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허경-
dc.creator허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2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6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2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65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oot of modem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Korea(Chosun), who opened the door to Japan by way of the Kangwa-Treaty in 1876, felt keenly the necessity of new education in order to confront the Western Powers. Various schools were established as a means to 'National establishment by education', building the nation through education. Most of the schools were aimed at middle education to educate people in becoming 'persons knowing new education'. But, the curriculums of the schools at that time were basic contents of traditional books and Westem knowledge, the level of which were nearly elementary education. These schools were classified in three categones based on these who established the schools - ① Government-Public schools, ② Private(Non-Government) schools by Privates, ③ Christian schools by missionaries. First, establishment of the schools are as followed About 10 Government-Public elementary schools, including Dongmunhak school(1883) and Yukyungkongwon school(1886), were established in Seoul and about 50 in the rural district. The schools had the limits to systematize new education realistically. The causes of the limits wer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new education, shortage of governmental support, poor educational situation, shortage of teachers charging new education, etc. Nevertheless, it is a meaning that government showed the will to new education and modem decrees and systems were established by Nation. Private schools initiated in 1883 by Wonsanhaksa were established all over the country by virtue of the cooperation of liberal theologists, ex-bureaucrats and Confucian scholars, and carried on elementary education. The schools emphasised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as a means to love their country. But most of the schools were not sustained longer as a reasult of shortage of finances and excessive concentration on the acquisition of foreign language. Christian schools by missionaries such as Paejaehakdang(1885), Ewhahakdang(1886) were established all over the country as a link of missionary work. They met the demand of new education and contributed to build a new education system in many aspects. Distinguishably Christian schools had a lot of Woman schools which took no interest by the public at that time, and remain up to now that way. Second, educational programs of the schools, are as followed Government-Public schools were aimed at educating the children of powerful families and high bureaucrats to have Confucian virtues. The curriculums of the schools followe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eacher's summary declared on <Primary-School Decree>, and especially emphasiz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moral training', 'native language' and 'geography'. Teaching methods were very different from teacher to teacher. Promotion and graduation was carried out by estimation directed by government school Union. Private schools made an effort to educate students of various ages to national readers possessing advanced Western culture. So, the schools dealt with mainly curriculums emphasizing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native language, national history, etc along with foriegn language. And, establishers presente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ccording to educational doctrine, stirred up the academic spirit through awarding by teachers and local governers. Christian schools were intended mainly to educate neglected classes such as orphans, women children to democratic and Korean-style readers through the Christian spirit. So, the schools dealt with Confucian books and Western curriculums based on Holy Bible. These