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혜진-
dc.creator이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4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3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3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344-
dc.description.abstract폐기능 검사는 주관적인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이를 객관화할 수 있으며, 호흡기 질환의 심한 정도를 평가하고 치료에 대한 반응과 병의 진형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그러나 표준적인 폐기능 검사는 환자의 협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상 연령이 제한적이고 검사자의 인내와 기술을 요하며,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데 따른 소아과 의사의 소극적인 태도로 소아, 특히 신생아에서는 일반적으로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신생아 집중 치료의 발달로 여러가지 폐질환을 갖는 신생아의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폐기능 검사를 통한 폐기능의 질적, 양적 평가로 폐질한의 진단및 치료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이에 저자는 비교적 간단하며 비침습적이어서 신생아에서도 시행할 수 있는 호흡속도묘사기(pneumotachography)와 수동 호기 유량-기량곡선(passive expiratory flow-volume curve)을 이용한 폐기능 검사를 통하여 호흡곤란증후군 15명, 기관지폐이형성중 11명, 태변 착색아 46명, 폐렴 6명, 폐기종 4명 및 선천성 심질환아 19명을 정상 신생아 대조군 332명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재태주령, 출생시 평균 체중과 신장은 정상 신생아군에 비하여 호흡곤란증후군과 기관지폐이형성증에서만 낮았다(P<0.05). 2. 분당 호흡수는 호흡곤란증후군(66.7±21.8/min)에서 정상 신생아(51.0±12.0/min)에 비해 높았다(P<0.05). 3. 호흡용적은 호흡곤란증후군(4.9±1.5㎖/㎏)과 기관지폐이형성증(5.2±2.4㎖/㎏)에서 정상 신생아에 비해 낮았다(P<0.05). 태변 착색아, 폐렴, 폐기종, 선천성 심질환에서는 분당 호흡수와 호흡용적이 정상 신생아와 차이가 없었다. 4. 대상아의 보통 호흡시의 유랑-기량곡선을 분석한 결과 호흡곤란증후군과 기관지폐이형성증에서는 Vt/PTEF, TEF25/PTEF및 ME/MI가 정상 신생아에 비해 낮았으며(P<0.05), PTEF/TV는 정상 신생아에 비해 높았다(P<0.05). 태변착색아, 폐렴, 폐기종, 선천성 심질환에서는 정상 신생아와 차이가 없었다. 5. 단일 호흡 폐쇄방법(single breath occusion method)을 이용하여 호흡계 탄정도와 저항도를 측정한 결과, 호흡곤란증후군, 기관지폐이형성증및 폐렴에서는 정상 신생아에 비해 호흡계 탄성도는 낮았으며(P<0.05), 호흡계 저항도는 높았다(P<0.05). 태변 착색아, 폐기종, 선천성 심질환에서는 호흡계 탄성도와 저항도 모두 정상 신생아와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태변 착색아, 폐기종, 선천성 심질환아는 폐기능 검사상 정상 신생아와 차이가 없었으나 호흡곤란증후군, 기관지폐이형성증 및 폐렴환아는 정상 신생아와 다른 폐기능 검사 소견을 보여주였다.;Pulmonary function test is an important diagnostic tool in neonatal intensive care. These tests provide a detailed assessment an infant's pulmonary status that can be used in several ways: to monitor the progression of lung disease, to streamline ventilator management, and to assess the infant's response to new treatments, such as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or bronchodilator. This relatively invasive and low risk assessment can be performed on all infants who are ventilated or breathing spontaneous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ulmonary function test including tidal volume, minute ventilation, respiratory rate, flow-volume curve, respiratory system compliance, and respiratory system resistance in newborns with several respiratory disea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nd birth height in neonates with hyaline membrane disease(HMD) or bronchopulmonary dysplasia(BP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neonates(P<0.05). 2. Respiratory rate in neonates with HM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neonates(P<0.05). Tidal volume in neonates with HMD or BP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neonates(P<0.05). Respiratory rate and tidal volume in neonates with meconium stained baby, pneumonia, pneumothorax, or congenital heart disease(CHD) were not signifantly different from normal neonates(P>0.05). 3. In the results of tidal breathing flow volume loop, Vt/PTEF, TEF25/PTEF and ME/MI in neonates with HMD or BP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neonates(P<0.05), but these results in neonates with meconium stained baby, pneumonia, pneumothorax, or congenital heart disease were not signifiacntly different from normal neonates(P>0.05). 4. Respiratory system compliance in neonates with HMD, BPD, or pneumoni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neonates, and respiratory system resistance in neonates with HMD, BPD, or pneumonia was signicantly higher than normal neonates(P<0.05). Respiratory system compliance and resistance in neonates with meconium stained baby, pneumothorax, or congenital heart disea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rmal neonates(P>0.05). In conclusion, pulmonary function tests in neonates with HMD, BPD, or pneumonia showed abnormal findings, but pulmonary function tests in neonates with meconium stained baby, pneumothorax, or CHD showed normal finding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3 A. 연구 대상 = 3 B. 연구 방법 = 3 C. 통계 방법 = 5 Ⅲ. 결과 = 6 A. 대상아의 임상적 특징 = 6 B. 대상아의 분당 호흡수와 호흡용적 = 8 C. 대상아의 보통 호흡시의 유량-기량 곡선 분석 = 10 D. 대상아의 흐흡계 탄성도와 저항도 = 12 Ⅳ. 고찰 = 15 Ⅴ. 결론 = 22 참고문헌 = 24 =Abstract= = 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36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신생아호흡기-
dc.subject환아-
dc.subjectPneumotachography-
dc.subjectPassive expiratory flow-volume curve-
dc.subject폐기능검사-
dc.title신생아 호흡기이상 환아에서 Pneumotachography와 passive expiratory flow-volume curve를 이용한 폐기능검사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valution of pulmonary function test by pneumotachography and passive exporatory flow-volum technique in newborns with respiratory siseases-
dc.format.pagevii, 2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