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윤정-
dc.creator최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1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3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2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308-
dc.description.abstractDirect laryngoscopy & tracheal intubation for general anesthesia often provoke a marked sympathetic response, which may result in hypertension, tachycardia and arrhythmia. Such sympathetic response may be inconsequential in healthy patients but detrimental to those with ischemic heart disease or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This stress response may be atennuated by opioids, α- or β- blocking agents, lidocaine, ganglionic blocker, nitroglycerine, sodium nitroprusside but not completely depressed. Recently, cacium channel blockers such as nifedipine, verapamil, nicardipine have also been shown to be effective. And there have been reported that calcium antagonists increase the neuromuscular blocking effect of muscle relaxant both in vitro and in anestehtized animals and that calcium antagonists raised the levels of ionized calcium in human hypertension with low levels of ionized calc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nifedipine on blood pressure, heart rate, muscle relaxation and its interaction with vecuronium. Cardiovascular parameter such as systolic, diastolic arterial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etermined in healthy patients scheduled for tracheal intubation for general anesthesia efore nifedipine, 5 minutes after nifedipine,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intubation, 2.5, 5, 7.5, 10 minutes following intubation. And the muscle twitch and clinical muscular relaxation of intubation condition, the arterial blood gas analysis & electrolyte before & 15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nifedipine were measured. 1) The times to 75% and 100% twitch depression of vecuronium and clinical muscle relaxation of intubation condition was no differences in both groups. 2) Heart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immediatly after intubation in both group and decreased significantly 7.5 minutes after intubation compared to basal value in the control group but increased 5 minutes after intubation compared to basal value in the nifedipine group and it was higher than control value until 10 minutes after intubation. 3) Systolic and diastolic arterial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and thes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nifedipine group while the decrease was significantly less in control group. 4) At arterial blood gas analysis, pH increased significantly and PaCO_(2) decreased at 15 minutes after nifedipine administration in both groups, compared to basal value.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ectrolyte (Na^(+), K^(+), Ca^(++)) values between two groups. In conclusion, in healthy adult patients, rise in the artrial blodd pressure after tracheal intubation decreased effectively with subligual nifedipine but nifedipine may produce excessive myocardial depression in patient with preexisting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And the administration of muscle relaxant may accumulate in the muscle in patient in preoperative longterm calcium channel blocker therapy and prolonged effect of muscle relaxant but it was rarely effect on shorterm users.;전신마취시 후두경을 사용하거나 기관내삽관시 교감신경계 자극으로 인한 고혈압, 빈맥 및 부정맥발생의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교감신경계의 자극은 정상혈압의 환자에서는 위급한 상황이 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허혈성 심질환이나 뇌압상승환자에서는 심각한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Opioid, 알파, 베타 수용체 차단제, lidocain, 신경절 차단제, nitroglycerine, sodium nitroprusside와 같은 다양한 제제로 심혈관계반응을 완화시키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완전히 억제하지는 못하고 있다. 최근에 nifedipine, verapamil, nicardipine같은 칼슘통로 차단제의 심혈관계 반응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칼슘통로 차단제가 invitro와 동물실험에서 근이완제의 신경근 차단효과를 강화시키며 고혈압환자에서 이온화 칼슘이 감소되어 있는 경우에 칼슘통로차단제의 사용으로 이온화 칼슘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는 성인남녀 28명을 대상으로 협심증과 고혈압 치료제인 칼슘통로 차단제 nifedipine 10mg을 기관내삽관 5분전에 설하투여하여 vecuronium에의한 단순연축억제의 발현시간과 기관내삽관시 임상적인 근이완상태를 측정하고, 마취유도 전, nifedipine투여 5분후, 기관내삽관 직전, 기관내삽관 직후, 기관내삽관후 2.5분, 5분, 7.5분, 10분에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심박수를 측정하고 nifedipine투여 전후에 동맥혈가스분석과 전해질의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단순연축반응이 75% 및 100% 억제되는 시간은 nifedipine투여군에서 약간 단축되었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으며, 기관내 삽관시 임상적인 근이완 상태도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대조군에서 3급이 2예 있었다. (2) 심박수는 기관내 삽관직후 양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서 기관내 삽관 7.5분후 대조치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nifedipine 투여군에서는 투여 5분후 대조치에 비해 계속 높게 유지되었고 기관내삽관 10분후까지도 유의하게 높았다. (3) 수축기와 이완기혈압은 기관내삽관 직후 양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대조치로 회복한 후 유의한 변화가 없는 반면, nifedipine투여군에서는 대조치 이하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동맥혈가스분석상 양군에서 모두 nifedipine투여 15분후 pH는 증가하고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은 유의하계 감소하였다. (5) 소디음, 포타슘, 이온화 칼슘치의 변화는 양군에서 모두 nifedipine투여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nifedipine의 설하투여시 기관내삽관에 의한 혈압상승은 억제되나 심박수는 증가하므로 심실기능이 약화된 환자에서 주의하여야 하며, 칼슘통로 차단제투여를 장기간 받은 환자에서 칼슘통로 차단제가 근육에 축적되어 근이완제의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으나 단기간 사용환자에서는 거의 영향이 없고, 혈청내 전해질치에는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연구 대상 = 3 연구 방법 = 3 Ⅲ. 연구 결과 = 7 1. 근이완 발현시간 및 기관내삽관시 임상적 근이완 상태 = 7 2. 실험관계변화 = 7 1) 심박수의 변화 = 7 2) 수축기혈압의 변화 = 10 3) 이완기혈압의 변화 = 10 3. 동맥혈가스분석 및 이온의 변화 = 10 Ⅳ. 고찰 = 13 Ⅴ. 결론 = 18 참고문헌 = 20 ABSTRACT = 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94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기관내삽관시-
dc.subjectnifedipine-
dc.subject혈압-
dc.subject심박수-
dc.subject근이완효과-
dc.title기관내 삽관시 nifedipine이 혈압, 심박수 및 근이완효과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 of nifedipine on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muscular relaxation during tracheal intubation-
dc.format.pagevi, 2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