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5 Download: 0

수학우수아 집단에서 능력별 팀학습(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의 적용효과 분석

Title
수학우수아 집단에서 능력별 팀학습(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의 적용효과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n Effect of 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 in Math High Achievers Group
Authors
김영득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수학우수아능력별 팀학습StudentTeamsAchievementDivision적용효과 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started for answer "Is cooperative learning that was generally known as effetive at congnitive, affective pespective, in math high achievers group, too?"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Math' high achievers. The STAD(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s) model that based behaviorism perspect, was applied for cooperative learning group.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math high achiever's achievement between STAD and traditional learning group? 2. Is there a difference in math high achiever'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between STAD and traditional learning group? 3. Is there a difference in math high achiever's mathematics anxiety between STAD and traditional learning group? For these questions to answer, after STAD and traditional learning method were randomly assigned for a six-week period experimented.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math high achiever test,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anxiety questionnaire, achievemet test. math high achiever test was partially used science high achiver test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anxiety questionnaire that was revised to the korean conditions from SAQ(The Student Attitude Questionnaire), MAQ(The Mathematics Anxiety Questionnaire), MARS (The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by Cho, Ai-Mee. Measurement instrument for achievement test was made by myself and reliability was tested by Cronbach-a. To see homogeneous between STAD and traditional learning groups and results analysis practice t-test.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a no difference in math high achiever's achievement between STAD and traditional learning group. 2. There was a partially difference in math high achiever'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between STAD and traditional learning group. The other word, there was a difference at result prediction factor and specially STAD was got high score than traditional learning group. 3. There was a partially difference in math high achiever's mathematics anxiety between STAD and traditional 1earning group. The other word, two groups was differentiated at worry, anxiety toward mathematics learning and anxiety at mathematics time, specially STAD was low anxiety level than traditional learning group.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 is cooperative learning in math high achievers inefficent at achevement but it makes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it is partially efficent to make low math anxiety level.;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협동학습이 수학우수아 집단에서도 효과적인가?"라는 물음에 답함으로써 수학우수아를 위한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협동학습 집단에는 행동주의 관점에 근거한 능력별 팀학습(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s)이 적용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능력별 팀학습과 전통학습을 한 수학 우수아들은 학업성취에서 차이가 있는가? 2. 능력별 팀학습과 전통학습을 한 수학 우수아들은 수학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있는가? 3. 능력별 팀학습과 전통학습을 한 수학 우수아들은 수학불안에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수학 우수아로 선정된 5·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능력별 팀학습과 전통학습을 무선으로 할당하여 6주 동안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수학우수아 판별도구, 수학에 대한 태도 및 불안 검사지, 학업성취도 검사지이다. 수학우수아 판별도구는 과학우수아 판별도구 중 일부를 사용하였고, 수학에 대한 태도 및 불안 검사를 위한 도구는 조아미가 SAQ(The Student Attitude Questionnaire), MAQ(Mathematics Anxiety Questionnaire), MARS(The Mathematics Anx Rating Scale)를 수정하여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것으로써 Cronbach-α에 의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두 실험집단의 동질성과 결과분석을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별 팀학습과 전통학습을 한 수학 우수아들은 학업성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능력별 팀학습과 전통학습을 한 수학 우수아들은 수학에 대한 태도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결과예측에서 두 집단은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능력별 팀학습을 한 집단이 전통학습을 한 집단에 비해 결과를 긍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능력별 팀학습과 전통학습을 한 수학 우수아들은 수학불안에서도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두 집단은 걱정요인, 수학을 배우는 것에 대한 불안 요인, 수학시간에 느끼는 불안 요인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능력별 팀학습을 한 집단이 전통학습을 한 집단에 비해 불안 수준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수학우수아 집단에 적용된 협동학습은 전통학습과 비교해 아동들의 학업성취에는 차이가 없으나, 수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고, 수학불안 수준을 낮추는 데에는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양한 협동학습 모형 중 팀내 구성원 사이에는 협동을 강조하면서 팀간에 경쟁을 강조하는 학생팀(Student-Team Learning)유형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학생팀 학습 유형으로 한정하여 해석해야 하며, 집단내 협동뿐만 아니라 집단간에도 협동을 하는 협동적 프로젝트(Cooperative Project)유형이 적용되는 수업사태에 대해서도 후속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