dc.subject백반증-
dc.subject분류-
dc.subjectvitiligo-
dc.title임상 유형에 따른 백반증의 분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lassification of vitiligo based on its clinical types-
dc.format.pagevii, 2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