curriculums were very independent, creative and active. And failure system, 100 persent estimation, ranking in estimation were practiced. The schools in three types mentioned above formed the root of modern elementary education by dealing with different education student's class and content to accomplish the same objective, which is to educate persons having new knowledge in order to establish the nation by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개화기 초등학교들의 설립현황 및 교육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현대 초등교육의 근원을 탐구하고자 함이다. 1876년 일본과의 강화도조약을 기점으로 문호를 개방하게 된 조선은 잇따른 서구열강에 대응하기 위해 신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교육을 통해 나라를 세우고자 하는 '교육입국(敎育立國)'의 방편으로 제학교들이 설립되었다. 이 학교들의 대부분은 '신지식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중, 고등교육을 목표로 하였다. 그렇지만, 신교육을 처음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연소하고 총명한 자들을 대상으로 독서·습자·산술(3R's)로 시작하여 유교경전과 서구교과의 기초적인 내용을 다룬 현재의 초등에 가까운 수준의 학교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기(1876∼1905)의 초등학교들을 설립주체에 따라 정부에 의한 관·공립학교, 민간인들에 의한 사립학교, 선교사들에 의한 기독교학교로 대별하여 설립현황을 살펴본 후, 이들의 교육실태를 분석해 보았다. 먼저 설립현황을 살펴보면, 정부에 의한 학교로는 동문학(1883), 육영공원(1886)을 비롯하여, <소학교령> 발표에 따라 관·공립소학교들이 서울에 10 여개, 지방에 50여 개가 설립되었다. 이들은 신교육에 대한 이해부족, 정부의 지원 부족, 열악한 학교상황, 신교육을 담당할 교사의 부족 등의 이유로 현실적으로 신교육을 실시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렇지만, 국가 차원에서 근대교육을 실시하려는 의지와 최초로 근대적 법령 및 제도를 마련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민간인들에 의한 사립학교는 l883년 원산학사를 시작으로 전직·현직관리 및 유생들이 힘을 합쳐 전국 각지에 사립소학교들을 설립하여 근대 초등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민족선각자들이 애국(愛國)의 방편으로 외국어교육을 중심으로 한 학교들을 설립하여 활발한 교육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그러나, 이들은 대부분이 재정의 궁핍과 함께 단기적 필요(외국어의 습득)에 급급하는 등의 이유로 오래 존속하지 못하였다. 선교사들에 의한 기독교학교는 1885년 배재학당과 l886년 이화학당을 비롯한 각종 학교들이 선교의 일환으로 전국각지에 설립되어 우리 나라의 신교육 수용 및 실시에 양적, 질적으로 공헌하였다. 기독교학교 중에는 당시 관심조차 없었던 여학교가 많다는 점이 특징적이며, 대부분의 학교들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이러한 설립현황과 함께 이들 학교의 교육실태를 교육대상 및 목적, 교육내용, 교육 방법 및 평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공립학교들은 상류계층 즉, 구한말의 권문세도가나 고급관료들의 자제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의도에 따른 유교적 덕성을 지닌 관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들의 교육내용은 <소학교령>의 교과목편제와 교수요지에 따랐으며, 특히 '수신', '국어', '지리' 등의 교과를 통해 국민의식을 강조하였다. 교수방법은 교사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관·공립학교가 연합해서 평가를 실시하여 진급과 졸업을 시켰다. 민간사학들은 지방 인근의 다양한 연령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진문물을 수용한 민족지도자를 양성하고자 노력하였다. 따라서, 외국어와 함께 국어, 국사 등의 교과를 통해 민족의식을 강조하는 교육내용을 주로 다루었다. 그리고, 학교설립자(개화사상가)들이 교육이념에 따른 다양한 교육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지방관 및 교사가 시상을 통하여 학구열을 고취시키기도 하였다. 기독교학교들은 주로 고아나 여아(女兒) 등의 소외된 계층을 대상으로 기독교정신을 통하여 민주적이며 한국인다운 지도자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학교들은 성경을 기초로 유교정전과 서구식 교과를 다루었다. 이러한 교육내용을 자주적·창의적·활동적인 방법으로 교수하였고, 낙제제도, 100점 만점의 평가, 석차 등의 평가방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세 집단의 학교들은 '교육입국(敎育立國)을 위한 신지식을 지닌 인재양성'이라는 동일한 목적 하에 서로 다른 교육대상 및 내용을 다룸으로 인해 상보적인 관계를 이루어 현대 초등교육의 뿌리를 이루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3 D. 용어의 정의 = 4 Ⅱ. 근대학교의 성립 = 7 A. 시대적 배경 = 7 1. 국내의 정치·사회적 상황 = 7 2. 日·淸의 영향 = 9 3. 기독교선교사의 영향 = 12 B. 교육제도 = 15 Ⅲ. 개화기 초등학교 설립현황 = 21 A. 정부에 의한 관·공립학교 = 21 B. 민간인들에 의한 사립학교 = 31 C. 선교사들에 의한 기독교학교 = 36 Ⅳ. 개화기 초등학교 교육실태 = 43 A. 교육대상 및 목적 = 43 1. 정부에 의한 관 ·공림학교 = 43 2. 민간인에 의한 사립학교 = 45 3. 선교사들에 의한 기독교학교 = 46 B. 교육내용 = 50 1. 정부에 의한 관·공립학교 = 50 2. 민간인들에 의한 사립학교 = 52 3. 선교사들에 의한 기독교학교 = 55 D. 교육방법 및 평가 = 61 1. 정부에 의한 관·공립학교 = 61 2. 민간인에 의한 사립학교 = 64 3. 선교사들에 의한 기독교학교 = 65 Ⅴ. 결론 = 70 A. 요약 = 70 B. 논의 = 72 C. 용어의 정의 = 4 參考文獻 = 75 부록. 小學校敎則大綱 = 80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562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개화기-
dc.subject초등학교 설립현황-
dc.subject교육실태 분석-
dc.title개화기 초등학교 설립현황 및 교육실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Programs of the Elementary School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1876~1905) in Korea-
dc.format.pagevii, 8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